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325B1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325B1
KR101599325B1 KR1020140053434A KR20140053434A KR101599325B1 KR 101599325 B1 KR101599325 B1 KR 101599325B1 KR 1020140053434 A KR1020140053434 A KR 1020140053434A KR 20140053434 A KR20140053434 A KR 20140053434A KR 101599325 B1 KR101599325 B1 KR 10159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storage tank
gas storage
saddle
fixed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492A (ko
Inventor
조민규
김태우
유혜현
전민성
전춘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2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안착되는 새들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제1 지그부 및 상기 새들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지그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지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극저온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가스는 선박 등 해상구조물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이용하여 운반되거나 저장된다. 이러한 액화가스 중에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Natural Gas)는 각각 대략 -160도, -45도의 극저온상태로 저장된다.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해상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운반시, 액화가스 저장탱크 자체가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사고로 인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된 구역이 침수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경우, 화재 등 대형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안착되는 새들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제1 지그부 및 상기 새들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지그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지그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주면에 블럭부가 부착되고, 상기 새들부는 상기 블럭부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부은 블럭홈이 형성되고, 상기 새들부는 상기 블럭홈에 삽입되는 롤링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홈과 상기 롤링방지부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중심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그부는 상기 새들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새들부에 부착되는 고정강화부 및 상기 제1 지그부와 상기 고정부 각각과 볼트결합되는 스터드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강화부는 플레이트 형상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새들부에 부착되고,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고, 타단이 개구된 제1 고정강화부 및 상기 제1 고정강화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새들부에 부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고정강화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고정강화부를 지지하는 제2 고정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새들부에 안착시키면서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부착된 제1 지그부와 새들부에 설치된 제2 지그부를 결합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새들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운반시,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새들부에 고정시킴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된 구역에 침수가 발생되는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강화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터드볼트의 결합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롤링방지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장치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는 새들부(200), 제1 지그부(310) 및 제2 지그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는 액화가스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화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화가스가 액화천연가스일 경우, 상기 액화가스저장탱크(200)는 상기 액화천연가스를 대략 -160도, 10bar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는 외조, 내조 및 단열층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새들부(200)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새들부(200)는 상기 액화가스가 저장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새들부(200)는 해상구조물(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새들부(200)의 재질은 탄소강(Carbon Steel)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새들부(200)의 재질은 탄소강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새들부(200)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외주면에는 블럭부(11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110)의 재질은 우드(Wood)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블럭부(110)의 재질은 우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와 상기 새들부(200)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는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새들부(200)는 상기 블럭부(110)가 안착되도록 상기 블럭부(100)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지그부(310)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지그부(3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중심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E)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지그부(310)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외부에 용접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그부(310)에는 제1 인양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제1 지그부(310) 각각에 형성된 제1 인양홀(321)은 크레인(Crane)의 후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를 상기 새들부(2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지그부(320)는 상기 새들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지그부(31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그부(320)는 고정부(321), 고정강화부(330) 및 스터드볼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21)는 상기 새들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새들부(200)는 상기 새들부(20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그부(310)에 하방향에 위치하는 연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1)는 상기 연장부(2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새들부(200)는 상기 연장부(230)에서 돌출된 돌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에는 제2 인양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양홀(242)는 크레인의 후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새들부(200)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를 안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운반될 수 있다.
고정강화부(330)는 상기 고정부(321)와 상기 새들부(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강화부(330)는 상기 고정부(321)를 보다 견고하게 상기 새들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강화부(3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스터드볼트(340)는 상기 제1 지그부(310)와 상기 고정부(321) 각각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를 상기 새들부(200)에 고정함에 따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이송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가 설치된 구역이 침수되는 경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고정강화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강화부(330)는 제1 고정강화부(331), 제2 고정강화부(332) 및 제3 고정강화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의 일단은 상기 새들부(200)의 연장부(230)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321)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부(321)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의 타단은 개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의 타단은 개구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 자체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는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의 일단이 상기 새들부(200)의 연장부(230)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의 상단은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에 부착되어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의 상단은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의 하단과 용접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강화부(333)는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강화부(333)의 일단이 상기 새들부(200)의 연장부(230)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3 고정강화부(333)의 상단은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에 부착되어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강화부(333)의 상단은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의 하단과 용접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고정강화부(330)는 상기 고정부(321)와 상기 새들부의 연장부(23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부(230)의 내측은 비어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게 되어, 상기 연장부(230) 자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 또는 상기 제3 고정강화부(333)의 타단의 개구는 개구된 방향을 따라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의 일단과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의 상단 또는 하단과 연결되는 부분의 형태는 라운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와 상기 제3 고정강화부(333)도 라운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정강화부(331), 상기 제2 고정강화부(332) 또는 상기 제3 고정강화부(333)는 개구된 형태로 가지게 되어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라운드된 형태로 인하여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터드볼트의 결합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터드볼트(340)의 일측은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지그부(310)에 구비된 너트(341)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볼트(340)의 타측은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321)에 구비된 너트(341)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너트(341)는 상기 제1 지그부(310) 또는 상기 고정부(321)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그부(310)에는 상기 너트(341)와 상기 스터드볼트(340) 사이에 와셔(342)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21)에는 상기 너트(341)와 상기 스터드볼트(340) 사이에 와셔(342)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는 상기 스터드볼트(3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지그부(310)와 상기 제2 지그부(32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31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310)를 상기 새들부(200)에서 분리하거나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310)를 상기 새들부(200)에 고정할 필요가 없는 상태인 경우, 상기 스터드볼트(34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지그부(310)와 상기 제2 지그부(32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롤링방지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블럭부(110)는 블럭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홈(112)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중심(O)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E)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새들부(200)는 상기 블럭홈(112)에 삽입되는 롤링방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링방지부(220)는 상기 연장선(E)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링방지부(220)는 상기 볼럭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상기 롤링방지부(220)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가 상기 새들부(200)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홈(112)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하단을 기준으로 예각의 기울기(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링방지부(220)는 상기 기울기를 가지는 블럭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액화가스 저장탱크
200: 새들부
310: 제1 지그부
320: 제2 지그부
321: 고정부
330: 고정강화부
340: 스터드볼트

Claims (6)

  1.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안착되는 새들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제1 지그부; 및
    상기 새들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지그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지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그부는,
    상기 새들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새들부에 부착되고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며 타단이 개구된 제1 고정강화부 및 상기 제1 고정강화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새들부에 부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고정강화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고정강화부를 지지하는 제2 고정강화부를 포함하는 고정강화부; 및
    상기 제1 지그부와 상기 고정부 각각과 볼트 결합되는 스터드볼트; 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주면에 블럭부가 부착되고,
    상기 새들부는 상기 블럭부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는 블럭홈이 형성되고,
    상기 새들부는 상기 블럭홈에 삽입되는 롤링방지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홈과 상기 롤링방지부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중심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40053434A 2014-05-02 2014-05-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KR10159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34A KR101599325B1 (ko) 2014-05-02 2014-05-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34A KR101599325B1 (ko) 2014-05-02 2014-05-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92A KR20150126492A (ko) 2015-11-12
KR101599325B1 true KR101599325B1 (ko) 2016-03-03

Family

ID=5460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434A KR101599325B1 (ko) 2014-05-02 2014-05-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710A (ko) * 2018-12-04 2020-06-1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220027482A (ko) 2020-08-27 202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상방지장치
KR20220029893A (ko) 2020-09-02 2022-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체 저장탱크의 부상방지장치
KR20220033256A (ko) 2020-09-09 2022-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상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628A1 (ko) * 2017-12-19 2019-06-27 김광석 액화 화물 저장 탱크의 고정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910B1 (ko) * 2011-06-23 2013-06-1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의 지지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308A (ko) * 2011-03-15 2012-09-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에 탑재되는 탱크의 구속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910B1 (ko) * 2011-06-23 2013-06-1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의 지지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710A (ko) * 2018-12-04 2020-06-1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192105B1 (ko) * 2018-12-04 2020-12-16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탱크 냉각시스템,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220027482A (ko) 2020-08-27 202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상방지장치
KR20220029893A (ko) 2020-09-02 2022-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체 저장탱크의 부상방지장치
KR20220033256A (ko) 2020-09-09 2022-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상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92A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32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KR200452608Y1 (ko) Lng선 펌프타워의 지지대 연결 구조
KR101744223B1 (ko) 선박용 lng 저장 탱크의 내조 지지구조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10186703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그의 고정장치
KR20140045737A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KR102125113B1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1310959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구조물
KR20130044440A (ko) 슬로싱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화물창 및 방법
JP6670328B2 (ja) 舶用二重殻タンク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KR101588692B1 (ko) 저장탱크 지지장치
KR10168650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884761B1 (ko)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그의 인서트 너트 내장형 고정장치
KR102521171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다단 분리 조립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101334354B1 (ko) 액체 화물 저장탱크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490348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102490346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분리 구조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0482843Y1 (ko) 독립형 탱크의 지지 구조물
KR102050940B1 (ko) 족장장치
KR102552637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그의 고정장치
KR101794103B1 (ko) 족장 구조물
KR102160477B1 (ko) 극저온 유체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
KR102451802B1 (ko) 펌프 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