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957B1 -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957B1
KR101301957B1 KR1020110096132A KR20110096132A KR101301957B1 KR 101301957 B1 KR101301957 B1 KR 101301957B1 KR 1020110096132 A KR1020110096132 A KR 1020110096132A KR 20110096132 A KR20110096132 A KR 20110096132A KR 101301957 B1 KR101301957 B1 KR 10130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ssenger
passenger car
loading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172A (ko
Inventor
박현진
박우진
박재욱
Original Assignee
박우진
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진, 박현진 filed Critical 박우진
Priority to KR102011009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9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172A/ko
Priority to PCT/KR2012/007335 priority patent/WO2013042898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의 운송 방법은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의 갑판 부 상부에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경량 화물인 승용차를 빈 컨테이너를 주로 싣던 갑판 구역에 주로 적재 하고,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램프 타워에 다단 적재한 승용차 컨테이너를 접속하여 주차 빌딩을 이루게 함에 따라 승용차 보관 공간의 획기적인 축소가 가능하여 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한 대량의 승용차 운송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에 구성되는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내부 적재 공간을 상하로 나누어 승용차의 운송에 적합하도록 바닥 패널이 2단으로 구비되고, 컨테이너를 연속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차량 이동이 가능하도록 컨테이너의 전, 후면에 모두 슬라이드 도어를 설치하고, 접속 이후에도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방법은, 별도의 승용차 전용 운반선 및 별도의 자동차 하역 부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널리 보급된 컨테이너 선 및 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한 대량의 승용차 물류를 가능하게 하여 산업적인 이득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A Method and Apparatus of Mass Transportation of Car by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船)을 이용한 승용차의 물류 이동시에 램프 타워 (Ramp Tower) 및 적재 공간을 최소화로 구성한 전용 컨테이너(container)를 이용함에 따라 승용차의 대량 운송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승용차의 보관이나 입출(入出)을 가장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海上)을 이용한 승용차의 물류 이동은 대부분 자동차 전용 운반선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10층 이상의 대형 주차장에 추진기를 부가한 형태를 가지고 5,000대 이상의 승용차 적재 용량을 가진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승용차의 운송은 간헐적으로 대량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승용차 전용 부두에서 적재되거나 하역이 행해지기 때문에 넓은 승용차 보관 적치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승용차 전용 부두가 없거나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의 승용차 운송은 7∼8대의 승용차를 한꺼번에 운반하도록 고안된 운반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최종 소비지인 자동차 판매점으로 배송하게 되는데 이는 소수의 하역 부두와 여러 곳의 자동차 판매점 사이의 육상 물류 이동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승용차를 일반 화물 컨테이너에 실어 운송하기도 하는데 통상의 컨테이너는 승용차의 표준 높이에 비해 컨테이너의 높이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상부에 여유 공간이 많이 생기게 되지만 승용차의 화물 특성상 다른 화물을 그 위에 실을 수 없어 승용차 운송시에 기존의 자동차 운반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운송료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 것이다.
대부분의 컨테이너 화물은 대부분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의 포장 단위로 적재하게 되므로 화물을 상하역하고자 할 경우에는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를 분리하거나 탑재된 상태로 사람의 노동력이나 지게차와 같은 중기를 이용하여 상하역하게 된다.
일반 컨테이너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골격과 상부 골격과 하부 골격의 각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 포스트 (corner post)가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너 포스트는 철판을 사각 기둥 형태로 가공하여 용접한 것으로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층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행하게 되며, 상기 코너 포스트의 상, 하단이 크레인에 연결되고 컨테이너끼리 고정할 수 있도록 준비된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이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골격과 하부 골격 사이에는 천장과 바닥면 그리고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요철패널이 결합되며, 이러한 요철패널은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을 요철형태로 굽힘 성형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전면은 힌지로 연결 되는 좌우 도어에 의하여 닫히게 되어 비와 바람에 대하여 보호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적용 컨테이너는 항만 크레인에 의해 상하역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컨테이너는 다수개가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고박된다는 점에서 현존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부가 설명을 생략한다.
그렇지만 일반 컨테이너로 승용차를 운송하는 경우 여유 공간이 많이 생겨 효율이 떨어지고, 컨테이너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차량의 입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뒷면이 막혀 있어 컨테이너를 여러개 연결한 상태나 인접한 상태에서는 차량을 상하역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 전용 운반선에 의하여 차량을 운송할 경우 자동차 하역 부두 에서 차량을 싣거나 내리게 되는데 배가 자동차 전용 부두에 접안하면, 자동차 전용 운반선에 장착된 램프(Ramp)를 항구의 조수차에 의한 부두 높이에 적합하도록 경사각을 조정한 다음 차량을 하역하게 된다.
이는 5∼6명으로 이루어진 하역조가 보조 차량에 탑승한 채로 승용차 운반선에 진입한 후 각기 차량을 1대씩 운전하여 부두 하치장에 차량을 정열 주차하고 다시 보조 차량에 탑승하여 운반선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차량을 하역하게 되는데 통상 1∼2개조가 투입되어 승용차를 싣거나 내린다.
이렇게 행해지는 자동차 전용 운반선에 의한 승용차의 운송방법은, 차량의 상하역 작업시에 컨테이너를 이용한 방식보다 선박의 부두 채선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고, 넓은 차량 적치장소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간헐적으로 차량의 운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최신 차량을 노천에서 장시간 대기시켜야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선을 이용한 승용차 물류 이동시에 적재 공간을 최소화로 구성한 전용 컨테이너에 의해 승용차의 대량 운송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램프 타워를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승용차의 적재나 하역이 가능한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를 상하역하기 위한 설비로서, 복수층의 승용차 데크 및 이들 데크로부터 연이어져 설치되는 램프 웨이를 갖는 램프 타워와,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골조 레일 및 이 레일들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 포스트가 배치되고 천정 패널을 포함하여 측벽으로 구성되는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터미널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 타워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를 순차적으로 적치하여 주차 빌딩을 형성하기 위한 터미널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램프 타워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 들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램프 타워의 기둥에는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와 연결시키기 위한 수용고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승용차 전용 콘테이너는 상하 2개의 바닥 패널을 가지며 전, 후면에 각각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의 코너 포스트에는 각각 강성 보강을 위한 삼각형상의 브라켓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에는 승용차의 바퀴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경첩판과 내부 조명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결속유닛은 워엄이 장착된 조작레버와, 양측 선단에 기어 및 링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형 샤프트와, 상기 링크부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후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를 상하역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컨테이너 터미널에 램프 타워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터미널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를 램프 타워와 연속하여 적치하는 것에 의해 주차 빌딩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램프 타워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 들을 결속유닛에 의해 상호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승용차를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 내에 순차적으로 적재하거나 적재되어 있는 승용차를 꺼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가 터미널 스택커에 의해 상하 결속을 행함과 동시에 브릿지 피팅으로 좌우 결속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종전에는 시도하지 못하고 있던 컨테이너 선을 이용한 물류 체계에 승용차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용차의 대, 소량 적시 배송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승용차의 안전 수송을 보장할 수 있으며, 승용차의 운송 코스트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램프 타워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를 상하역하기 위한 설비로서 램프 타워(10)를 포함한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 주차 빌딩을 형성하기 위한 터미널 컨테이너 크레인(40) 및 상기 램프 타워(10)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 들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유닛(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구성요소인 램프 타워(10)는, 도 2에서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7개의 승용차 데크(11)와 나선형의 램프 웨이(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기둥(13)과 횡부재(14)로 이루어진 골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램프 타워(10)의 일면에는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와 견고하게 접속되게 하기 위하여 연결용 수용고리(59)가 설치된다.
이 수용고리(59)는 승용차 컨테이너의 중간 데크와 접속되는 1,3,5번과 7번 4개의 데크(11)의 높이에 기둥(13)과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장치된다.
상기 램프 타워(10)는 철골 구조로서 각 승용차 데크(11)는 6 feet의 높이 차이를 가짐과 동시에 5 feet의 유효 헤드 룸(Head Room)을 가지고 있으며, 철골 구조는 하부에 설치되는 골격을 포함하여 이들 골격 상부에 고정되는 승용차 데크 (11) 및 나선형의 램프 웨이(12)를 지지하는 골격으로 구성되어 상호 연결된다.
또, 상기 램프 타워(10)는 가장자리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기둥(13)과 강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횡부재(14) 들로 구성되며, 승용차의 경사면에서의 미끌림 방지를 위하여 논 슬립 페인트(non-slip paint}로 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타워(10)는 횡으로 10줄 및 4층 높이의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를 대상으로 8층의 승용차 데크(11)로부터 차량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에서는 종으로 4개의 40 feet 길이의 컨테이너들이 연결되어 있으나 종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컨테이너 개수의 제한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구성요소인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는, 도 3에서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상, 중, 하부의 골조 레일(22)과 이들 레일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 포스트(21)가 배치되고, 천정 패널(23), 바닥 패널(24, 25) 및 좌우 측벽(26)과 일체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골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는 유효 적재 공간의 높이를 5 feet로 2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체 높이를 약 12 feet로 하고 폭과 길이는 일반 컨테이너와 동일하도록 폭은 8 feet 길이는 40 feet로 제작된다.
또, 상기 코너 포스트(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사각 기둥 형태로 가공하여 용접에 의해 골조 레일(22)과 일체로 결합됨과 동시에 수직하중을 지지하여 다수의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를 적층 가능하게 하며, 크레인(Crane)과 연결되는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29)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는 요철이 굽힘 성형된 판재형의 천정 패널(23)과 승용차를 적재하는 바닥 패널(24,25)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측벽(26)에 의해 마감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에 형성되는 요철은 외력에 대한 지지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더하여, 국제 표준에서 요구되는 화물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시의 횡방향 요구 강성인 15ton을 만족하기 위하여, 전후 각각 2조의 삼각형 브라켓(27)을 중간 레일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하여 상부 측면의 수평 하중에 대응하게 되며, 이는 승용차의 상면 폭이 바닥 폭보다 작다는 특징을 고려한 것인데 승용차 특성상 브라켓(27)에 의한 승용차 통행에 제약이 없다.
또한,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의 전후 부위에는 컨테이너가 연속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문을 열어 승용차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31)가 컨테이너의 전, 후면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3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굽힘 가공하고, 상호 힌지로 연결한 여러 개의 연속 구조로 하여 원형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형태인데, 열린 상태에서는 도어홈(32)의 한쪽 측벽을 따라 서 있게 하여 차량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31)는 항해 도중에 화물을 비,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31)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내부에서도 열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간의 연결 지점에 승용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퀴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경첩판(33)이 설치되며, 본 컨테이너는 항구에서 주차장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작업과 운전자의 출입을 돕기 위한 조명등(3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에는 중형 승용차의 경우 컨테이너 1개당 4대가 적재 가능하여 모두 640대의 보관이 가능하고, 소형 승용차의 경우 컨테이너 1개당 6대가 적재 가능하여 모두 960대의 보관이 가능하다.
이는 소형 선박으로 간주되는 3,000 TEU급 컨테이너 선이 약 4,000대의 중형 승용차 혹은 6,000대의 소형 승용차의 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선으로 하여금 자동차 운반선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이는 전 세계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한 대량의 승용차 운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최종 소비자까지의 승용차 운송은 7∼8대의 승용차를 한꺼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고안된 승용차 운반 트레일러를 이용하는 점은 기존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구성요소인 터미널 컨테이너 크레인(40)은, 횡으로 10줄 및 4층 높이의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 및 분해하여 항만 크레인이 있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장치이다.
이는 고무 타이어를 장착하여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컨테이너의 자유로운 이동 및 운반이나 정리 등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미 상용화 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부가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구성요소인 결속유닛(5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를 구성하는 코너 포스트(21)의 중간 부위에 마련되어 램프 타워(10)에 구비된 수용고리(59)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상호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고안된 것으로 주차 빌딩을 형성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적재가 완료된 이후에 컨테이너의 도어를 열어 승용차의 하역을 준비하는 과정 중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유닛(50)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로부터 다수의 승용차가 동시에 이동할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컨테이너에 움직임이 발생하여 컨테이너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코너 캐스팅(29)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횡으로 10줄 및 4층 높이의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를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31)가 열린 상태에서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 들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조작레버(5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레버(51)와 웜기어 방식으로 결합된 나사형 샤프트(54)가 연동하여 코너 포스트(21)에서 돌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샤프트(54)의 선단 측에 결합된 링크부(55)가 회전하는 워엄(52)에 의하여 연동 회전하는 기어(53)의 내부 나선을 따라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램프 타워(10)의 수용고리(59)를 향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 때, 후크(56)가 수용고리(59)에 닿게 되면 후크는 상면으로 회전축에 따라 들리게 되고 더 전진하면 수용고리(59)를 감싸듯이 내려가 연결 준비가 되는데, 다시 조작레버(5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크(56)를 당겨줌에 따라 전후 컨테이너 간의 결합력을 높인다.
반대로, 해제 작업시에는 이의 역순으로, 후크(56)를 전진시켜 수용고리(59)로부터 결합을 해제한 후에 후크를 손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샤프트(54)를 후퇴시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 완료후에 상기 조작레버(51)는 분리하여 사용자가 따로 보관한다.
상기 결속유닛(50)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의 전면 코너 포스트(21)의 중앙부에 좌우 대칭으로 매립 설치되며, 컨테이너의 해상 운송 중에는 후크(56)가 코너 포스트(21)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편, 통상적인 화물 컨테이너의 경우, 터미널에서 야적될 때 아무런 연결기구 없이 상하 코너 캐스팅 끼리 잘 접촉되도록 야적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조립식 주차 설비는 높이 쌓여 있는 컨테이너 속에서 다수의 승용차가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그에 수반하는 진동 및 요동이 발생하여 컨테이너의 이탈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각 방향의 연결기구를 필요로 한다.
즉, 상하방향 연결기구는 터미널 스택커(Terminal Stacker)를 사용하게 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는 컨테이너를 다른 컨테이너 위에 올리기 이전에 육상에서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의 아래 방향 홀에 매달리게 장착하는 캐스팅 구조로서 상하 잠금장치는 없이 코너 캐스팅끼리 수직으로 정확 하게 접속 되게 하고 수평 이동을 억제하는 장치로서 이미 상용화 되어 있는 기술이다.
또, 좌우방향 연결기구는 브릿지 피팅(Bridge Fitting)을 사용하게 되는데, 컨테이너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면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컨테이너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각 컨테이너 더미는 독립적으로 서 있게 되어 차량 이동에 따른 요동 및 측면 바람 등의 외력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상층 컨테이너의 상면에 인접한 코너 캐스팅끼리 횡으로 연결하여 상면 컨테이너를 횡 방향으로 서로 의지하게 하는 장치로서 이미 상용화 되어 있는 기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 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램프 타워(Ramp Tower) 11: 승용차 데크
12: 램프 웨이(Ramp Way) 13: 기둥
14: 횡부재 20: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
21: 코너 포스트 22: 골조 레일
23: 천정 패널 24,25: 바닥 패널
26: 측벽 27: 브라켓(Bracket)
29: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 31: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32: 도어홈 33: 경첩판
35: 조명등 40: 터미널 컨테이너 크레인
50: 결속유닛 51: 조작레버
52: 워엄(Worm) 53: 기어
54: 나사형 샤프트 55: 링크부
56: 후크(Hook) 59: 수용고리

Claims (8)

  1.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를 상하역하기 위한 설비로서,
    복수층의 승용차 데크(11) 및 이들 데크로부터 연이어져 설치되는 램프 웨이 (12)를 갖는 램프 타워(10)와,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골조 레일(22) 및 이 레일들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 포스트(21)가 배치되고 천정 패널(23)을 포함하여 측벽(26)으로 구성되는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와,
    컨테이너 터미널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 타워(10)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 (20)를 순차적으로 적치하여 주차 빌딩을 형성하기 위한 터미널 컨테이너 크레인(40)과,
    상기 램프 타워(10)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 들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유닛(5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타워(10)의 기둥에는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와 연결시키기 위한 수용고리(59)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 전용 콘테이너(20)는 상하 2개의 바닥 패널(24, 25)을 가지며 전, 후면에 각각 슬라이딩 도어(3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의 코너 포스트(21)에는 각각 강성 보강을 위한 삼각형상의 브라켓(2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에는 승용차의 바퀴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경첩판(33)과 내부 조명등(3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50)은 워엄(52)이 장착된 조작레버(51)와, 양측 선단에 기어(53) 및 링크부(55)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형 샤프트(54)와, 상기 링크부(55)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후크(5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7. 컨테이너 터미널에 램프 타워(1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터미널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를 램프 타워와 연속하여 적치하는 것에 의해 주차 빌딩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램프 타워(10)와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 들을 결속유닛(50)에 의해 상호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승용차를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 내에 순차적으로 적재하거나 적재되어 있는 승용차를 꺼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 전용 컨테이너(20)가 터미널 스택커에 의해 상하 결속을 행함과 동시에 브릿지 피팅으로 좌우 결속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방법.





KR1020110096132A 2011-09-23 2011-09-23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KR10130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32A KR101301957B1 (ko) 2011-09-23 2011-09-23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PCT/KR2012/007335 WO2013042898A2 (ko) 2011-09-23 2012-09-13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32A KR101301957B1 (ko) 2011-09-23 2011-09-23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172A KR20110124172A (ko) 2011-11-16
KR101301957B1 true KR101301957B1 (ko) 2013-08-30

Family

ID=4539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132A KR101301957B1 (ko) 2011-09-23 2011-09-23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1957B1 (ko)
WO (1) WO201304289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63B1 (ko) 2021-03-26 2022-06-27 김재학 물류센터 구조
KR102413362B1 (ko) 2021-03-17 2022-06-27 김재학 물류센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9615A (zh) * 2021-05-24 2021-10-08 大连中车集装箱有限公司 一种集装箱横移转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5300B1 (en) * 1999-05-12 2003-12-02 Martin Clive-Smith Adjustable post for container
KR200427799Y1 (ko) 2006-07-14 2006-09-29 박재욱 선적용 승용차 컨테이너
KR100744815B1 (ko) 2005-12-19 2007-08-01 김점규 차량 선적용 콘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2787U (ja) * 1983-01-18 1984-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輸送用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5300B1 (en) * 1999-05-12 2003-12-02 Martin Clive-Smith Adjustable post for container
KR100744815B1 (ko) 2005-12-19 2007-08-01 김점규 차량 선적용 콘테이너
KR200427799Y1 (ko) 2006-07-14 2006-09-29 박재욱 선적용 승용차 컨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62B1 (ko) 2021-03-17 2022-06-27 김재학 물류센터 구조
KR102413363B1 (ko) 2021-03-26 2022-06-27 김재학 물류센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172A (ko) 2011-11-16
WO2013042898A3 (ko) 2013-05-30
WO2013042898A2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489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8353647B2 (en) Collapsible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SU1407393A3 (ru) Контейнер,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US7140821B2 (en) Roll on/roll off ramp-deck transport platform
KR100744815B1 (ko) 차량 선적용 콘테이너
CN102101595A (zh) 用于装载和卸载集装箱的岸壁系统、用于其中的移动港口及运输装置
US8757943B2 (en)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US10934053B1 (en) Adjustable pallet rack
US20160039602A1 (en) Inter-modal shipping mini-containers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20234817A1 (en) Vehicle Stacking Crate
US20140175090A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AU2010215087B2 (en) Logistics panel and containers
KR101301957B1 (ko) 컨테이너 선에 의해 운송되는 승용차의 상하역 설비 및 그 방법
JP6267110B2 (ja) 乗用車の輸送及び保管装置
WO2011003414A1 (en) A logistic container, such as a shipping container, and a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it
KR200427799Y1 (ko) 선적용 승용차 컨테이너
WO2009064178A1 (en) Flat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vehicles
CA2728396A1 (en) Collapsible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AU2013205208B2 (en) Logistics container rails
NL2009309C2 (en) Passenger car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cars for transport.
KR20150008280A (ko) 자동차 운반전용 컨테이너 트레일러 적하 장치
KR20150007651A (ko) 자동차 운반전용 컨테이너
JPH0735295U (ja) 脚付パレット用ユニットロード船
CA2535973A1 (en) Roll on/roll off ramp-deck transport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