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644B1 -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644B1
KR101281644B1 KR1020110048241A KR20110048241A KR101281644B1 KR 101281644 B1 KR101281644 B1 KR 101281644B1 KR 1020110048241 A KR1020110048241 A KR 1020110048241A KR 20110048241 A KR20110048241 A KR 20110048241A KR 101281644 B1 KR101281644 B1 KR 10128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ull block
hull
block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363A (ko
Inventor
토요후쿠
김병우
박찬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64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Abstract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은 선체블록과 상갑판 사이를 고박 장치로 상호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갑판의 지지대 위에 선체블록을 배치하는 블록 배치단계; B) 상기 고박 장치의 지지모듈을 상기 선체블록의 소켓 아래쪽의 상기 상갑판에 설치하는 지지모듈 설치단계; C) 상기 고박 장치의 고박모듈을 상기 소켓의 플러그구멍에 끼우고,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고박모듈 설치단계; D) 상기 지지모듈과 상기 선체블록의 바닥 사이에 높이 조절형 반목을 삽입하는 반목 삽입단계; E) 상기 고박모듈에 고박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선체블록과 상기 고박 장치를 상호 고정시키는 블록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LAS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RINE TRANSPORTATION OF HULL BLOCK}
본 발명은 선체블록을 해상으로 운송하기 위해 운송수단인 바지선의 갑판과 선체블록을 상호 고정시키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조선산업은 공장부지 확장의 어려움과 생산 인건비 상승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해외나 인근 공단에 블록 공장을 세우고, 블록 공장에서 완성된 선체블록을 조선소로 해상 운송함으로써, 도크(dock)의 가동율을 높이고 공장부지 확장의 어려움을 해결하면서 선체를 완성하고 있다.
이렇게 사외에서 완성된 선체블록은 해상 운송을 위하여 바지선에 선적되고, 파랑 등의 환경하중에 대해 선체블록을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하여 선체블록과 바지선을 상호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함으로서 바지선의 운동에 의해 블록을 유실하지 않고 안전하게 조선소로 운송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바지선과 선체블록을 고박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박부재(1)를 직접 선체블록(2)에 용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통상적인 바지선(3)의 운동으로 인한 관성력은 바지선(3)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작용함으로, 이 방향에 대해 고박부재(1)를 설치한다.
이때, 바지선(3)의 상갑판에 설치되어 있는 고박부재(1)의 상부 용접부(4)에 의해 선체블록(2)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 선체블록을 해상운송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완성된 선체블록을 해상운송용 바지선에 선적한 후에 고박부재를 설치한 다음, 선체블록에 고박부재를 직접 용접해야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조선소의 블록 조달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해상을 통해 선체블록을 안전하게 운송하여 조선소 내부에 도착한 후, 운송된 선체블록을 이용하여 선체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선체블록과 용접된 고박부재를 제거해야 함으로써, 역시 제거 작업 또는 절단 작업을 위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고박부재와 용접되었던 선체블록의 연결 부분에는 그라인딩 작업과 재벌 도장 작업을 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에 필요한 물품 및 인적 시수 소요도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박 장치를 미리 상갑판에 배치 또는 고정하여 놓은 다음, 그 위로 선체블록을 이동시켜 나사 결합하려는 경우, 부유 상태에서의 자세 조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단순히 볼트 또는 나사 결합하는 것만으로는 선체블록을 상갑판에 고정시키기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체블록에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선체블록의 바닥에 기 마련되어 있는 소켓의 플러그구멍을 이용하여, 선체블록과 고박 장치간 용접 없이 상호 고정시킬 수 있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을 위해 나사 결합으로 선체블록을 바지선의 상갑판에 상호 고정시키되, 선체블록을 지지대에 미리 배치한 후, 선체블록을 고박할 수 있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블록과 상갑판 사이를 고박 장치로 상호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갑판의 지지대 위에 상기 선체블록을 배치하는 블록 배치단계; B) 상기 고박 장치의 지지모듈을 상기 선체블록의 소켓 아래쪽의 상기 상갑판에 설치하는 지지모듈 설치단계; C) 상기 고박 장치의 고박모듈을 상기 소켓의 플러그구멍에 끼우고,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고박모듈 설치단계; D) 상기 지지모듈과 상기 선체블록의 바닥 사이에 높이 조절형 반목을 삽입하는 반목 삽입단계; E) 상기 고박모듈의 볼트부에 고박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선체블록과 상기 고박 장치를 상호 고정시키는 블록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B) 단계에서는, 상기 지지모듈의 기둥부가 상기 상갑판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모듈의 높이와 상기 지지대의 높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지지모듈의 마감판부와 상기 선체블록의 바닥의 저면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C) 단계에서는, 상기 고박모듈이 상기 여유 공간을 통해 상기 플러그구멍의 아래쪽에 배치된 후, 상기 고박모듈의 볼트부가 상기 소켓의 플러그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C) 단계에서는, 상기 고박모듈의 기저판부가 플랜지 결합 또는 용접 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모듈의 마감판부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갑판과 선체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고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갑판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갑판에 기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지지모듈과,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고, 너트 체결 방식에 의해 상기 선체블록의 보텀 플러그용 소켓의 플러그구멍과 체결되는 고박모듈을 포함하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모듈은, 상기 상갑판에 고정된 지지 기둥 형태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결합된 플랜지(flange) 형태의 마감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박모듈은, 상기 지지모듈의 마감판부와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는 플랜지 형태의 기저판부와, 상기 기저판부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봉 형상을 갖도록 돌출되고 상단에 나사를 형성하고 있는 볼트부와, 상기 선체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부의 나사에 체결되는 고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선소 외부에서 제작된 선체블록을 해상운송하기 위해, 선체블록과 고박 장치간 용접 없이 볼트 너트 결합으로 상호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조선소의 블록 조달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박 너트를 해제하여 선체블록과 고박 장치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어서, 기존의 용접 또는 절단 작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체블록과 고박 장치간 용접 부위가 없으므로, 용접부위를 없애기 위한 그라인딩 작업과 재벌 도장 작업이 필요 없고, 이로 인해 기존 작업에 소요되었던 물품 및 인적 시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지선과 선체블록을 고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에 사용된 고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의 단계별 상황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고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S100 ~ S180)을 제공하되, 블록 배치단계(S100)와, 지지모듈 설치단계(S120)와, 고박모듈 설치단계(S140)와, 반목 삽입단계(S160)와, 블록 고정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선체블록과 바지선의 상갑판 사이를 상호 고정하도록 지지모듈(110)과 고박모듈(120)을 갖는 고박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고박 장치(100)는 선체블록과 바지선의 상갑판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이때 해당 선체블록에 형성된 소켓의 플러그구멍의 개수에 대응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모듈(110)은 상갑판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 기둥 형태의 기둥부(111)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결합된 플랜지(flange) 형태의 마감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부(111)와 마감판부(112)는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기둥부(111)는 본 실시예에서 지름과 두께를 갖는 파이프 부재를 이용한 한 개의 기둥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한 개의 기둥과 그 주변에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경사 기둥(미 도시)을 갖는 지지 구조물 형태로도 적절히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고박모듈(120)은 지지모듈(110)의 상부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고, 너트 체결 방식에 의해 선체블록(90)의 보텀 플러그용 소켓(200)의 플러그구멍(201)과 체결될 수 있다.
즉, 고박모듈(120)은 상기 지지모듈(110)의 마감판부(112)와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는 플랜지 형태의 기저판부(121)와, 기저판부(121)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봉 형상을 갖도록 돌출되고 상단에 나사를 형성하고 있는 볼트부(122)와, 상기 선체블록(90)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부(122)의 나사에 체결되는 고박너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부(122)는 도 4에 도시된 소켓(200)의 플러그구멍(201) 내경 크기를 고려하여, 플러그구멍(201)에 삽입 가능하면서도 고박에 필요한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구조 설계 과정에 도출되는 직경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트부(122) 이외의 다른 고박 장치(100)의 구성물도 고박시키려는 해당 선체블록의 하중과 안전율 등을 고려하여 제작될 수 있다.
고박모듈(120)은 상기 지지모듈(110)과의 연결 설치를 위해서 복수개의 플랜지볼트(124) 및 플랜지너트(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판부(112)와 기저판부(121)는 플랜지 형태의 결합 구조와 같이, 마감판부(112)와 기저판부(121)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구멍과, 플랜지구멍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플랜지볼트(124) 및 플랜지너트(125)로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구멍이란 기저판부(121) 또는 마감판부(112)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고, 기저판부(121) 또는 마감판부(112)의 두께 방향을 관통된 구멍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볼트(124) 및 플랜지너트(125)를 기저판부(121)와 마감판부(112)의 플랜지구멍에 체결하지 않으면서 기저판부(121)와 마감판부(112)을 상호 연결시키려는 경우에는 마감판부(112)와 기저판부(121)간 접촉 경계를 따라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마감판부(112)와 기저판부(121)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의 단계별 상황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선체블록(90)은, 조선소 외부에서 제작되어 조선소 내부로 운송하기 위한 해상운송용 블록으로서, 예컨대 더블 바텀 블록(double bottom block)과 같이 소켓(socket)(200)을 갖는 어떠한 블록이라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소켓(200)은 선박용 탱크를 형성하기 위한 선체블록(90)에 있어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선체블록(90)의 바닥(91)에 구멍을 뚫고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소켓(200)은 나사 형태의 보텀 플러그(bottom plug)(미 도시)를 체결하기 위한 플러그구멍(201)을 갖는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보텀 플러그는 탱크 검사 이후 소켓(200)의 플러그구멍(201)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잔수가 완전히 배수되어 탱크 출고 전에는 플러그구멍(201)은 완전 밀폐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각 단계에 대응하는 도 4 내지 도 8을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배치단계(S100)는 바지선(30)의 상갑판(31)에 기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40) 위에 선체블록(90)을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40)는 하기에 설명할 고박 장치의 지지모듈보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바지선(30)의 상갑판(31)에서 선체블록(90)의 바닥(91)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로 기 설치되어 있는 블록 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모듈 설치단계(S120)는 고박 장치(100)의 지지모듈(110)을 상기 선체블록(90)의 소켓(200) 아래쪽의 상기 상갑판(31)에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지지모듈(110)의 기둥부(111)는 상기 상갑판(31)에 설치된 지지대(4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상태로서 기둥부(111)의 하부를 상갑판(31)의 상면에 용접하여 상갑판(3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모듈(110)의 높이와 지지대(40)의 높이 차이에 의해, 지지모듈(110)의 마감판부(112)와 상기 선체블록(90)의 바닥(91)의 저면 사이에는 여유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다른 작업자들의 도움을 받거나 또는 적절한 중량물 취급 장치를 이용하여,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고박모듈(120)을 상기 여유 공간(G)에서 경사지게 배치한 후, 지지모듈(110)의 마감판부(112) 또는 플러그구멍(201)의 근처로 고박모듈(120)을 접근시킬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고박모듈 설치단계(S140)는 고박 장치(100)의 고박모듈(120)을 소켓(200)의 플러그구멍(201)에 끼우고, 지지모듈(110)의 상부에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고박모듈(120)을 소켓(200)의 플러그구멍(201)에 끼움에 있어서, 작업자는 여유 공간(G)을 통해 경사지게 접근된 고박모듈(120)을 플러그구멍(201) 쪽으로 회전시킨 후, 고박모듈(120)의 볼트부(122)를 플러그구멍(201)에 끼우고, 이후, 고박모듈(120)의 기저판부(121)를 지지모듈(110)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박모듈(120)은 작업자들의 인력 또는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중량물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미 도시) 또는 견인 또는 인장 장치의 일종인 체인블록(chain block)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볼트부(122)에서 나사가 형성된 부위는 플러그구멍(201)을 지나 플러그구멍(201)의 연직 상방 위치까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박모듈(120)을 지지모듈(110)의 상부에 연결함에 있어서, 고박모듈(120)의 기저판부(121)는 플랜지 결합 또는 용접 결합에 의해 지지모듈(110)의 마감판부(112)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박모듈(120)의 기저판부(121)와 선체블록(90)의 바닥(91)의 저면 사이에 반목 삽입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반목 삽입단계(S160)는 지지모듈(110)과 선체블록(90)의 바닥(91) 사이에 높이 조절형 반목(300)을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조절형 반목(300)이 삽입되는 곳은 지지모듈(110)과 선체블록(90)의 바닥(91)의 사이로서 앞서 언급한 반목 삽입 공간(S)일 수 있다.
높이 조절형 반목(3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웨지형 결합 구조의 반목 장치로서, 통상의 선박 반목용 항타기 등의 장비에 의해 반목(300)의 저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반목 삽입 공간(S)을 채울 수 있게 된다.
도 2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블록 고정단계(S180)는 고박모듈(120)의 볼트부(122)에 고박너트(123)를 체결하여 선체블록(90)과 고박 장치(100)를 상호 고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고박너트(123)는 작업자 또는 크레인 등에 의해 선체블록(9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작업자는 적절한 중량물 취급 장치 또는 공구(예: 체인블록, 삼각대, 대형 소켓 렌찌 등)을 이용하여 고박너트(123)를 볼트부(122)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을 위한 선체블록(90)이 고박 장치(100)에 의해 바지선(30)의 상갑판(31)에 고박될 수 있다.
한편, 해상운송 이후 선체블록(90)을 조선소에 미래 정해진 위치로 적재시키기 위해서, 선체블록(90)을 크레인(미 도시)으로 인양하는 작업에서, 작업자는 고박너트(123)를 해제하여 선체블록(90)과 고박 장치(100)를 손쉽게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는 기 마련되어 있는 소켓(200)의 플러그구멍(201)을 활용하여 고박 장치(100)로 선체(90)블록을 용접 없이도 상호 고정시킬 수 있고, 나사 방식으로 해체시킬 수도 있으므로, 운송 이후에 고박 장치(100)와 선체블록(90)간 분리 시간이 단축되며, 기존의 그라인딩과 재벌 도장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 블록 조달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고박 장치 110 : 지지모듈
111 : 기둥부 112 : 마감판부
120 : 고박모듈 121 : 기저판부
122 : 볼트부 123 : 고박너트
124 : 플랜지볼트 125 : 플랜지너트
200 : 소켓 201 : 플러그구멍

Claims (7)

  1. 선체블록과 상갑판 사이를 고박 장치로 상호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갑판의 지지대 위에 상기 선체블록을 배치하는 블록 배치단계;
    B) 상기 고박 장치의 지지모듈을 상기 선체블록의 소켓 아래쪽의 상기 상갑판에 설치하는 지지모듈 설치단계;
    C) 상기 고박 장치의 고박모듈을 상기 소켓의 플러그구멍에 끼우고,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고박모듈 설치단계;
    D) 상기 지지모듈과 상기 선체블록의 바닥 사이에 높이 조절형 반목을 삽입하는 반목 삽입단계;
    E) 상기 고박모듈의 볼트부에 고박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선체블록과 상기 고박 장치를 상호 고정시키는 블록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지지모듈의 기둥부가 상기 상갑판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모듈의 높이와 상기 지지대의 높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지지모듈의 마감판부와 상기 선체블록의 바닥의 저면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고박모듈이 상기 여유 공간을 통해 상기 플러그구멍의 아래쪽에 배치된 후, 상기 고박모듈의 볼트부가 상기 소켓의 플러그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고박모듈의 기저판부가 플랜지 결합 또는 용접 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모듈의 마감판부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5. 상갑판과 선체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고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갑판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갑판에 기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지지모듈과,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고, 너트 체결 방식에 의해 상기 선체블록의 보텀 플러그용 소켓의 플러그구멍과 체결되는 고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상갑판에 고정된 지지 기둥 형태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결합된 플랜지(flange) 형태의 마감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박모듈은,
    상기 지지모듈의 마감판부와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는 플랜지 형태의 기저판부와,
    상기 기저판부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봉 형상을 갖도록 돌출되고 상단에 나사를 형성하고 있는 볼트부와,
    상기 선체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부의 나사에 체결되는 고박너트를 포함하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10048241A 2011-05-23 2011-05-23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10128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41A KR101281644B1 (ko) 2011-05-23 2011-05-23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41A KR101281644B1 (ko) 2011-05-23 2011-05-23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63A KR20120130363A (ko) 2012-12-03
KR101281644B1 true KR101281644B1 (ko) 2013-07-03

Family

ID=4751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241A KR101281644B1 (ko) 2011-05-23 2011-05-23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71U (ko) 2015-10-27 2017-05-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KR20210038054A (ko) 2019-09-30 2021-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핀타입 해상운송 구조물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4649B (zh) * 2014-12-29 2017-02-22 上海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超大型海洋工程整装拆分模块绑扎的跨洋运输方法
CN108510149B (zh) * 2018-01-30 2021-07-13 天津大学 一种大件货海运安全综合决策方法
CN113928498A (zh) * 2021-11-29 2022-01-1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双燃料大型集装箱船特殊分段的搁置运输方法
CN115123463B (zh) * 2022-07-05 2023-11-1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船舶上层建筑的临时海绑结构及其海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9188A (ja) * 1984-04-16 1985-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底外板取替方法
JP2002145172A (ja) 2000-11-15 2002-05-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体ブロック受け支柱装置
KR200445680Y1 (ko) * 2007-08-27 2009-08-24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상운송용 선박의 선박블록 지지장치
KR20110039728A (ko) * 2009-10-12 2011-04-20 (주)대한정공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9188A (ja) * 1984-04-16 1985-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底外板取替方法
JP2002145172A (ja) 2000-11-15 2002-05-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体ブロック受け支柱装置
KR200445680Y1 (ko) * 2007-08-27 2009-08-24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상운송용 선박의 선박블록 지지장치
KR20110039728A (ko) * 2009-10-12 2011-04-20 (주)대한정공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71U (ko) 2015-10-27 2017-05-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KR20210038054A (ko) 2019-09-30 2021-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핀타입 해상운송 구조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63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US9266590B1 (en) Modular floating dry dock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CN203767033U (zh) 海工模块绑扎运输的支护装置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RU2549725C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TW201433524A (zh) 用來將待運送的貨櫃支撐在貨船上的支撐件,用來在貨船上載運貨物的貨櫃,支撐貨櫃的方法及用來支撐貨櫃的繫橋
JP5546598B2 (ja) 浮体ユニット、浮体ユニットにより組み立てられた浮体構造物及び浮体構造物の組立方法
KR101246075B1 (ko)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KR101588692B1 (ko) 저장탱크 지지장치
KR101589196B1 (ko)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KR101706207B1 (ko)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용 의장 설치 방법
KR102221288B1 (ko) 메인터넌스 설비 및 발전 설비 그리고 기기의 메인터넌스 방법
KR101122568B1 (ko)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GB2501459A (en) Platform removal and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flotation and stabilization units
KR101499162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KR102490346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분리 구조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20140006180U (ko) 조인트 파이프 지지 장치
JP3100546B2 (ja) 海上作業台船の組立て方法
KR20150001825U (ko)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20150069055A (ko) 해양 구조물용 모노레일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92952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조물 지지 장치
KR20140046903A (ko)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KR101608010B1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20150001713U (ko)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버티컬 베슬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