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589A -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 Google Patents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589A
KR20140046589A KR1020120111183A KR20120111183A KR20140046589A KR 20140046589 A KR20140046589 A KR 20140046589A KR 1020120111183 A KR1020120111183 A KR 1020120111183A KR 20120111183 A KR20120111183 A KR 20120111183A KR 20140046589 A KR20140046589 A KR 2014004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eck
blocks
mounting
pa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124B1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1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로선의 건조에 있어 화물창을 구성하는 상부 파트의 블록에 대한 제작시 하부 파트의 블록을 구성하는 다수의 데크 중에서 일부의 중량 데크를 상부 파트에 일체로 포함시켜 대형의 구조물로 선행 탑재함으로써 별도의 세일링 지그 없이 상부 파트의 블록을 트랜스포터 차량으로 직접 운반하여 하부 파트의 블록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파트 블록(가)과 상부 파트 블록(나)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로로선의 블록 탑재 공법으로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트 블록(가)의 중량 데크 중 일부의 고정식 카 데크를 함께 선행 탑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탑재가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을 트랜스포터 차량(12)의 상부에 직접 적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적재가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을 상기 트랜스포터 차량(12)을 이용하여 블록의 탑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이동이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을 인양하여 상기 하부 파트 블록(가)의 상부에 탑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Transfer method for upper part block of ro-ro ship and block ere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로선의 건조시 화물창을 구성하는 상부 파트의 블록을 제작할 때 하부 파트 중 일부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여 대형의 선행 탑재 구조물로 제작함으로써 트랜스포터 차량을 이용한 상부 파트의 블록의 직접 운반을 통해 하부 파트의 블록에 탑재될 수 있게 하는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로(RO-RO; Roll-on/Roll-off)선은 화물의 종류가 아닌 화물의 하역방식에 따라 분류되는 선박에 해당한다. 롤온/롤오프(Roll-on/Roll-off) 방식은 자체 이동능력이 있는 자동차를 수송할 때나 컨테이너 화물을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의 운반기기에 실어서 운반할 때, 운반기기의 자체 이동능력을 이용해 선박에 싣거나 내릴 수 있는 하역방식을 의미한다.
이 경우 운반되는 차량이나 컨테이너 화물은 선미 또는 선체의 중간에 위치한 램프(Ramp)를 이용해서 선박의 측면으로 하역을 하게 되므로 수평형 하역이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로로선에 속하는 대표적인 선박으로 자동차 전용 운반선(PCC; Pure Car Carrier)과 승용차와 화물트럭을 함께 운반하는 겸용 운반선(PCTC; Pure Car Truck Carrier) 등이 있다. 또한, 로로선은 한 번에 많은 수량의 차량이나 컨테이너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때문에 다층 구조의 화물창을 가지게 된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로 하면, 종래 로로선은 선체의 전반에 걸쳐 다수의 화물창을 다층 구조로 구비한다. 즉, 다수의 화물창은 제1데크(D-1) 내지 제14데크(D-14)를 각각 다층 구조로 적층하기 위해 여러 블록들에 대한 선행 탑재를 통해 제작된다. 이 경우, 화물창은 크게 하부 파트의 블록(가)과 상부 파트의 블록(나)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과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모두 선체의 길이방향에 걸쳐 다수로 분할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은 고정식 카 데크(Fixed Car Deck)와 이동식 카 데크(Liftable Car Deck)를 각각 층상으로 혼용하여 다층 구조로 배치하고 있다. 즉,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은 제1데크(D-1) 내지 제9데크(D-9)를 각각 층상으로 적층하는 선행 탑재를 통해 제작된다.
이때, 다수의 데크 중에서 제2데크(D-2), 제4데크(D-4), 제6데크(D-6), 제7데크(D-7), 제9데크(D-9)는 각각 두께가 대략 6mm인 소재의 이동식 카 데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제1데크(D-1), 제3데크(D-3), 제5데크(D-5), 제8데크(D-8)는 각각 두께가 대략 12mm 이상인 소재의 중량 데크에 해당하는 고정식 카 데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의 탑재에 있어, 이동식 카 데크 중에서 제2데크(D-2)와 제4데크(D-4)는 각각 별도로 탑재되고, 나머지 제6데크(D-6)와 제7데크(D-7) 및 제9데크(D-9)는 각각 도크 내에서 단독으로 탑재된다.
또한,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제10데크(D-10)와 제11데크(D-11)를 각각 층상으로 적층하는 선행 탑재를 통해 제작되는 데, 이때 제10데크(D-10)와 제11데크(D-11)는 모두 두께가 대략 6mm인 소재의 경량 카 데크(Light Car Deck)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상부에 제12데크(D-12)와 제13데크(D-13; Upper Deck)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로로선에 있어,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모두 두께가 대략 6mm인 소재의 경량 카 데크로 제작되기 때문에 두께가 대략 12mm인 소재로 제작되는 고정식 카 데크를 일부 포함하는 하부 파트의 블록(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 강성이 취약하게 된다.
이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상부 파트의 블록(나)을 트랜스포터 차량(51)을 이용하여 도크 내 탑재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반드시 별도의 운반용 500톤급 세일링 지그(53; Sailing Jig)를 이용해야 한다.
즉, 종래 도 1과 같은 로로선의 건조시 상부 파트의 블록(나)을 하부 파트의 블록(가)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각 블록별로 독립적으로 지그를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적어도 8개 이상의 운반용 세일링 지그(53)가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해 건조 비용의 상당 부분이 지그의 제작에 소요되고, 무엇보다도 화물창을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블록을 선행 탑재하는 과정에서도 필요 이상으로 과다한 공정이 투여될 수밖에 없는 문제를 내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로로선의 건조에 있어 화물창을 구성하는 상부 파트의 블록에 대한 제작시 하부 파트의 블록을 구성하는 다수의 데크 중에서 일부의 중량 데크를 상부 파트에 일체로 포함시켜 대형의 구조물로 선행 탑재함으로써 별도의 세일링 지그 없이 상부 파트의 블록을 트랜스포터 차량으로 직접 운반하여 하부 파트의 블록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다층 구조의 하부 파트 블록과 상부 파트 블록을 선행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로로선에서 상부 파트 블록을 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 파트 블록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트 블록의 중량 데크 중 일부의 고정식 카 데크를 함께 선행 탑재한 다음, 이를 트랜스포터 차량의 상부에 직접 적재하여 조립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 다층 구조의 하부 파트 블록과 상부 파트 블록을 선행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로로선의 블록 탑재 공법으로서, 상기 상부 파트 블록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블록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트 블록의 중량 데크 중 일부의 고정식 카 데크를 함께 선행 탑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탑재가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을 트랜스포터 차량의 상부에 직접 적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적재가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을 상기 트랜스포터 차량을 이용하여 블록의 탑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이동이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을 인양하여 상기 하부 파트 블록의 상부에 탑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로선 블록 탑재 공법은 상기 상부 파트 블록의 제작 단계에서 다층 구조의 데크 내부에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로선 블록 탑재 공법에 있어, 상기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은 상기 상부 파트 블록에서 다층 구조의 데크 내부에서 인접하는 다른 데크를 향해 직립하게 설치되어 데크의 상부에 위치한 러그의 하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화물창을 갖는 로로선의 건조에 있어 경량 카 데크로 이루어진 상부 파트 블록의 하부에 다수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는 하부 파트의 블록 중에서 일부의 중량 데크를 일체로 포함하는 대형의 구조물로서 상부 파트의 블록을 선행 탑재함으로써 별도의 세일링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부 파트의 블록을 직접 트랜스포터 차량으로 운반하여 조립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블록의 하부에 일부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는 대형의 선행 탑재 구조물로서 상부 파트의 블록을 제작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트랜스포터 차량에 대해 상부 파트의 블록을 적재할 때 필요로 하는 세일링 지그의 이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는 상부 파트의 블록에 대한 대형 선행 탑재를 통해 로로선의 건조시 단독으로 탑재되는 블록의 수량을 크게 감소시켜 탑재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로로선의 선체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로로선의 선체 구조에서 다층 구조의 블록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파트의 블록에 대한 조립후 이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건조된 로로선의 선체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로선의 선체 구조에서 다층 구조의 블록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파트의 블록에 대한 조립후 이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각각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로로선은 선체의 전반에 걸쳐 다수의 화물창을 다층 구조로 구비하는 데, 각각의 화물창들은 제1데크(D-1) 내지 제14데크(D-14)를 각각 층상으로 배치하는 다층 구조의 형성을 위해 여러 블록들에 대한 선행 탑재를 통해 제작된다. 이 경우, 화물창은 선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크게 하부 파트의 블록(가)과 상부 파트의 블록(나)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블록들의 배치는 선체의 길이방향에 걸쳐 다수로 분할되게 배열되는 화물창들에 대해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은 고정식 카 데크(Fixed Car Deck)와 이동식 카 데크(Liftable Car Deck)를 각각 층상으로 혼용하여 다층 구조로 배치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은 제1데크(D-1) 내지 제5데크(D-5)를 각각 층상으로 적층하는 선행 탑재를 통해 제작된다. 제6데크(D-6)와 제7데크(D-7)의 이동식 카 데크는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도크에서 단독 탑재한다.
이때, 다수의 데크 중에서 제2데크(D-2), 제4데크(D-4), 제6데크(D-6), 제7데크(D-7)는 각각 두께가 대략 6mm인 소재의 이동식 카 데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제1데크(D-1), 제3데크(D-3), 제5데크(D-5)는 각각 두께가 대략 12mm 이상인 소재의 중량 데크에 해당하는 고정식 카 데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의 탑재에 있어, 이동식 카 데크 중에서 제2데크(D-2)와 제4데크(D-4)는 각각 별도로 선행 탑재되고, 나머지 제6데크(D-6)와 제7데크(D-7)는 각각 도크 내에서 단독으로 탑재된다.
또한,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제8데크(D-8) 내지 제13데크(D-13)를 각 층상으로 적층하는 선행 탑재를 통해 제작되는 데, 이때 제10데크(D-10) 내지 제13데크(D-13)는 모두 두께가 대략 6mm인 소재의 경량 카 데크(Light Car Deck)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제8데크(D-8)는 두께가 대략 12mm인 소재의 중량 데크에 해당하는 고정식 카 데크로 이루어지고, 제9데크(D-9)는 두께가 대략 6mm인 소재의 이동식 카 데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상부에 제14데크(D-14; GARAGE DECK)와 제15데크(D-15; "B"-DECK)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하게 된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상부 파트의 블록(나)의 제작에 있어, 경량 카 데크로 이루어진 제10데크(D-10)의 하부에 기존 하부 파트의 블록(가)에 해당하는 중량 데크 중에서 일부의 고정식 카 데크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고정식 카 데크에 해당하는 제8데크(D-8)와 이동식 카 데크에 해당하는 제9데크(D-9)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다층 구조의 데크 내부에서 인접하는 다른 데크를 향해 직립하는 다수의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10)을 시공하게 되는 데, 상기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10)은 블록의 구조 강성을 보강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이 트랜스포터 차량(12)으로 운반시 블록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10)은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에서 다층 구조의 데크 내부에서 인접하는 다른 데크를 향해 직립하게 설치되고, 설치된 상기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10)은 데크의 상부에 위치한 러그의 하부를 구속하는 역할까지도 수행한다.
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일부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는 구조의 상부 파트의 블록(나)을 제작한 다음, 이를 상기 트랜스포터 차량(12)의 상부에 직접 탑재한다. 이 과정에서, 고정식 카 데크에 해당하는 제8데크(D-8)는 두께가 대략 12mm의 소재로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세일링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어, 상기 트랜스포터 차량(12)은 상부에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을 상차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과의 탑재위치에 해당하는 도크의 크레인 밑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크레인에 의해 인양된 다음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의 상부에 탑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화물창을 갖는 로로선의 건조시 경량 카 데크로 이루어진 상부 파트의 블록(나) 하부에 다수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는 하부 파트의 블록(가) 중에서 일부의 중량 데크에 해당하는 제8데크(D-8)를 일체로 포함하는 대형의 구조물로서 상부 파트의 블록(나)을 선행 탑재하여 제작함으로써 상기 하부 파트의 블록(가)과의 조립위치로 이동할 때 별도의 세일링 지그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은 하부에 일부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는 대형의 선행 탑재 구조물로서 제작될 뿐만 아니라, 블록 내에서 다층 구조의 데크에서 인접한 다른 데크를 향해 직립한 형태의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10)을 다수로 설치함에 따라 블록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으므로 세일링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트랜스포터 차량(12)을 이용하여 직접 탑재위치로 이동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파트의 블록(나)의 하부에 일부의 중량 데크를 포함하는 대형 선행 탑재를 통해 로로선의 건조시 단독으로 탑재되는 블록의 수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탑재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가; 하부 파트 블록 나; 상부 파트 블록
10; 지지 구조물 12; 트랜스포터 차량
14; 타워 구조물
D-1 ~ D-15; 제1데크 ~ 제15데크

Claims (4)

  1. 각각 다층 구조의 하부 파트 블록(가)과 상부 파트 블록(나)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로로선에서 상부 파트 블록(나)을 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트 블록(가)의 중량 데크 중 일부의 고정식 카 데크를 함께 선행 탑재한 다음, 이를 트랜스포터 차량(12)의 상부에 직접 적재하여 조립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
  2. 각각 다층 구조의 하부 파트 블록(가)과 상부 파트 블록(나)을 선행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로로선의 블록 탑재 공법으로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블록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트 블록(가)의 중량 데크 중 일부의 고정식 카 데크를 함께 선행 탑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탑재가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을 트랜스포터 차량(12)의 상부에 직접 적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적재가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을 상기 트랜스포터 차량(12)을 이용하여 블록의 탑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이동이 완료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을 인양하여 상기 하부 파트 블록(가)의 상부에 탑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의 블록 탑재 공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의 제작 단계에서 다층 구조의 데크 내부에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10)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의 블록 탑재 공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조 보강용 지지 구조물(10)은 상기 상부 파트 블록(나)에서 다층 구조의 데크 내부에서 인접하는 다른 데크를 향해 직립하게 설치되어 데크의 상부에 위치한 러그의 하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의 블록 탑재 공법.
KR1020120111183A 2012-10-08 2012-10-08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KR101948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83A KR101948124B1 (ko) 2012-10-08 2012-10-08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83A KR101948124B1 (ko) 2012-10-08 2012-10-08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589A true KR20140046589A (ko) 2014-04-21
KR101948124B1 KR101948124B1 (ko) 2019-02-15

Family

ID=5065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183A KR101948124B1 (ko) 2012-10-08 2012-10-08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1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52B1 (ko) * 1989-06-08 1999-08-16 옌스율리우스카펠 컨테이너선의 선창
KR20090076796A (ko) * 2006-09-25 2009-07-13 주롱 쉽야드 피티이 엘티디 횡방향 스키딩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반 잠수형 리그의동시 건조 방법
KR20100034149A (ko) * 2008-09-23 2010-04-0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보온공사 선행화 공법 및그에 의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20100129451A (ko) * 2009-06-01 2010-12-0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분할 건조 방식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KR101122568B1 (ko) * 2010-03-05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52B1 (ko) * 1989-06-08 1999-08-16 옌스율리우스카펠 컨테이너선의 선창
KR20090076796A (ko) * 2006-09-25 2009-07-13 주롱 쉽야드 피티이 엘티디 횡방향 스키딩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반 잠수형 리그의동시 건조 방법
KR20100034149A (ko) * 2008-09-23 2010-04-0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보온공사 선행화 공법 및그에 의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20100129451A (ko) * 2009-06-01 2010-12-0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분할 건조 방식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KR101122568B1 (ko) * 2010-03-05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124B1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100664915B1 (ko) 화물선
CN101920852A (zh) 一种集装箱自动化堆场
FI71908C (fi) Fartyg och system foer lastning och lossning av detsamma.
CN203529772U (zh) 带有双层跨海栈桥的集装箱装卸系统
WO2010113704A1 (ja) コンテナクレーン
KR101948124B1 (ko)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CN107399621A (zh) 岸边装卸设备及装卸方法
KR102530004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처리방법
KR101301957B1 (ko)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CN103523679B (zh) 带有双层跨海栈桥的集装箱装卸系统
CN104477322A (zh) 一种汽车滚装船横梁结构
WO2017064449A1 (en) Vehicle shipping crate and method of loading vehicles into a ship
KR20110074385A (ko) 컨테이너 이송/적재 장치
KR102432768B1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AU2008219350B2 (en) Combined Transportation Method for Non-Iso-Standard Containers
US3941071A (en) Shifting tween deck structure for cargo vessels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20120033719A (ko) 차량 수송선
CN115649032A (zh) 一种双层集装箱运输设备及其集装箱装卸方法
CN206406807U (zh) 整车和零件运输的整合运输车
CN117377613A (zh) 货柜堆叠协助装置、具有货柜堆叠协助装置的货柜载具及货柜装载和卸除方法
JP2022134260A (ja) コンテナ輸送船及びコンテナの搬送方法
CN115871877A (zh) 一种上层建筑下方能装卸货的集装箱船货舱
KR101262085B1 (ko) 차량 수송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