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085B1 - 차량 수송선 - Google Patents

차량 수송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085B1
KR101262085B1 KR1020130007657A KR20130007657A KR101262085B1 KR 101262085 B1 KR101262085 B1 KR 101262085B1 KR 1020130007657 A KR1020130007657 A KR 1020130007657A KR 20130007657 A KR20130007657 A KR 20130007657A KR 101262085 B1 KR101262085 B1 KR 10126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portion
plate
vehicle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973A (ko
Inventor
이희동
김환식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2003/485Decks movably connected to hull or super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63B2027/145Inflatable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차량 수송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은, 제1데크와, 상기 제1데크와 층을 이루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데크와, 정박한 상태에서 부두와 상기 제1데크를 연결하는 제1위치와 상기 부두와 상기 제2데크를 연결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수송선{Car carrier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차량을 수송할 수 있는 차량 수송선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차량을 해외로 수송하기 위하여 차량 수송선이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 수송선은 내부에 층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데크를 구비하며, 선체의 후미 또는 측면에는 복수의 데크 중 하나와 부두를 연결하는 램프를 구비한다.
램프를 통해서 차량이 차량 수송선의 내부 데크로 들어오거나 빠져나갈 수 있다. 부두에서 복수의 데크 중 하나의 데크로 진입한 차량은 다른 데크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 수송선의 내부에는 차량이 데크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각 데크를 연결해주는 내부 램프가 데크 사이에 배치된다.
그런데 데크의 사이에 마련된 내부 램프로 인하여 차량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부 램프로 인해서 차량 수송선의 내부의 구조가 복잡해져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불리하며, 차량 수송선 내에서 차량의 이동경로가 길어져 차량의 선적 또는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층상의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램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의 수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조 안정성 측면에서도 유리하고, 차량의 선적 또는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 수송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데크와, 상기 제1데크와 층을 이루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데크와, 정박한 상태에서 부두와 상기 제1데크를 연결하는 제1위치와 상기 부두와 상기 제2데크를 연결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램프를 구비한 차량 수송선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 유니트와, 일측이 상기 승강 유니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박시에 타측이 부두에 내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유니트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 볼 스크류에 결합된 볼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승강 유니트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판부와, 상기 제1판부에 연장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수송선은, 일측이 상기 제1판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판부에 결합되며,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서 상기 제2판부를 상기 제1판부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승강 유니트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판부와, 상기 제1판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판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수송선은, 상기 제1판부와 상기 제2판부 사이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1판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판부에 힌지 결합되며, 길이가 신축 가능한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송선은, 상기 제1 및 제2데크와 함께 층을 이루며 상기 승강 유니트의 가동 범위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데크와, 상기 제3데크와 상기 제3데크에 인접한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데크를 연결하는 내부 램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수송선에 의하면, 층상의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램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차량의 선적 또는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수송선에서 램프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수송선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1)은 제1데크(100), 제2데크(200) 및 램프(300)를 구비한다.
제1데크(100)는 선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선체의 내부로 진입한 차량(V)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데크(100)는 선체의 후미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단측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선체의 후미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단측보다 높게 위치한 복수의 데크들 중 하나가 제1데크(100)라고 할 수 있다.
제2데크(200)는 제1데크(100)와 층을 이루며,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체의 내부로 진입한 차량(V)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데크(2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제2데크(200)도 선체 후미의 개구부의 하단측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즉, 선체 후미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단측보다 높게 위치한 데크들 중 하나를 제1데크(100)라 하면, 상기 제1데크(100)를 제외한 데크들을 제2데크(200)라 할 수 있다.
램프(300)는 선체의 후미에 마련되며, 부두(Q)와 제1데크(100) 또는 제2데크(200)를 연결함으로써 차량(V)이 부두(Q)에서 바다(S)를 건너 선체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수송선(1)에서 램프(300)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램프(300)는 승강 유니트(310)와 플레이트(320)를 구비한다.
승강 유니트(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의 일부가 노출되는 선체의 후미의 개구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승강 유니트(310)는 선체 후미의 개구부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볼 스크류(312)에 각각 결합되는 볼 너트를 구비한다. 즉, 볼 스크류(312)가 회전함에 따라 볼 너트가 상하로 이동되므로, 승강 유니트(310)는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다.
플레이트(320)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이 한 쌍의 승강 유니트(3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된다. 플레이트(320)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플레이트(320)의 타측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플레이트(320)의 타측은 정박시에 부두(Q)에 내려져, 부두(Q)와 선체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1)은 그 개구부의 상측에 권취기(334)를 구비한다 권취기(334)는 플레이트(320)에 연결된 케이블(330)을 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다. 즉, 권취기(334)로 케이블(330)을 감아주면 케이블(330)에 연결된 플레이트(320)가 상승 이동되고, 권취기(334)로부터 케이블(330)을 풀어주면 플레이트(320)가 하강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승강 유니트(310)를 최대한 하강시킨 다음, 권취기(334)로 케이블(330)을 감아주면 플레이트(320)로 개구부 전체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수송선(1)이 부두(Q)에 정박한 상태에서 케이블(330)을 풀어주면, 플레이트(320)가 내려와 선체 내부와 부두(Q)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차량 수송선(1)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수송선(1)이 정박한 상태에서, 램프(300)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Q)와 제1데크(100)를 연결하는 제1위치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Q)와 제2데크(200)를 연결하는 제2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320)의 타측이 부두(Q)에 내려진 상태에서, 볼 스크류(312)를 회전시켜 승강 유니트(310)를 제1데크(100) 또는 제2데크(2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320)의 일측이 제1데크(100) 또는 제2데크(2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1)은 제3데크(250)와 내부 램프(150)도 구비한다.
제3데크(250)는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와 함께 층을 이룬다. 제3데크(250)는 승강 유니트(310)의 가동 범위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선체 후미에 형성된 개구부보다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다. 제3데크(250)도 제1 및 제2데크(100,200)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3데크(250)는 복수 개가 층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내부 램프(150)는 최상측의 제3데크(250)와 그에 인접한 상측, 즉 최상측의 제3데크(250)의 바로 위에 위치된 제1데크(100) 또는 제2데크(200)를 연결한다. 한편 제3데크(250)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제3데크(250)들 사이에도 내부 램프(150)가 배치되어, 차량(V)이 제3데크(250)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1)의 사용방법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V)을 선적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1)을 부두(Q)에 정박시킨다. 이때, 램프(300)가 배치된 차량 수송선(1)의 후미가 부두(Q)에 인접하도록 한다.
차량 수송선(1)이 부두(Q)에 정박된 상태에서 권취기(334)의 케이블(330)을 풀어서 플레이트(320)의 타측을 부두(Q)에 내려놓는다. 플레이트(320)의 타측이 부두(Q)에 놓여지면, 승강 유니트(310)를 제1데크(1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Q)와 제1데크(100)가 연결되도록 플레이트(320)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램프(300)가 부두(Q)와 제1데크(100)를 연결하는 제1위치에 위치되면, 부두(Q)위의 차량(V)들을 플레이트(320) 위로 이동시켜 제1데크(100)에 선적시킨다.
제1데크(100)에 차량(V)의 선적이 완료되면, 승강 유니트(310)를 복수의 제2데크(200)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Q)와 제2데크(200)들 중 하나가 연결되도록 플레이트(320)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램프(300)가 부두(Q)와 제2데크(200)를 연결하는 제2위치에 위치되면, 부두(Q)위의 차량(V)들을 플레이트(320) 위로 이동시켜 제2데크(200)에 선적시킨다.
제2데크(200)에 차량(V)의 선적이 완료되면, 승강 유니트(310)를 제2데크(200)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부두(Q)와 그 제2데크(200)가 연결되도록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차량을 그 제2데크(200)에 선적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데크(100) 및 복수의 제2데크(200)에 차량(V)을 선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1)에 따르면, 램프(300)에 의해서 부두(Q) 위의 차량(V)이 제1데크(100)와 제2데크(200)로 직접 진입하므로, 제1데크(100)와 제2데크(200), 혹은 제2데크(200)와 제2데크(200) 사이의 층간으로 차량(V)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데크(100)와 제2데크(200) 및 제2데크(200)와 제2데크(200) 사이에는 내부 램프가 필요없다.
한편, 제3데크(250)에도 차량이 선적될 수 있는데, 제3데크(250)는 선미의 개구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승강 유니트(310)의 가동범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부두(Q)의 차량(Q)이 직접적으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제3데크(250)에 차량을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선박 내로 진입한 차량(V)을 내부 램프(150)를 이용하여 제3데크(250)로 이동시킨다.
차량(V)의 선적이 완료되면 승강 유니트(310)를 가장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권취기(334)로 케이블(330)을 감아줌으로써, 플레이트(320)의 타측을 들어올려 선체 후미의 개구부를 닫아준다.
선미의 개구부가 닫혀진 상태로 차량 수송선(1)을 목적지 항구로 이동시키고, 목적지 항구에서 차량(V)을 하역한다. 차량(V)을 하역하는 과정은 차량(V)을 선적하는 과정과 반대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1)에 따르면, 층간에 설치되는 내부 램프(150)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선박의 내부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차량(V)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선박 내에서 차량의 이동 경로가 감소되므로 차량(V)의 선적 또는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2)도 제1데크(100), 제2데크(200) 및 램프(300)를 구비한다.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수송선(1)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램프(300)는 승강 유니트(310)와 플레이트(320)를 구비한다.
승강 유니트(310)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수송선(1)의 그것과 동일하며, 플레이트(320)는 제1판부(322)와 제2판부(324)를 구비한다.
제1판부(322)는 그 일측이 승강 유니트(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판부(324)는 제1판부(322)에 연장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판부(324)는 제1판부(3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판부(322)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2판부(324)가 제1판부(322)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면 플레이트(320)의 길이는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제2판부(324)를 제1판부(322)에 연장되는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2)은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를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는 일측이 제1판부(322)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판부(324)에 결합되어, 그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서 제2판부(324)를 제1판부(322)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레이트(32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반대로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단축되면, 제2판부(324)는 제1판부(322)에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레이트(32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램프(300)의 플레이트(320)가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아래쪽에 위치한 제1데크(100)에 연결되는 위치에 있을 경우, 제2판부(324)를 제1판부(322)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320) 전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램프(300)의 플레이트(320)가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위쪽에 위치한 제2데크(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는 제2판부(324)를 제1판부(322)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레이트(320) 전체의 길이를 늘려준다. 따라서 플레이트(320)의 경사가 지나치게 가파르지 않도록 하여, 차량(V)이 원활하게 제2데크(200)로 진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2)의 경우, 플레이트(320)의 경사가 문제되지 않을 경우에는 플레이트(320)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차량(V)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차량(V)의 선적 속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트(300)의 경사가 너무 가파른 경우에는 플레이트(300)의 길이를 늘려 경사를 낮출 수 있으므로 높은 곳의 데크에도 차량(V)을 더욱 효과적으로 선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송선(3)도 제1데크(100), 제2데크(200) 및 램프(300)를 구비한다.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수송선(1)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램프(300)는 승강 유니트(310)와 플레이트(320)를 구비한다.
승강 유니트(310)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수송선(1)의 그것과 동일하며, 플레이트(320)는 제1판부(326)와 제2판부(328)를 구비한다.
제1판부(326)는 그 일측이 승강 유니트(3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된다. 제1판부(326)에는 케이블(330)이 결합되며, 그 케이블(330)은 권취기(334)에 감겨진다. 즉 권취기(334)로부터 케이블(330)을 풀어주면 제1판부(326)는 하강하게 되고, 권취기(334)로 케이블(330)을 감아주면 제1판부(326)는 상승하게 된다.
제2판부(328)는 제1판부(326)에 접철 가능하도록, 제1판부(326)의 타측에 힌지로 결합된다. 제2판부(328)와 제1판부(326)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판부(328)와 제1판부(326) 사이에는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의 일측은 제1판부(326)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제2판부(328)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가 신장되면 제1판부(326)와 제2판부(328) 사이의 각도가 커지고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가 단축되면 제1판부(326)와 제2판부(328)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판부(326)와 제2판부(328) 사이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모터와 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접철된 상태에 있는 제2판부(328)를 펴서 제1판부(326)와 직선을 이루도록 배치하면 플레이트(320) 전체의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플레이트(320)가 부두(Q)와 높은 곳에 위치한 데크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그 경사가 지나치게 가파르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선적이 끝나고 플레이트(320)를 올려 선체의 후미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320)의 제2판부(328)가 제1판부(326)에 접철시켜 둠으로써 플레이트(320)가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판부(328)는 차량 수송선(3)의 운행시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후크(미도시) 등에 의해서 제1판부(326)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수송선(1,2,3)에서는 램프(300)가 선체의 후미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램프(300)는 선체의 측면 또는 선두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램프(300)가 선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차량 수송선(1,2,3)의 측면이 부두(Q)에 인접하게 정박된 상태에서 차량(V)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수송선(1,2,3)에서는 플레이트(320)를 여닫기 위해서 케이블(330)과 권취기(334)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플레이트(320)를 여닫기 위한 수단으로 유압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 등을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2,3 ... 차량 수송선 100 ... 제1데크
150 ... 내부 램프 200 ... 제2데크
250 ... 제3데크 300 ... 램프
310 ... 승강 유니트 320 ... 플레이트
330 ... 케이블 Q ... 부두

Claims (6)

  1. 제1데크와,
    상기 제1데크와 층을 이루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데크와,
    정박한 상태에서 부두와 상기 제1데크를 연결하는 제1위치와 상기 부두와 상기 제2데크를 연결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는,
    상기 부두 방향으로 그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선체에 힌지 결합되는 제1판부와 상기 제1판부에 대해서 부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판부는 상기 램프의 연장 길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판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수송선.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판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판부에 결합되며, 그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서 상기 제2판부를 상기 제1판부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차량 수송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 유니트와,
    상기 승강 유니트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박시에 타측이 부두에 내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차량 수송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니트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 볼 스크류에 결합된 볼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차량 수송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된 케이블과,
    상기 플레이트가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기를 더 구비하는 차량 수송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데크와 함께 층을 이루며, 상기 승강 유니트의 가동 범위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데크와,
    상기 제3데크와 상기 제3데크에 인접한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데크를 연결하는 내부 램프를 더 구비하는 차량 수송선.
KR1020130007657A 2013-01-23 2013-01-23 차량 수송선 KR10126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57A KR101262085B1 (ko) 2013-01-23 2013-01-23 차량 수송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57A KR101262085B1 (ko) 2013-01-23 2013-01-23 차량 수송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397A Division KR20120033719A (ko) 2010-09-30 2010-09-30 차량 수송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73A KR20130012973A (ko) 2013-02-05
KR101262085B1 true KR101262085B1 (ko) 2013-05-14

Family

ID=4789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657A KR101262085B1 (ko) 2013-01-23 2013-01-23 차량 수송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73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5985B1 (ru) Узел подвижной платформы для судн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одъема или спуска тендерного судна ил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KR20130056336A (ko) 선박 및 선박용 갱웨이
US3515086A (en) System for handling cargo lighters and cargo hatch covers aboard ship
WO2018047215A1 (ja) コンテナ船、およびコンテナの荷役方法
KR20110092004A (ko) 해양 구조물의 거중 설비
JP2016010997A (ja) 船舶の荷役装置
KR20120033719A (ko) 차량 수송선
US3680518A (en) Apparatus for fixing containers in the ship
US3165211A (en) Cargo ship design for quick loading and discharge
JP5982523B1 (ja) 二種類の荷役装置による同時荷役貨物船
KR101262085B1 (ko) 차량 수송선
KR101315154B1 (ko) 선측에 구비되는 접이식 헬리데크
CN210310774U (zh) 一种带有侧拉式舱盖的船艏或船艉舱口结构
KR101086386B1 (ko) 승선용 사다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3469716A (en) System for handling cargo lighters and cargo hatch covers aboard ship
KR101580977B1 (ko) 래싱 브리지
KR20120118524A (ko) 시추선 선측의 간이 플랫폼
US2970705A (en) Cargo ships
KR101616300B1 (ko) 선박용 램프장치
KR101600773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JP6500256B2 (ja) 揚陸用の船舶、揚陸方法、及び揚陸用の船舶の設計方法
WO2012054970A1 (en) A marine vessel f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roro cargo between vessels at sea
KR200492623Y1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릿지에 설치되는 가변식 마스트
KR101667572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90054726A (ko)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