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568B1 -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568B1
KR101122568B1 KR1020100019852A KR20100019852A KR101122568B1 KR 101122568 B1 KR101122568 B1 KR 101122568B1 KR 1020100019852 A KR1020100019852 A KR 1020100019852A KR 20100019852 A KR20100019852 A KR 20100019852A KR 101122568 B1 KR101122568 B1 KR 10112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
module
wall
permanent
f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822A (ko
Inventor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56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창 조립용 공장에 상시 설치되는 족장(이하, 상설족장)을 이용함에 따라 족장 설치, 해체 시수를 절감할 수 있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은 선박의 화물창 조립용 공장에 상시 설치되는 상설족장을 구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공장의 상설족장 주위에 내벽 상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200)와; 상기 내벽 상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상모듈을 제작하는 단계(S300)와; 상기 내벽 상블록에 결합될 내벽 하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하모듈을 제작하는 단계(S400)와; 상기 화물창 상모듈과 상기 화물창 하모듈을 합체시켜 화물창 모듈을 완성하는 단계(S500)와; 상기 화물창 모듈을 선체 외벽 내부에 탑재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A METHOD FOR CONSTRUCTING A SHIP HAVING A MODULE TYPE CARGO HOLD}
본 발명은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가스인 엘엔지 또는 액체 화물을 저장 운송하는 운반선, 부상 구조물, 식 생산저장선박 또는 설비등과같은선박건조분야에적용될수있는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엘엔지'라 함)의 상태로 운반선의 화물창(cargo hold)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엘엔지는 천연가스를 대략 -163℃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게 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송에 매우 적합하다.
엘엔지용 화물창에는 선체와 일체 또는 조합형태로 제작된다.
멤브레인 방식의 저장 탱크는 1차 방벽으로서 스테인리스 재질의 멤브레인 시트를 사용하고, 2차 방벽으로 트리플렉스(triplex)를 사용하며, 방열재로서 인슐레이션 패널(insulation panel)을 사용한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저장 탱크 제작방법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공법을 사용하여 선박(1)의 화물창의 기본이 되는 내벽(2)용 선체(hull)가 제작된다.
가설 비계 형식의 시스템발판(3)은 작업자들에 의해 내벽(2)의 안쪽 공간에 설치된다.
이후, 방열재, 2차 방벽, 1차 방벽이 순차 구조의 건조 과정을 통해 내벽(2)에 설치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설치한 시스템발판(3)을 철거하고, 다음 시스템발판 가설 작업을 위한 위치 또는 해당 호선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저장 탱크 제작방법은 시스템발판 설치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공정 지연이 발생될 경우, 다음 건조 단계인 방열재 및 방벽 설치 단계로 진행하기 어려워, 전체 공정이 지연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일정 단축이 반드시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 기술의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저장 탱크 제작방법의 일련의 과정들은 도크와 안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스템발판(3)의 설치에 30일 정도가 소요되고, 해체 및 철거에 20일 정도가 소요되어, 그 작업만으로도 수십 일이 소요되어 시공경제상 매우 비효율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저장 탱크 제작방법은 도크와 안벽에서 이루어지는 방열재 및 방벽 설치의 특성상, 온도, 습도 조절 등의 문제로 인해 방열재 및 방벽 시공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저장 탱크 제작방법에 사용된 시스템발판은 철거를 대비하여 설치되는 가설물로서, 임의적으로 해체가 될 수 있어 안전 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며, 고공에서 흔들림이 발생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저장 탱크 제작방법에 사용된 시스템발판은 해체 또는 철거 도중에 방벽에 접촉되어 보수 작업이 발생될 수 있는 불안 요소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저장 탱크 제작방법에서는 공정상 선박 이동이 요구되어, 시스템발판의 설치 장소도 자주 바뀌게 되어 작업자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화물창 조립용 공장에 상시 설치되는 족장(이하, 상설족장)을 이용함에 따라 족장 설치, 해체 시수를 절감할 수 있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설족장을 구비한 공장에서 방열재 및 방벽의 설치 공정을 수행하고, 도크 또는 안벽에서 선체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바와 같이, 해당 공정을 함께 진행하는 병렬 건조를 통해 전체 선박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선박 건조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화물창 조립용 공장에 상시 설치되는 상설족장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공장의 상설족장 주위에 내벽 상블록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내벽 상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상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내벽 상블록에 결합될 내벽 하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하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창 상모듈과 상기 화물창 하모듈을 합체시켜 화물창 모듈을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창 모듈을 선체 외벽 내부에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창 상모듈과 상기 화물창 하모듈을 합체시켜 화물창 모듈을 완성하는 단계에서는 크레인이 상기 화물창 상모듈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화물창 상모듈의 내벽 상블록과 상기 화물창 하모듈의 내벽 하블록간 이음 부위를 용접하고, 상기 이음 부위에 방벽 및 방열재용 부가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물창 모듈을 선체 외벽 내부에 탑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화물창 모듈에 구비되는 격벽의 일부분과 상기 선체 외벽에 구비되는 격벽의 타부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장은 공기 조화 설비를 이용하여 공장 내부를 방벽 및 방열재 시공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설족장은 화물창의 규격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은 공장에 구비한 상설족장을 이용하여 선박의 선체 건조와 병행하여 방열재 및 방벽 설치를 수행함에 따라 전체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은 상설족장을 갖춘 공장을 이용함에 따라, 기존의 시스템발판의 설치 또는 철거에 소요되었던 기간들이 없어짐에 따라,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바와 같이 시공경제상 매우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은 방열재 및 방벽 설치를 상설족장이 구비된 공장 내에서 수행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 습도 조절이 용이하여, 방열재 및 방벽 시공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은 공장 내에서 상설족장을 구비함에 따라, 상설족장의 안전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수 있고, 가설이 아닌 고정구조물로서 더욱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어, 구조물 부실 가설에 따른 기존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고공에서 흔들림이 없어 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은 해당 공장에서 방열재 및 방벽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장소에 변동이 없어 작업자들에게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저장 탱크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건조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선박 건조방법에서 사용 가능한 제2 내벽 상블록과 제2 내벽 하블록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 2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화물창 저장 탱크는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진 2중 선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블록 공법에 의해 미리 제조되는 것으로서, 내벽 상블록과 내벽 하블록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벽 상블록과 내벽 하블록은 상호 맞춰져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선체 화물창의 내벽 단면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화물창 상모듈이란 내벽 상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가 설치된 것을 의미한다.
화물창 하모듈이란 내벽 하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가 설치된 것을 의미한다.
화물창 모듈이란 각각 분리 제작된 화물창 상모듈과 화물창 하모듈이 합체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은 공장에 상설족장을 구비하는 단계(S100); 공장의 상설족장 주위에 내벽 상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200); 내벽 상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상모듈을 제작하는 단계(S300); 내벽 하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하모듈을 제작하는 단계(S400); 화물창 상, 하모듈을 합체시켜 화물창 모듈을 완성하는 단계(S500); 선체 외벽 내부에 화물창 모듈을 탑재하는 단계(S600)로 구성된다.
상기 각 단계에 대해 도 3 내지 도 8을 도 2와 병행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에 상설족장을 구비하는 단계(S10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상설족장(100)과 공장(10 : shop)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설족장(100)은 선박에 탑재할 화물창의 규격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설족장(100)은 선박의 화물창 조립용 공장(10)에 상시 설치, 즉 상설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장(10)은 도크 외부의 미리 지정된 구역으로서, 골리앗 크레인 또는 해상 크레인 내지 최대형크레인(20)이 접근할 수 있는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공장(10)은 천정(1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천정(11)은 모터 구동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복수개로 분할 될 수 있는 천정 구조물을 천정 슬라이딩 방식 또는 회동 방식 등을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있는 컨버터블형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고, 천정 구조물간 접촉 위치의 일측단에 접촉 고무테두리를 형성하고, 접촉 위치의 타측단에 고무테두리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천정(11)의 폐쇄시 기밀 또는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크레인(20)은 개방된 천정(11)을 통해서 각종 작업물을 반입, 이동 또는 반출시킬 수 있다.
상설족장(100)은 기본적으로 선박용 화물창에 대응한 족장 구성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설족장(100)은 이동식과 고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설족장(100)은 이동식으로 제작될 경우, 복수개의 이동바퀴(101)를 상설족장(100)의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동식의 상설족장(100)은 자체 구비된 유압, 전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동바퀴(101)에게 전달하는 자체이동수단(도시 안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식의 상설족장(100)은 상설족장(100)을 지면에서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조선소용 대형 트랜스포터(도시 안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식의 상설족장(100)의 하부에는 족장 이동 후 정지 상태를 임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설족장(100)은 고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식의 상설족장(도시 안됨)은 이동바퀴 또는 스토퍼 대신 지지판을 고정식의 상설족장의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은 지면에 대해 면접촉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고정식의 상설족장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의 상설족장 주위에 내벽 상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200)에서는 크레인(20)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내벽 상블록은 도 4에 도시된 제1 내벽 상블록(211)과, 도 9에 도시된 제2 내벽 상블록(211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벽 상블록(211)은 해당 규격을 갖는 화물창 저장 탱크용 상판과, 이런 상판의 좌, 우측에서 하향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좌, 우측 상경사판과, 이런 각각의 상경사판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좌, 우측 측판과, 이런 각각의 측판의 하단에서 하향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좌, 우측 하경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20)은 화물창용 선체의 상부쪽 구조물에 해당하는 제1 내벽 상블록(211)을 운반하고, 개방된 천정(11)을 통해 공장(10) 내부로 가져올 수 있다.
이때, 크레인(20)은 상설족장(100)의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서 하향으로 제1 내벽 상블록(211)을 내린 다음, 제1 내벽 상블록(211)과 상설족장(100)이 상호 간섭되지 않을 높이에서 정지할 수 있다.
이후, 상설족장(100)이 제1 내벽 상블록(211)의 내측 공간에 들어가는 방법은, 제1 내벽 상블록(211)이 상설족장(100)의 연직 상부에 위치되거나, 반대로 상설족장(100)이 제1 내벽 상블록(211)의 연직 하부에 위치되는 바와 같이, 2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에 따르면, 크레인(20)은 제1 내벽 상블록(211)을 수평이동 시킬 수 있다. 크레인(20)은 제1 내벽 상블록(211)의 연직 상부 위치에서 제1 내벽 상블록(211)의 수평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크레인(20)은 제1 내벽 상블록(211)을 지면 또는 지지대(도시 안됨)에 내려 놓을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에 따르면, 크레인(20)이 계속해서 제1 내벽 상블록(211)을 들어올리고 있을 때, 상설족장(1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상설족장(100)은 제1 내벽 상블록(211)의 연직 하부에 위치될 때 정지될 수 있다. 이런 다음, 크레인(20)은 제1 내벽 상블록(211)을 지면 또는 지지대에 내려 놓을 수 있다.
이렇게 둘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내벽 상블록(211)은 상설족장(100)의 주위에 비접촉식으로 씌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 상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상모듈을 제작하는 단계(S300)에서는 작업자가 상설족장(100)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방열재, 2차 방벽, 1차 방벽 등의 설치물(212)을 제1 내벽 상블록(211)에 설치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화물창 상모듈(210)를 제작하게 된다.
이때 공장(10)은 천정(11)을 폐쇄시키고 있다. 공장(10)에 미리 구비된, 온도와 습도 조절용 공기 조화 설비(도시 안됨)는 방벽 및 방열재 시공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로 공장(10) 내부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방열재 및 방벽 시공 품질을 도크 또는 안벽에서 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 하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하모듈을 제작하는 단계(S400)는 공장(10) 내에서 상설족장(100) 옆의 작업위치(12)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설비는 상기 작업위치(12)에서도 방벽 및 방열재 시공에 적합한 온도, 습도를 유지하여 역시 방열재 및 방벽 시공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내벽 하블록(221)은 도 5에 도시된 제1 내벽 상블록(211)의 좌, 우측 하경사판 사이에 맞춰져 결합되는 하판일 수 있다.
작업자는 방열재, 2차 방벽, 1차 방벽 등의 설치물(222)을 제1 내벽 하블록(221)에 설치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화물창 하모듈(220)를 제작하게 된다.
작업위치(12)에는 제1 내벽 하블록(221)과 도 5의 제1 내벽 상블록(211)간 이음 부분에 사용할 방벽 및 방열재용 부가물(230)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작업위치(12)에는 화물창 하모듈(220)을 지지하는 작업대(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 상, 하모듈을 합체시켜 화물창 모듈을 완성하는 단계(S500)에서는 크레인(20)이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20)은 앞서 완성한 화물창 상모듈(210)을 화물창 하모듈(220)의 연직 상부로 이동시켜 온다.
크레인(20)은 화물창 상모듈(210)을 화물창 하모듈(220)쪽으로 하강시켜서, 화물창 상모듈(210)과 화물창 하모듈(220)이 상호 맞춰지게 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20)은 상기 상호 맞춰진 상태로 계속해서 화물창 상모듈(210)을 들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작업자는 화물창 상모듈(210)의 제1 내벽 상블록(211)과 화물창 하모듈(220)의 제1 내벽 하블록(221)간 이음 부위를 용접하고, 그 곳에 방벽 및 방열재에 해당하는 부가물(230)을 설치함으로써, 화물창 하모듈(220)과 화물창 상모듈(210)을 합체시켜서, 화물창 모듈(200)을 완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외벽 내부에 화물창 모듈을 탑재하는 단계(S600)에서는 역시 크레인(20)이 사용될 수 있다.
선체 외벽의 건조와 앞서 언급한 방벽 및 방열재의 설치가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선체 외벽을 건조하는 것과 방열재 및 방벽을 내벽에 설치하는 것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크레인(20)은 완성된 화물창 모듈(200)을 미리 만들어둔 선체 외벽(300) 쪽으로 이동시킨 후, 선체 외벽(300)의 내부에 화물창 모듈(200)을 탑재시킨다. 여기서, 선체 외벽(3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선체 외벽(300)의 양측 및 바닥은 밀폐되어 있다.
이때, 화물창 모듈(200)과 선체 외벽(300)은 복수개의 2중 선체용 격벽의 일부분(240)과 타부분(340)을 서로 나눠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2중 선체용 격벽 각각은 절반씩 또는 미리 정해진 비율에 대응하게 일부분(240)과 타부분(340)으로 미리 분리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2중 선체용 격벽의 일부분(240)은 화물창 모듈(20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2중 선체용 격벽의 타부분(340)은 화물창 모듈(200)의 2중 선체용 격벽의 일부분(2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선체 외벽(30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작업자는 화물창 모듈(200)를 선체 외벽(300)의 내부에 탑재시킬 때, 상기 격벽의 일부분(240)과 타부분(340)을 용접하여 합체시킨다.
특히, 화물창 모듈(200)용으로 2중 선체용 격벽의 일부분(240)은 크레인(20)에 의한 화물창 모듈(200)의 이동 및 탑재시, 화물창 모듈(200)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키는 보강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내벽 상블록(211)이 크레인(20)에 의해 상설족장(100)의 연직 하방으로 내려올 경우, 제1 내벽 상블록(211)의 좌, 우측 하경사판이 상설족장(100)에 간섭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9에서처럼, 본 발명은 제2 내벽 상블록(211a)과 제2 내벽 하블록(221a)의 판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내벽 상블록(211a)은 해당 규격을 갖는 화물창 저장 탱크용 상판과, 이런 상판의 좌, 우측에서 하향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좌, 우측 상경사판과, 이런 각각의 상경사판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좌, 우측 측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벽 하블록(221a)은 경사지게 배치된 좌, 우측 하경사판과, 이런 좌, 우측 하경사판 사이를 연결하는 하판으로 구성되어 상광하협 배치구조를 가지며, 제2 내벽 상블록(211a)의 좌, 우측 측판 사이에 맞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벽 상블록(211a)의 좌, 우측 측판간 최대 사이 거리는 상설족장(100)의 최대폭보다 크기 때문에, 결국 크레인의 승강 또는 하강 작동시 제2 내벽 상블록(211a)과 상설족장(100)간에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런 경우, 상설족장(100)은 고정식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이동식에 비해 작동 및 구성적으로 간소화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공장 20 : 크레인
100 : 상설족장 200 : 화물창 모듈
210 : 화물창 상모듈 211, 211a : 내벽 상블록
220 : 화물창 하모듈 221, 221a : 내벽 하블록
230 : 부가물 300 : 선체 외벽

Claims (5)

  1. 선박의 화물창 조립용 공장에 상시 설치되는 상설족장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공장의 상설족장 주위에 내벽 상블록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내벽 상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상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내벽 상블록에 결합될 내벽 하블록에 방벽 및 방열재를 설치하여 화물창 하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창 상모듈과 상기 화물창 하모듈을 합체시켜 화물창 모듈을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창 모듈을 선체 외벽 내부에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상모듈과 상기 화물창 하모듈을 합체시켜 화물창 모듈을 완성하는 단계에서는, 크레인이 상기 화물창 상모듈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화물창 상모듈의 내벽 상블록과 상기 화물창 하모듈의 내벽 하블록간 이음 부위가 용접되고, 방벽 및 방열재에 해당하는 부가물이 상기 이음 부위에 설치되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모듈을 선체 외벽 내부에 탑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화물창 모듈에 구비되는 격벽의 일부분과 상기 선체 외벽에 구비되는 격벽의 타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은 공기 조화 설비를 이용하여 공장 내부를 방벽 및 방열재 시공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시키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설족장은 화물창의 규격별로 형성되는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KR1020100019852A 2010-03-05 2010-03-05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KR101122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52A KR101122568B1 (ko) 2010-03-05 2010-03-05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52A KR101122568B1 (ko) 2010-03-05 2010-03-05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22A KR20110100822A (ko) 2011-09-15
KR101122568B1 true KR101122568B1 (ko) 2012-03-20

Family

ID=4495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52A KR101122568B1 (ko) 2010-03-05 2010-03-05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589A (ko) * 2012-10-08 2014-04-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KR20230006226A (ko) 2021-07-02 2023-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878A (ko) * 2007-11-14 2009-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공법을 적용한시스템 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20090050364A (ko) * 2007-11-15 2009-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립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878A (ko) * 2007-11-14 2009-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공법을 적용한시스템 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20090050364A (ko) * 2007-11-15 2009-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립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589A (ko) * 2012-10-08 2014-04-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KR101948124B1 (ko) 2012-10-08 2019-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KR20230006226A (ko) 2021-07-02 2023-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22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49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cylindrical tank
US10920422B2 (en) Hollow pipe-sandwiching metal plate and applications thereof
CN203638060U (zh) 舱壁式升降脚手架工装
CN109625157B (zh) 大型集装箱船翼桥分段一体化建造的方法
CN104145166A (zh) 移动式发电装置和冷却系统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101122568B1 (ko)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CN103661807A (zh) 预先安装压力导轨架的舷侧分段合拢的定位方法
JP2013006613A (ja) 液化ガスタンク
CN211193649U (zh) 一种船舶上用于顶面波纹板安装的工装
KR100860857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보온공사 선행화 공법 및그에 의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200479690Y1 (ko) 선박 및 창고 내부 검사 및 수리용 크레인
KR20200049952A (ko) Lng 화물창용 워크스테이션 시스템
KR20140046903A (ko)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KR102490346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분리 구조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20120077759A (ko) 선박용 알루미늄 lng 저장 탱크 보강재 용접방법
KR20120077938A (ko) 선박용 해치커버 조립부재 리프팅 지그
KR20120134772A (ko) 덕트 킬을 포함하는 선박의 탱크 탑 베이스 중조립 블록 제작방법
JP2013116669A (ja) タンク構造及び船舶
KR20120008237U (ko) 셀가이드 이동 지그
CN110194241B (zh) 一种分段组件的安装装置及方法
JP5677110B2 (ja) 低温液体貯槽の構築方法
TWI620861B (zh) 圓筒型槽之建構方法
KR20130002397A (ko)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KR101676649B1 (ko) 카고 탱크 블록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