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825U -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825U
KR20150001825U KR2020130009084U KR20130009084U KR20150001825U KR 20150001825 U KR20150001825 U KR 20150001825U KR 2020130009084 U KR2020130009084 U KR 2020130009084U KR 20130009084 U KR20130009084 U KR 20130009084U KR 20150001825 U KR20150001825 U KR 201500018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lide
stool
fix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825U/ko
Publication of KR20150001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8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슬랜트(slant)형 상부구조물 지지구조에서, 탑사이드(topside)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업리프트 브라켓(uplift bracket, 400)으로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고, 마주보는 두 측면(111, 112)이 연통되어 개방된 박스형 구조이며, 상부면에 슬릿형(slit type) 개구부(120)가 형성된 고정부재 몸체(100); 및 상기 고정부재 몸체(100) 내부에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되고, 고정부재 몸체에 삽입된 후 고정부재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툴(stool, 600)과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240) 및 상기 슬릿형 개구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25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Sliding Type Stopping Member for Marin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고안은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특정 구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는 다양한 용도를 가진 부유식 해양플랜트가 설치 또는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양플랜트는 설치된 해상에서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계류 또는 정박된 상태에서 해저에 매장되어 있는 Oil 또는 Gas를 생산하는 설비로 그 종류는 FPSO(Oil-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으로 주로 Oil 또는 Gas를 생산),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U(Floating Production Unit)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플랜트는 최근에 유가의 상승, 육상에서의 석유자원 고갈 및 청정연료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인해 심해(Deep Sea) 해저에서 석유 및 가스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 플랜트 공사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부유식 해양플랜트에서 상부모듈(Topside Module)은 심해 해저에 매장되어 있는 Gas 또는 Oil을 채굴하여 1차 정제(Oil, Gas, Water를 분리)를 담당하며, 해수면에 떠 있는 하부 선체는 상부 모듈에서 생산된 Oil 또는 Gas를 저장하거나 운송선이 접안하면 저장된 Oil 또는 Gas를 운송선에 적재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선체 갑판 상부에 설치된 모듈 지지스툴(Module Support Stool)은 상부모듈 구조에 걸리는 전체 하중을 지지하면서 그 하중을 하부 선체로 전달 및 분산 시킴과 동시에 선체의 거동에도 상부 모듈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부 모듈은 지지스툴 상부의 모듈 구조와 지지스툴의 형상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여러 타입이며, 구조가 복잡하였으며, 현장요구 및 조건에 따라 그 형상 및 규격이 상이하여 이와 관련된 구조물의 설치, 수리 및 교체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상부구조물의 지지구조는 구조적인 복잡성으로 인하여 제작상 어려움을 가지며, 상부구조물 탑재 시 공차조정이 어려움과 해상 가동 시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 등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구조물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구조물 지지장치는,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 10)을 스툴(stool, 20)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고정부재(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체인 블록(1, 2) 및 고정 브라켓(fixing bracket, 3) 등을 사용한다. 또한,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용접사에 의한 용접작업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0)를 탑사이드 모듈(10)에 선행 설치 시 고정 브라켓(3)을 이용하여 가용접한다. 이런 후 스툴(20) 상부에 수평 베어링(horizontal bearing, 30)을 설치하고, 탑사이드 모듈(10)을 스툴(20)에 안착시킨다. 이런 후 최종적으로, 체인 블록(1, 2)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한 후 최종 용접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언급한 공정을 통해 설치된 수평 베어링(30)은, 소정의 기간이 지난 후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체 작업시, 고정부재(40)는 필히 제거되어야 하면, 수평 베어링(30) 교체 후 다시 설치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스툴(40)의 높이(H)는 4 m 이상인 바, 용접작업에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더욱이, 용접되어지는 고정부재(40)의 중량은 대략 1.4 톤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더욱 크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구조적인 복잡성으로 인해 제작상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해상 가동 시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 등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54674호 (2013년 04월 09일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도출한 것으로,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 몸체 및 고정부재 슬라이더를 적용함으로써, 해양구조물 지지장치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해상 가동 시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슬랜트(slant)형 상부구조물 지지구조에서, 탑사이드(topside)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업리프트 브라켓(uplift bracket, 400)으로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고, 마주보는 두 측면(111, 112)이 연통되어 개방된 박스형 구조이며, 상부면에 슬릿형(slit type) 개구부(120)가 형성된 고정부재 몸체(100); 및
상기 고정부재 몸체(100) 내부에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되고, 고정부재 몸체에 삽입된 후 고정부재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툴(stool, 600)과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240) 및 상기 슬릿형 개구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25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형 개구부(120)는,
개구부의 양 끝단에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D)으로 형성된 두 개의 볼트홀(121, 123); 및
상기 두 개의 볼트홀(121, 123)을 연결하고, 볼트홀(121, 123)의 직경(D) 대비 50 내지 90 %의 폭(W)으로 형성된 레일형 개방부(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는,
측면상 상부면(210), 하부면(230) 및 상부면(210)과 하부면(230)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220)를 갖는 H형 빔 형상이고,
상기 수직연결부(220)의 측면에는 상부면(210)과 하부면(230)을 지지하도록 보강부(26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면(210) 또는 하부면(230)에는 둘 이상의 볼트홀(2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는,
상기 고정부재 몸체(100)와 슬릿형 개구부(120)를 통해 볼트 및 와셔(bolt and washer, 300)로써 결합되고,
슬릿형 개구부(120)를 따라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부재 몸체(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슬라이드형 고정부재(400)를 슬랜트(slant)형 상부구조물 지지구조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슬라이드형 고정부재(400)를 슬랜트(slant)형 상부구조물 지지구조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은,
(a) 탑사이드(topside, 500) 및 스툴(stool, 600)을 준비하는 과정;
(b) 탑사이드(500)를 리프팅(lifting)하여 스툴(600) 상공에 위치시키는 과정;
(c) 탑사이드(500)를 하강시켜 스툴(600)에 안착시키는 과정; 및
(d)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부(240)를 스툴(600)과 맞물린 후 볼팅으로써 고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은, 상기 (c) 과정에서, 탑사이드(500) 하단부에 수압잭(hydraulic jack)을 위치시키고, 수압잭을 이용하여 탑사이드(500)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S1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있어서, 수평 베어링(horizontal bearing, 600) 또는 수직 베어링(vertical bearing, 600)을 교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은,
(e) 고정부재(400)의 볼팅 체결을 제거한 후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과정;
(f) 탑사이드(500)와 스툴(600)을 분리시키는 과정;
(g) 수평 베어링(horizontal bearing, 600) 또는 수직 베어링(vertical bearing, 600)을 교체하는 과정;
(h) 탑사이드(500)를 하강시켜 스툴(600)에 안착시키는 과정; 및
(i)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부(240)를 스툴(600)과 맞물린 후 볼팅으로써 고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은, 상기 (h) 과정(S240)에서, 탑사이드(500) 하단부에 수압잭(hydraulic jack)을 위치하고, 수압잭을 이용하여 탑사이드(500)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S2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는,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 몸체 및 고정부재 슬라이더를 포함함으로써, 해양구조물 지지장치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해상 가동 시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방법 및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은, 특정 구조의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제작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작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해상 가동 시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작비용 및 유지/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구조물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부재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부재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고정부재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가 장착된 탑사이드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고정부재 몸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고정부재 몸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2의 고정부재 슬라이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가 장착된 탑사이드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400)는, 고정부재 몸체(100), 고정부재 슬라이더(200), 볼트 및 와셔(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 몸체(100)는, 마주보는 두 측면(111, 112)이 연통되어 개방된 박스형 구조이며, 상부면에 슬릿형(slit type) 개구부(120)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형 개구부(120)는, 볼트홀(121, 123) 및 레일형 개방부(122)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볼트홀(121, 123)은 개구부의 양 끝단에 소정의 직경(D)으로 형성된 구조이고, 레일형 개방부(122)는 두 개의 볼트홀(121, 123)을 연결하고, 볼트홀(121, 123)의 직경(D) 대비 50 내지 90 %의 폭(W)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 슬라이더(200)는, 고정부재 몸체(100) 내부에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되고, 고정부재 몸체에 삽입된 후 고정부재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툴(stool, 600)과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240) 및 상기 슬릿형 개구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25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는, 측면상 상부면(210), 하부면(230) 및 상부면(210)과 하부면(230)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220)를 갖는 H형 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수직연결부(220)의 측면에는 상부면(210)과 하부면(230)을 지지하도록 보강부(26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부면(210) 또는 하부면(230)에는 둘 이상의 볼트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고정부재 슬라이더(200)는, 고정부재 몸체(100)와 슬릿형 개구부(120)를 통해 볼트 및 와셔(bolt and washer, 300)로써 결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형 개구부(120)를 따라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부재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 5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부(240)의 돌출길이를 조정(도 6의 화살표 참조)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및 도 1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은,
(a) 탑사이드(topside, 500) 및 스툴(stool, 600)을 준비하는 과정(S110);
(b) 탑사이드(500)를 리프팅(lifting)하여 스툴(600) 상공에 위치시키는 과정(S120);
(c) 탑사이드(500)를 하강시켜 스툴(600)에 안착시키는 과정(S130); 및
(d)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부(240)를 스툴(600)과 맞물린 후 볼팅으로써 고정하는 과정(S140);
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c) 과정(S130)에서, 탑사이드(500) 하단부에 수압잭(hydraulic jack)을 위치시키고, 수압잭을 이용하여 탑사이드(500)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S135);을 더 포함한다.
도 13 및 도 1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수평 베어링(horizontal bearing, 600) 또는 수직 베어링(vertical bearing, 600)을 교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은,
(e) 고정부재(400)의 볼팅 체결을 제거한 후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과정(S210);
(f) 탑사이드(500)와 스툴(600)을 분리시키는 과정(S220);
(g) 수평 베어링(horizontal bearing, 600) 또는 수직 베어링(vertical bearing, 600)을 교체하는 과정(S230);
(h) 탑사이드(500)를 하강시켜 스툴(600)에 안착시키는 과정(S240); 및
(i)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부(240)를 스툴(600)과 맞물린 후 볼팅으로써 고정하는 과정(S250);
을 포함한다.
또한, (h) 과정(S240)에서, 탑사이드(500) 하단부에 수압잭(hydraulic jack)을 위치하고, 수압잭을 이용하여 탑사이드(500)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S2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는,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 몸체 및 고정부재 슬라이더를 포함함으로써, 해양구조물 지지장치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해상 가동 시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방법 및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은, 특정 구조의 슬라이드형 고정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제작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작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해상 가동 시 유지 및 보수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작비용 및 유지/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이점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2: 체인 3: 고정 브라켓(fixing bracket)
10: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 20: 스툴(stool)
30: 베어링 40: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100: 고정부재 몸체 111, 112: 측개방면
120: 슬릿형 개구부 121, 123: 볼트홀
122: 레일형 개방부 200: 고정부재 슬라이더
210: 상부면 220: 수직연결부
230: 하부면 240: 고정부
250: 볼트홀(bolt hole) 260: 보강부
300: 볼트와 와셔(bolt and washer)
400: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500: 탑사이드 모듈
600: 스툴(stool)

Claims (9)

  1.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슬랜트(slant)형 상부구조물 지지구조에서, 탑사이드(topside)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업리프트 브라켓(uplift bracket, 400)으로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고, 마주보는 두 측면(111, 112)이 연통되어 개방된 박스형 구조이며, 상부면에 슬릿형(slit type) 개구부(120)가 형성된 고정부재 몸체(100); 및
    상기 고정부재 몸체(100) 내부에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되고, 고정부재 몸체에 삽입된 후 고정부재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툴(stool, 600)과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240) 및 상기 슬릿형 개구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25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개구부(120)는,
    개구부의 양 끝단에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D)으로 형성된 두 개의 볼트홀(121, 123); 및
    상기 두 개의 볼트홀(121, 123)을 연결하고, 볼트홀(121, 123)의 직경(D) 대비 50 내지 90 %의 폭(W)으로 형성된 레일형 개방부(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는,
    측면상 상부면(210), 하부면(230) 및 상부면(210)과 하부면(230)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220)를 갖는 H형 빔 형상이고,
    상기 수직연결부(220)의 측면에는 상부면(210)과 하부면(230)을 지지하도록 보강부(26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면(210) 또는 하부면(230)에는 둘 이상의 볼트홀(2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슬라이더(slider, 200)는,
    상기 고정부재 몸체(100)와 슬릿형 개구부(120)를 통해 볼트 및 와셔(bolt and washer, 300)로써 결합되고,
    슬릿형 개구부(120)를 따라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부재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5.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400)를 슬랜트(slant)형 상부구조물 지지구조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6.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라이드형 고정부재(400)를 슬랜트(slant)형 상부구조물 지지구조에 설치하는 방법(S100)으로서,
    (a) 탑사이드(topside, 500) 및 스툴(stool, 600)을 준비하는 과정(S110);
    (b) 탑사이드(500)를 리프팅(lifting)하여 스툴(600) 상공에 위치시키는 과정(S120);
    (c) 탑사이드(500)를 하강시켜 스툴(600)에 안착시키는 과정(S130); 및
    (d)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부(240)를 스툴(600)과 맞물린 후 볼팅으로써 고정하는 과정(S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은, 상기 (c) 과정에서, 탑사이드(500) 하단부에 수압잭(hydraulic jack)을 위치시키고, 수압잭을 이용하여 탑사이드(500)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S1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
  8. 상기 제 5 항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있어서, 수평 베어링(horizontal bearing, 600) 또는 수직 베어링(vertical bearing, 600)을 교체하는 방법(S200)으로서,
    (e) 고정부재(400)의 볼팅 체결을 제거한 후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과정(S210);
    (f) 탑사이드(500)와 스툴(600)을 분리시키는 과정(S220);
    (g) 수평 베어링(horizontal bearing, 600) 또는 수직 베어링(vertical bearing, 600)을 교체하는 과정(S230);
    (h) 탑사이드(500)를 하강시켜 스툴(600)에 안착시키는 과정(S240); 및
    (i) 고정부재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부(240)를 스툴(600)과 맞물린 후 볼팅으로써 고정하는 과정(S2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구조물 베어링 교체방법은, 상기 (h) 과정(S240)에서, 탑사이드(500) 하단부에 수압잭(hydraulic jack)을 위치하고, 수압잭을 이용하여 탑사이드(500)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S2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설치방법.
KR2020130009084U 2013-11-05 2013-11-05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201500018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084U KR20150001825U (ko) 2013-11-05 2013-11-05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084U KR20150001825U (ko) 2013-11-05 2013-11-05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825U true KR20150001825U (ko) 2015-05-13

Family

ID=5343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084U KR20150001825U (ko) 2013-11-05 2013-11-05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8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578A (zh) * 2018-12-14 2019-04-19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海工船舶甲板上部模块底座及制作安装方法
KR20190114559A (ko) * 2018-03-30 2019-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탑사이드 모듈 탑재 가이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59A (ko) * 2018-03-30 2019-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탑사이드 모듈 탑재 가이드 장치
CN109649578A (zh) * 2018-12-14 2019-04-19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海工船舶甲板上部模块底座及制作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0329B2 (ja) 緊張係留浮体のための支援用浮体、及び、これを用いた緊張係留浮体の曳航方法と設置方法
US6340272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 offshore platform
AU2017269088B2 (en) A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US6666624B2 (en) Floating, modular deepwater platform and method of deployment
KR2012007798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US8312828B2 (en) Preloading to reduce loads and save steel on topsides and grillage of catamaran systems
KR101254674B1 (ko) 부유식 해양플랜트 상부모듈의 구조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CN102356021B (zh) 用于装载和运输大结构的滑靴组件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20150001825U (ko)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20160150417A (ko) 선체 상부 데크 상의 구조물 지지장치
US20120006247A1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US10024015B2 (en) Support devic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 a lifting vessel in order to lift a topside from its support structure
KR200473210Y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슬랜트형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US20230356814A1 (en) Floating unit with under keel tank
AU719838B2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US6648553B2 (en) Load transfer unit and method for removing off-shore platform from substructure
WO2014039466A1 (en) Platform deck installation and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EP2285660B1 (en) Mating
WO2002004287A1 (en) Installation and removal of decks on and from offshore structures
KR20150092952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조물 지지 장치
KR20170026001A (ko) 부유식 해양플랜트
KR101499162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CN1867483A (zh) 一种运用干船坞配对连接建造半潜式运载工具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