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426A -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 Google Patents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426A
KR20120064426A KR1020100125655A KR20100125655A KR20120064426A KR 20120064426 A KR20120064426 A KR 20120064426A KR 1020100125655 A KR1020100125655 A KR 1020100125655A KR 20100125655 A KR20100125655 A KR 20100125655A KR 20120064426 A KR20120064426 A KR 2012006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horizontal
vertical
relative motion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609B1 (ko
Inventor
김문성
김병우
하문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2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2Towing or pushing equipment characterised by moving of more than on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해상에서 병렬 계류된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의 상대운동을 감소시키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상대운동 감소 장치는, 제1선박의 측면에 마련된 설치홈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가이드 로드; 수직 가이드 로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 결합된 승강 부재; 수직 가이드 로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수직 완충 수단; 승강 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수평 완충 수단; 수평 완충 수단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평 가이드 로드; 및 수평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relative motion between two ships}
본 발명은 해상에 병렬 계류된 두 선박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운동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Natural Gas)는 해상에서 채집된 후 액화되어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상태로 저장 및 소비처로 운송된다. 이와 같은 액화천연가스의 생산, 저장 및 운송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LNG 수송선(Shuttle)과 같은 선박이 이용되고 있다.
LNG FPSO에 저장된 LNG는 LNG 수송선으로 하역되는데, 이때 두 선박, 즉 LNG FPSO와 LNG 수송선은 해상에서 병렬로 정박된 상태로 서로 계류된다.
도 1과 도 2는 LNG의 하역을 위해 병렬 계류된 두 선박을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두 선박(10, 20)이 해상에서 병렬 계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두 선박(10, 20), 예컨대 LNG FPSO(10)와 LNG 수송선(20)은 다수의 계류 라인(3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두 선박(10, 2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고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충돌 방지용 펜더(Fender, 40)가 두 선박(10, 2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LNG FPSO(10)와 LNG 수송선(20)이 병렬 계류된 상태에서, LNG FPSO(10)에 설치된 LNG 하역용 장치, 예컨대 오프로딩 아암(Offloading arm, 50)을 이용하여 LNG FPSO(10)로부터 LNG 수송선(20)으로 LNG가 하역된다.
그런데, 두 선박(10, 20)은 해상에 떠 있기 때문에, 파도, 조류,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때, 두 선박(10, 20)은 상기한 외부 요인에 의해 서로 다른 공진 주기로 응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선박(10, 20)의 서로 다른 운동 응답으로 인해 두 선박(10,20) 사이에는 전후,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상대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두 선박(10, 20) 사이의 상대운동, 특히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상대운동은 오프로딩 아암(50)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오프로딩 아암(50)을 통한 LNG의 하역에 제약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두 선박(10, 20)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해 두 선박(10, 20) 사이에 연결되는 계류 라인(30)에 인가되는 하중도 가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상에서 병렬 계류된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을 감소시키는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서 병렬 계류된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박의 측면에 마련된 설치홈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가이드 로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 결합된 승강 부재;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수직 완충 수단; 상기 승강 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수평 완충 수단; 상기 수평 완충 수단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평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수직 유압식 완충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외주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 유압식 완충기는 상기 설치홈의 천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 유압식 완충기는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는 상기 설치홈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외주에 설치된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완충 수단은 수평 유압식 완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완충 수단은 상기 승강 부재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 완충 수단 각각에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플레이트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에 볼 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에는 조인트 볼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조인트 볼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진 조인트 하우징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조인트 볼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조인트 하우징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 사이의 볼 조인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공기 흡착 방식에 의해 상기 제1선박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전면(前面)의 중간부에는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흡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홈에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흡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흡기구는 플렉시블한 흡기 튜브를 통해 공기 흡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그 전면(前面)의 테두리부에 부착된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밀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그 전면(前面)에 부착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의 높이 방향의 중간 부위에는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각각에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은 상기 제1선박의 선수와 선미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박의 선수와 선미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상기 설치홈이 상기 제1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에 의하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두 선박 사이에 발생되는 상대운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두 선박 사이에서의 화물의 적하가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두 선박의 병렬 계류를 위해 종래에 사용되던 계류 라인에 인가되던 계류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LNG의 하역을 위해 병렬 계류된 두 선박을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밀착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밀착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설치홈 내에 격벽이 설치되고, 그 격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대운동 감소 장치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선박, 예컨대 LNG FPSO(10)와 제2선박, 예컨대 LNG 수송선(20)은 화물, 즉 LNG의 하역을 위해 해상에서 병렬 계류된다. 상기 LNG FPSO(10)와 LNG 수송선(20)은, 다수의 계류 라인(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병렬 계류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오프로딩 아암(50)을 통해 LNG FPSO(10)로부터 LNG 수송선(20)으로 LNG가 하역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는, 해상에서 병렬 계류된 두 선박(10, 20) 사이의 상대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두 선박(10, 20) 사이에서의 안정된 화물의 적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는, 제1선박, 예컨대 LNG FPSO(10)에 설치되고, 제2선박, 예컨대 LNG 수송선(2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는, LNG FPSO(10)의 측면에 마련된 설치홈(102)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일부, 즉 밀착 플레이트(도 5의 140)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102)과 여기에 설치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는, LNG FPSO(10)의 선수와 선미 각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NG FPSO(10)와 LNG 수송선(20)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LNG FPSO(10)에 비해 LNG 수송선(20)의 길이가 짧으며, 또한 LNG 수송선(20)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길이를 가진 LNG 수송선(20)에 대응할 수 있도록, LNG FPSO(10)의 선수와 선미 각각에 LNG FPSO(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예컨대 두 개의 설치홈(102)을 마련하고, 상기 복수의 설치홈(102) 각각에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NG 수송선(20)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LNG FPSO(10)의 선수에 배치된 두 개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LNG 수송선(20)의 길이가 비교적 짧을 경우에는, LNG FPSO(10)의 선수에 배치된 두 개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 중 하나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LNG FPSO(10)의 선수와 선미 중 어느 한 곳에만 LNG FPSO(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예컨대 두 개의 설치 홈(102)을 마련하고, 다른 한 곳에는 하나의 설치홈(102)만 마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밀착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는, 상기 LNG FPSO(10)의 측면에 마련된 상기 설치홈(102) 내에 설치된 수직 가이드 로드(110)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에 결합된 승강 부재(120)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에 설치된 수직 완충 수단과, 상기 승강 부재(120)의 측면에 설치된 수평 완충 수단과, 상기 수평 완충 수단에 결합된 수평 가이드 로드(134)와,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는, 상기 설치홈(102)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승강 부재(12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수직 방향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 부재(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수직 유압식 완충기(112, 114)일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유압식 완충기(112, 114)는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수직 유압식 완충기(112)는 상기 설치홈(102)의 천정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직 유압식 완충기(114)는 상기 설치홈(102)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승강 부재(120)도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와 함께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와 승강 부재(12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 유압식 완충기(112, 114)는 두 선박(10, 20)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운동으로 인한 수직 방향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110)의 외주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116, 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스프링(116, 118)은 상기 수직 유압식 완충기(112, 114)와 승강 부재(120)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평 완충 수단은 수평 방향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는 것으로, 수평 유압식 완충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유압식 완충기(132)는 상기 승강 부재(120)의 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 부재(12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예컨대 두 개가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방향의 충격 하중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는 상기 복수의 수평 유압식 완충기(132) 각각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도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와 밀착 플레이트(14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 유압식 완충기(132)는 두 선박(10, 20)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운동으로 인한 수평 방향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된다.
그런데,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밀착 플레이트(140)와 LNG 수송선(20) 사이의 접촉면이 정확하게 평행을 이루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되기 힘들다. 그리고,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LNG 수송선(20)은 해류나 바람 등에 의해 약간씩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LNG 수송선(20)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의 선단부에 볼 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의 선단부에는 조인트 볼(136)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의 후면에는 상기 조인트 볼(136)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진 조인트 하우징(1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의 조인트 볼(136)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의 조인트 하우징(141)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와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134) 사이의 볼 조인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수평 가이드 로드(134)의 선단부에 볼 조인트 결합되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수평축(Ch)을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소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밀착 플레이트(140)와 LNG 수송선(20)의 사이의 접촉면이 정확하게 평행을 이루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LNG 수송선(20)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LNG 수송선(20)이 해류나 바람 등에 의해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도 LNG 수송선(20)과 함께 상하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LNG 수송선(20)과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의 밀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되는데, 이때 공기 흡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의 전면(前面)의 중간부에는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흡착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홈(142)에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를 관통하는 흡기구(143)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의 흡착홈(142)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흡입 장치(145)가 마련된다. 상기 공기 흡입 장치(145)는 상기 설치홈(102)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LNG FPSO(10) 내에서 해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 장치(145)는 흡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기 튜브(144)를 통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흡기구(143)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흡기 튜브(144)는 플렉시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흡입 장치(145)를 가동시켜 상기 흡착홈(142) 내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상기 흡착홈(142) 내에는 부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부압에 의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높은 강도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145)의 가동을 중지하면, 상기 흡착홈(142) 내의 부압이 사라지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공기 흡입 장치(145)의 흡기구는 흡기 튜브(144)를 통해 흡착홈(142)과 연결되어 있지만, 공기 흡입 장치(145)의 공기 배출구는 대기압의 영향하에 있으므로, 공기 흡입 장치(145)의 가동을 중지하면, 압력의 차이에 의해 공기 흡입 장치(145)로부터 흡기 튜브(144)를 통해 공기가 역류하여 흡착홈(142) 내로 유입되므로 부압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LNG 수송선(20)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그 전면(前面)의 테두리부, 즉 상기 흡착홈(142)의 둘레에 부착된 밀착 패드(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 패드(146)는, 완충성과 유연성을 가진 점탄성 물질, 예컨대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접촉할 때의 충격이 상기 밀착 패드(146)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패드(146)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더욱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홈(142) 내의 부압이 보다 용이하게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와 NG 수송선(20)의 측면 사이의 밀착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홈(102)은 LNG FPSO(10)의 측면에 마련되므로 그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설치홈(102)에는 커버(106)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부재(1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수평 유압식 완충기(132), 수평 가이드 로드(134) 및 밀착 플레이트(140)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수직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106)에는 수직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진 슬롯(108)이 형성된다. 도 5에서는, 설치홈(102)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커버(106)와 슬롯(108)의 반쪽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LNG FPSO(10)의 운항시에는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와 수평 가이드 로드(134)를 설치홈(102) 내부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슬롯(108)을 도어(109)로 닫게 되면, 설치홈(102) 내부로의 해수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밀착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공기 흡착 방식이 아니라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전면(前面)에 부착된 전자석(1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147)에는 전원 케이블(148)을 통해 전원(149)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원(149)은 상기 설치홈(102)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LNG FPSO(10) 내에서 해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별도의 장소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147)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자력에 의해 전자석(147)은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147)에 공급되던 전류를 차단하면 자력이 사라짐으로써, 상기 밀착 플레이트(140)는 LNG 수송선(20)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에 있어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두 선박(10, 20)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상대운동에 의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충격 하중을 수직 유압식 완충기(112, 114), 완충 스프링(116, 118) 및 수평 유압식 완충기(132)가 흡수하게 되므로, 두 선박(10, 20) 사이의 상대운동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두 선박(10, 20) 사이에서의 화물의 적하가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는 두 선박(10, 20)을 계류시키는 작용도 하게 되므로, 두 선박(10, 20)의 병렬 계류를 위해 사용되던 계류 라인(도 3의 30)에 인가되던 계류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계류 라인(도 3의 30)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계류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계류 작업 시간이 감소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설치홈 내에 격벽이 설치되고, 그 격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대운동 감소 장치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LNG FPSO(10)의 측면에 마련된 설치홈(102)의 높이 방향 중간 부위에는 격벽(104)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104)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각각에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설치홈(102) 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100)가 설치됨으로써, 두 선박(10, 20) 사이의 상대운동, 특히 수직 방향의 상대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운동 감소 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LNG FPSO(10)의 측면에 마련된 상기 설치홈(102) 내에는 수직 가이드 로드(210)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21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설치홈(102)의 천정면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210)의 높이 방향 중간부 외주에는 승강 부재(220)가 수직 가이드 로드(2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수직 방향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는 수직 완충 수단으로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210)의 외주에 완충 스프링(212, 214)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 스프링(212, 214)은 상기 승강 부재(2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 부재(220)의 측면에는 수평 유압식 완충기(232)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유압식 완충기(232)에는 수평 가이드 로드(23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234)의 선단부에는 상기 LNG 수송선(20)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24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구성들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200)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중간에 격벽(104)이 형성된 설치홈(102)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210)는 고정되지만, 상기 승강 부재(220)는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21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부재(22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 스프링(212, 214)은 두 선박(10, 20)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운동으로 인한 수직 방향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게 되며, 상기 수평 유압식 완충기(232)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선박(10, 20)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운동으로 인한 수평 방향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게 되므로, 두 선박(10, 20) 사이의 상대운동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제1선박(LNG FPSO) 20...제2선박(LNG 수송선)
30...계류 라인 40...충돌 방지용 펜더
50...오프로딩 아암 100,200...상대운동 감소 장치
102...설치홈 104...격벽
106...커버 108...슬롯
109...도어 110,210...수직 가이드 로드
112,114..수직 유압식 완충기 116,118,212,214...완충 스프링
120,220...승강 부재 132,232...수평 유압식 완충기
134,234...수평 가이드 로드 136...조인트 볼
140,240...밀착 플레이트 141...조인트 하우징
142...흡착홈 143...흡기구
144...흡기 튜브 145...공기 흡입 장치
146...밀착 패드 147...전자석
148...전원 케이블 149...전원

Claims (16)

  1. 해상에서 병렬 계류된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박의 측면에 마련된 설치홈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가이드 로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 결합된 승강 부재;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수직 완충 수단;
    상기 승강 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수평 완충 수단;
    상기 수평 완충 수단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평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수직 유압식 완충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와 함께 승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외주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 유압식 완충기는 상기 설치홈의 천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 유압식 완충기는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는 상기 설치홈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 완충 수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 로드의 외주에 설치된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완충 수단은 수평 유압식 완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완충 수단은 상기 승강 부재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 완충 수단 각각에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에 볼 조인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에는 조인트 볼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조인트 볼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진 조인트 하우징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의 조인트 볼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조인트 하우징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가이드 로드 사이의 볼 조인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공기 흡착 방식에 의해 상기 제1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전면(前面)의 중간부에는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흡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홈에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흡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흡기구는 플렉시블한 흡기 튜브를 통해 공기 흡입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그 전면(前面)의 테두리부에 부착된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밀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그 전면(前面)에 부착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높이 방향의 중간 부위에는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각각에 상기 상대운동 감소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상기 제1선박의 선수와 선미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박의 선수와 선미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상기 설치홈이 상기 제1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100125655A 2010-12-09 2010-12-09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195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5655A KR101195609B1 (ko) 2010-12-09 2010-12-09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5655A KR101195609B1 (ko) 2010-12-09 2010-12-09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26A true KR20120064426A (ko) 2012-06-19
KR101195609B1 KR101195609B1 (ko) 2012-10-29

Family

ID=4668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5655A KR101195609B1 (ko) 2010-12-09 2010-12-09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6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16Y1 (ko) * 2012-09-11 2014-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시스템
KR101536241B1 (ko) * 2014-05-15 2015-07-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구조물
KR20150094221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KR20150094226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고정장치
KR20150139325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무어링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WO2019059536A1 (ko) * 2017-09-21 2019-03-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구조물 충격 분산용 펜더 및 이의 운용방법과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510B1 (ko) 2014-08-29 2016-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711426B1 (ko) * 2014-09-05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상하 운동 저감형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9590A (en) 1976-02-13 1977-08-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Attracting type mooring device
JPS58206478A (ja) 1982-05-22 1983-12-01 Ishikawajima Zosen Kakoki Kk 船舶用吸着式係留装置の吸着位置換え方法
US7793374B1 (en) 2006-04-21 2010-09-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djustable height bridging ramp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16Y1 (ko) * 2012-09-11 2014-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시스템
KR20150094221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KR20150094226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고정장치
KR101536241B1 (ko) * 2014-05-15 2015-07-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구조물
KR20150139325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무어링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WO2019059536A1 (ko) * 2017-09-21 2019-03-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구조물 충격 분산용 펜더 및 이의 운용방법과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609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609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120097827A (ko) 전자석을 이용한 선박의 계류 장치
KR20170029209A (ko) 부유체들 간 계류를 위한 계류 장치
KR101336155B1 (ko) 상대운동이 저감되는 해상구조물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150076746A (ko) 슬로싱 하중 저감 장치
KR101616437B1 (ko) 해양 설비와 셔틀 간의 접안 장치
KR10119560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301999B1 (ko) 부유체
KR101533780B1 (ko) 측면 슬로싱 저감장치
KR101735329B1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KR101346027B1 (ko) 상대운동감소장치
KR20150005124A (ko) 해양구조물의 선체 보호용 완충장치
KR101560281B1 (ko) 부유식 lng 저장 터미널
KR200471516Y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시스템
KR102461017B1 (ko) 계류 및 완충 장치
KR101936379B1 (ko) 선박의 전복방지장치
KR101801803B1 (ko)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KR101894298B1 (ko)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102640381B1 (ko) 계류 및 완충 장치
KR20130000895U (ko) 클램프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
KR101194763B1 (ko) 슬래밍이 저감된 선박
KR102106612B1 (ko) 연료 수송용 선박
KR102050930B1 (ko) 펜더 장치
KR20150000488U (ko) 해양구조물의 선체 보호용 충격 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