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414B1 -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414B1
KR101595414B1 KR1020130169255A KR20130169255A KR101595414B1 KR 101595414 B1 KR101595414 B1 KR 101595414B1 KR 1020130169255 A KR1020130169255 A KR 1020130169255A KR 20130169255 A KR20130169255 A KR 20130169255A KR 101595414 B1 KR101595414 B1 KR 10159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guide rails
cylinder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194A (ko
Inventor
김정국
서승일
임재용
강동훈
홍순만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4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차가 직접 선박의 화물칸에 진입하여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에 적재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상하 이동시키는 컨테이너 리프트장치와,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가 설치되는 이송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THE LOADING OR UNLOADING MOVEMENT SYSTEM OF CONTAINERS}
본 발명은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차가 직접 선박의 화물칸에 진입하여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에 적재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이송방법으로는, 육상 또는 선박에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이송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방법은, 육상 또는 선박에 초 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설치공간이 별도로 소요되며,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컨테이너가 하나씩 운반되는 이송방법으로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으로 인해 항만 이용료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이로 인한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불가하고,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수평으로 미유지시에는 이송이 곤란하며, 이송중 컨테이너가 외부로 이탈되어 컨테이너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의 중량에 따라 운반 가능한 중량 범위 내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다양하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비 투자 비용이 과다하며, 운반 가능한 중량 범위내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각기 설치 사용함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부터 선박으로 이송시에 컨테이너 크레인을 설치하지 않고도,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용이하게 선적하거나 선박에서 육상으로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이송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방법의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9780호에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이 게재되어 있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적층부가 컨테이너와 함께 선박에 실리게 되므로 국경을 넘어 운송하는 경우 적층부 또한 함께 운송되게 되어 적층부의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97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차가 직접 선박의 화물칸에 진입하여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에 적재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상하 이동시키는 컨테이너 리프트장치와,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가 설치되는 이송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는 지면에 수직하도록 세워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본체부의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중심부가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이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송패널은 컨테이너 리프트장치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병렬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선적부와,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원호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분기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차가 직접 선박의 화물칸에 진입하여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에 적재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리프트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리프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차가 직접 선박의 화물칸에 진입하여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에 적재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와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설치되는 이송패널(20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는 상기 이송패널(200)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컨테이너(10)를 들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지면에 수직하도록 세워지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중앙에 구비된 이동부재(120)와, 상기 이동부재(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중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공(112a)이 형성되는 본체(112)와, 상기 본체(112)의 하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지지판(1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14)의 하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16)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패널(200)의 후술할 가이드레일(212,2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관통공(112a)의 양측부에는 상기 이동부재(120)의 가 결합 설치되는 이동홈(112b)이 형성되어 이동홈(112b)을 따라 상기 이동부재(120)가 컨테이너(10)를 들어서 상기 본체(112)의 상,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부재(120)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상부로 절곡된 측부에는 가이드블럭(1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홈(112b)에 슬라이드 되도록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120)의 절곡된 하부는 컨테이너(1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120)가 컨테이너(10)를 들어서 상기 본체(112)의 상,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120)는 구동부(130)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본체(112)의 상부에 모터(132)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134)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134)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로드(136)가 상기 이동부재(120)의 상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실린더(134)의 구동에 따라 이동부재(120)가 본체(112)의 상, 하부로 이동되게 되어 컨테이너(10)를 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34) 및 실린더로드(136)는 통상의 유압식 또는 기계식 등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120)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된 하부가 컨테이너(1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130)의 실린더(134)에 의해 이동부재(120)가 이동홈(112b)을 따라 본체(112)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테이너(10)를 들 수 있게 되고,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테이너(10)를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이송패널(200)에 컨테이너(10)를 실은 화차(20)가 진입하면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의 이동부재(120)가 컨테이너(10)의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컨테이너(10)를 들어올리게 되고, 화차(20)는 다시 빠져나가게 되며, 화차(20)가 빠져나간 후에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컨테이너(10)를 내려놓음으로써 컨테이너(10)을 화차(20)에서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의 이송패널(200)에 선적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10)를 적재할 수 있고, 컨테이너(10)를 선박으로부터 하역하고자 할 때에는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로 선박의 이송패널(200)에 적재된 컨테이너(1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화차(20)가 진입하면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컨테이너(10)를 화차(20)에 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이송패널(200)은 컨테이너(10)가 적재되는 컨테이너 선적부(210)와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분기기부(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210) 및 분기기부(220)에는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12,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210)의 가이드레일(212)은 병렬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기부(220)의 가이드레일(222)은 원호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210)의 가이드레일(212)을 인접한 가이드레일(212)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가이드레일(212,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210)로 컨테이너(10)가 적재된 화차(20)가 들어오면, 컨테이너 선적부(210)의 가이드레일(212a)을 따라 구비된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에 의해 컨테이너(10)를 들어올리게 되고, 화차(20)는 다시 빠져나가게 되며, 컨테이너(10)는 다시 컨테이너 선적부(210)의 바닥면에 놓이게 됨으로써 컨테이너(10)를 선적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분기기부(220)가 이동하여 분기기부(220)의 가이드레일(222)이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위치한 가이드레일(212a)과 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2b)을 연결함으로써 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2b)로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가이드레일(212b)에 다시 정렬한 후에 다음 화차(20)에 적재된 컨테이너(10)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컨테이너 선적부(210)에 선적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화차(20)에 실린 컨테이너(10)를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 선적부(210)에 선적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210)의 가이드레일(212)을 따라 다수개의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가 배치되어 여러대의 화차(20)에 적재된 컨테이너(10)를 동시에 하역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10)를 선적할 수 있고, 화차(20)에서 직접 컨테이너(10)를 선적하게 되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화차(20)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의 본체부(110)의 지지판(114)의 하부, 가이드부재(116)의 사이에는 바퀴(118)가 구비되어 별도의 가이드레일이 없는 장소에서도 컨테이너 리프트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의하면, 컨테이너(10)가 적재된 화차(20)가 직접 선박의 화물칸에 진입하여 컨테이너(10)를 선박에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에 적재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10)를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차가 직접 선박의 화물칸에 진입하여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하역함과 동시에 선박에 적재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 컨테이너 20: 화차
100: 컨테이너 리프트장치
110: 본체부 112: 본체
112a: 관통공 112b: 이동홈
114: 지지판 116: 가이드부재
120: 이동부재 122: 가이드블럭
130: 구동부 132: 모터
134: 실린더 136: 실린더로드
200: 이송패널 210: 컨테이너 선적부
212,222: 가이드레일 220: 분기기부

Claims (7)

  1. 선박의 화물칸에 구비되고, 컨테이너가 적재된 화차가 직접 진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가 하역과 동시에 적재되는 이송패널과,
    상기 이송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상, 하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컨테이너 리프트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패널은 리프트장치에 의해 화차로부터 컨테이너가 직접 선적되는 컨테이너 선적부와,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의 일측에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분기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에는 컨테이너 리프트장치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병렬로 다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기부에는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에 병렬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시키는 원호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리프트장치는 지면에 수직하도록 세워지되, 중심부가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 선적부 및 분기기부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양측에 형성된 이동홈에 결합되어 본체의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이동부재의 상측 단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부재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69255A 2013-12-31 2013-12-31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10159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55A KR101595414B1 (ko) 2013-12-31 2013-12-31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55A KR101595414B1 (ko) 2013-12-31 2013-12-31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94A KR20150079194A (ko) 2015-07-08
KR101595414B1 true KR101595414B1 (ko) 2016-02-18

Family

ID=5379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255A KR101595414B1 (ko) 2013-12-31 2013-12-31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9323A1 (de) * 2022-11-07 2024-05-08 Amova Gmbh Integration von Transfervorrichtungen in Hochregallag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63Y1 (ko) 2010-03-24 2011-02-14 (주)수성테크 리프팅 잭
JP7080667B2 (ja) 2018-02-19 2022-06-06 ホシザキ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貯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667B2 (ja) * 1987-04-17 1995-08-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ホイスト走行レ−ル旋回接続装置
KR101069780B1 (ko) * 2009-07-14 2011-10-04 유영현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63Y1 (ko) 2010-03-24 2011-02-14 (주)수성테크 리프팅 잭
JP7080667B2 (ja) 2018-02-19 2022-06-06 ホシザキ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貯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94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83130B (en) Device for carrying articles of container, carrying in and carrying out method and pallet for carrying article in and out
US8322956B2 (en) Cargo stowage and transport
CN102101595A (zh) 用于装载和卸载集装箱的岸壁系统、用于其中的移动港口及运输装置
KR20130058001A (ko) 인터모달 콘테이너들의 운송, 보관 및 인도 시스템
CN102712414A (zh) 板状体的收容容器和收容体以及板状体的装载装置和运送车辆
JP2013544729A (ja) コンテナ輸送システム
CN103786624B (zh) 一种散货式半挂车复合卸货装置
CN103625344B (zh) 一种集装箱装卸车
BR112017014929B1 (pt) Processo e instalação de transbordo de contêiner para carregamento e descarregamento de contêineres de depósitos de contêineres
KR20170127140A (ko) 차량 적재 운반용 자동차의 리프트 적재 장치
CN105459878A (zh) 一种用于集装箱装卸的车载装卸方法及装置
US10294047B2 (en) Enclosed railway freight car or over-the-road trailer van having walls and roof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CN101484378B (zh) 集装箱举升装置
JP2007320727A (ja) コンテナ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コンテナ輸送用パレット、コンテナ搬送車、および、コンテナ輸送方法
JP6547078B1 (ja) 貨物コンテナ、および貨物コンテナの荷役方法
US20070017421A1 (en) Transport pallet and the use thereof
EP3634827B1 (en) Universal system for transporting removable freight modules
WO2006137542A1 (ja) 搬送物搬送方法及びジャッキ具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101750829B1 (ko) 중량물 이송 대차용 대차 레일
CN203623473U (zh) 一种集装箱装卸车
CN1572673A (zh) 运输装置
EP3010775B1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its operation
WO2011161639A2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transportation and unloading of bulk materials
CN105644570A (zh) 一种驮背式运输用新型铁路货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