KR20150094221A -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21A
KR20150094221A KR1020140015251A KR20140015251A KR20150094221A KR 20150094221 A KR20150094221 A KR 20150094221A KR 1020140015251 A KR1020140015251 A KR 1020140015251A KR 20140015251 A KR20140015251 A KR 20140015251A KR 20150094221 A KR20150094221 A KR 20150094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generation structure
floating power
floa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180B1 (ko
Inventor
정건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1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2Magnetic moor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5Resilient passive elements to be placed in line with mooring or towing chains, or line connections, e.g. dampers o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벽에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벽의 접안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부유 높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Floating type power plant facility mo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식 발전구조물을 안벽에 계류시켜 계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natural gas)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고, 소량의 에탄(ethane), 프로판(propane) 등을 포함하는 화석연료로서, 최근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저공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여기서, 천연가스는 가스 상태로 운반되기도 하고,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되기도 한다.
또한, 액화천연가스(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 이하)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한편, 최근에는 육지에 매립된 에너지의 고갈에 따라, 다양한 해양 자원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는데, 해상에서 원유나 천연가스를 채굴하기 위한 유정 및 가스정 확보 및 개발도 각국에서 앞다퉈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해상에서 LNG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로써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개발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해상에서 부유 시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지역에서도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LNG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1150호(공개일 : 2012.02.07)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부유식 발전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식 발전구조물을 안벽에 계류시켜 계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계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안벽에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벽의 접안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부유 높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은 상기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대와 마주보는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은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전류 공급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내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해저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과 마주하는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과의 유동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안벽에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경우, 발전 구조물의 부유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에서 조수에 따른 해수면의 승강에 관계없이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부유 위치 고정을 통해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육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가이드 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발전 구조물은 주로 육상, 특히 원료 수급이 용이하고, 용지확보 비용이 저렴한 해안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발전 구조물을 육상에 고정한 형태에서 벗어나, 플랜트 용지 구입비용과 기초 공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원료 수급이 편리한 곳이나 전력공급이 필요한 곳에 시의적절하게 배치하여 발전할 수 있는 선박 등에 발전 구조물을 탑재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그 중 바지선과 같은 부유식 발전 구조물(1)에 발전플랜트를 마련하여, 해상 구조물 자체에서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거나 해상에서 많은 전기를 생산하여 육상으로 송전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은 전기를 생산하여 육상으로 송전해야 하기 때문에, 육상과 인접한 위치에 계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계류 시 계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계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는, 안벽(10)의 접안면에 고정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후술 될 고정부(200)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지지대(100)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부유 높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지지대(100)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을 연결한다.
즉, 해상에서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만일 조수에 의해 해수면의 하강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부유 높이가 초기의 높이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때, 고정부(200)는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과 지지대(100)을 연결하여 조수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지지대(100)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을 연결하는 고정부(200)에 의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부유 높이가 조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해상에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구조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가이드 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은 고정부(2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300)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홈(300)은, 상기 고정부(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지지대(100)와 마주보는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300)에는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전류 공급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부(200)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31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310)을 통한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이 안벽(10)에 인접하도록 위치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고정부(200)의 일단부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30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400)는 상기 가이드 홈(300)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석(310)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고정부(200)의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 홈(3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대(100)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200)가 상기 가이드 홈(300)의 내부에서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석(310)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만일,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이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전자석(310)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고정부(200)가 상기 가이드 홈(300)의 내부와 이격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가이드 홈(300)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200)가 고정되도록 하여, 해상에서 조수에 의한 해수면의 승강에 관계없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부유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홈(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 될 차폐장치(320)를 구비한다.
상기 차폐장치(320)는, 상기 가이드 홈(300)의 단부에서 제어부(400)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내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이동 시 해수가 상기 가이드 홈(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장치(320)는 미닫이 형태로 구비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가이드 홈(300)을 차폐할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 홈(300)의 차폐 목적을 가진 다른 형태의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지지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500)는, 해저면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해저면에서 승강 시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500)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해수면이 하강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을 고정하는 고정부(200)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져 상기 고정부(20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해수면이 하강하면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지지부(400)가 승강하여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부유 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400)에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부유 높이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이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을 고정시킴으로써, 조수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부유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고정부(200)와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의 유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600)는,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과 마주하는 상기 고정부(200)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완충부재(600)는, 상기 고정부(200)의 일단부에서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6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200)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600)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충격을 흡수하는 목적을 가진 다른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기상상황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이 요동치게 되면, 상기 완충부재(600)를 통해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1)로 고정부(2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벽에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경우, 발전 구조물의 부유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에서 조수에 따른 해수면의 승강에 관계없이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부유 위치 고정을 통해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육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부유식 발전 구조물 10 : 안벽
100 : 지지대 200 : 고정부
300 : 가이드 홈 310 : 전자석
320 : 차폐장치 400 : 제어부
500 : 지지부 600 : 완충부재
610 : 결합부재

Claims (6)

  1. 안벽에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벽의 접안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부유 높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은,
    상기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대와 마주보는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전류 공급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내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는,
    해저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과 마주하는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유식 발전 구조물과의 유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KR1020140015251A 2014-02-11 2014-02-11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KR10197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51A KR101972180B1 (ko) 2014-02-11 2014-02-11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51A KR101972180B1 (ko) 2014-02-11 2014-02-11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21A true KR20150094221A (ko) 2015-08-19
KR101972180B1 KR101972180B1 (ko) 2019-04-24

Family

ID=5405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51A KR101972180B1 (ko) 2014-02-11 2014-02-11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623A (zh) * 2016-02-19 2016-07-06 占良辉 用于船只的靠岸锁定装置
KR20200002420A (ko) *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계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83A (ko) * 2009-02-26 2010-09-03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KR20100114186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20120064426A (ko) * 2010-12-09 2012-06-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120097827A (ko) * 2011-02-25 2012-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선박의 계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83A (ko) * 2009-02-26 2010-09-03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KR20100114186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20120064426A (ko) * 2010-12-09 2012-06-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120097827A (ko) * 2011-02-25 2012-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선박의 계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623A (zh) * 2016-02-19 2016-07-06 占良辉 用于船只的靠岸锁定装置
KR20200002420A (ko) *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180B1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72416B2 (en) Wave powered generator
US8358025B2 (en) Wave actuated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643693B2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floats
KR102191770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US20220144390A1 (en) A single-column semi-submersible platform
CN102317150A (zh) 浮式海上结构
KR101972180B1 (ko)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CN102878006B (zh) 波力发电机
CN105539750A (zh) 浮式生产储卸油系统单点采油平台
KR20150094280A (ko) 진동 감쇠 구조를 갖는 부유식 해양 발전 설비
KR20180108195A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US103522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sion
KR101762785B1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
KR20160061219A (ko) 파력 발전형 부유식 방파제 및 그 파력 발전 시스템
US201401454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ve power generation of underwater type
KR20150096985A (ko) 부유식 발전 구조물
KR101972181B1 (ko)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고정장치
US9371816B2 (en) Hybrid wave-current power system
KR101242506B1 (ko) 텐던에 고정되는 고정부유체 및 가변부유체를 갖는 장력고정식 플랫폼
KR101162441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50094225A (ko) 부유식 발전 구조물 지지장치
KR20170026001A (ko) 부유식 해양플랜트
KR20150094224A (ko) 잠수식 바지를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구조물
KR102098658B1 (ko) 권취장치탑재선을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부유식 구조물
KR101431800B1 (ko)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