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726A -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726A
KR20190054726A KR1020170151634A KR20170151634A KR20190054726A KR 20190054726 A KR20190054726 A KR 20190054726A KR 1020170151634 A KR1020170151634 A KR 1020170151634A KR 20170151634 A KR20170151634 A KR 20170151634A KR 20190054726 A KR20190054726 A KR 20190054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rane
support
gird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일
이정훈
김충기
김병국
정연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726A/ko
Publication of KR2019005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크레인은, 레그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거더; 일단이 상기 거더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붐; 상기 거더 및 상기 붐을 따라 이동하며, 트롤리와 스프레더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및 상기 붐의 타단에 설치되며,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상기 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Crane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국가간 도시간 교역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물동량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운송비용이 저렴한 해로를 통한 물동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동량의 폭발적 증가에 발맞추어, 대량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10,000 TEU급 이상의 초대형 선박이 이미 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터미널의 규모도 이러한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을 정도로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에는 초대형 선박에 대하여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대형 크레인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크레인은 상기한 컨테이너 터미널은 물론 선박에도 설치되어 있으며, 선박과 부두 사이 또는 선박과 선박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하역하는 장비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크레인의 선적 및 하역속도는 최대 화물 처리 능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프레더와, 스프레더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트롤리와, 트롤리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거더 및 붐과, 붐과 거더를 지지하는 4 개의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크레인의 붐은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 시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그런데 종래 크레인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붐이 바람 등의 외적 요인으로 인하여 흔들리게 되고, 특히 선박이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선폭이 넓어져 먼 곳까지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해 붐의 길이 또한 길어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붐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심해져, 스프레더로 컨테이너를 잡을 때 컨테이너에 대한 스프레더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를 카고 홀더에 적재할 때 카고 홀더의 셀 가이드에 대한 스프레더에 파지된 컨테이너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조종실에 위치한 크레인 운전자의 시각에만 의존하여 스프레더를 컨테이너에 정렬하거나, 스프레더에 파지된 컨테이너를 셀 가이드에 정렬하게 되는데, 외적 요인에 의하여 붐의 위치가 흔들리는 경우 이들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서, 스프레더를 컨테이너에 고정 또는 스프레더에 파지된 컨테이너를 카고 홀더에 적재하는데 많은 작업시간이 소모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의 붐이 바람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크레인은, 레그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거더; 일단이 상기 거더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붐; 상기 거더 및 상기 붐을 따라 이동하며, 트롤리와 스프레더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및 상기 붐의 타단에 설치되며,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상기 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붐의 타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기둥을 크레인 미설치 선박의 상갑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기둥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붐은, 상기 거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지지기둥은,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상기 붐과 수직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없을 때는 하방 회전되어 상기 붐의 저면에 밀착 배치 또는 상기 붐과 함께 상기 레그부에 격납되거나, 상방 회전되어 상기 붐의 상면에 밀착 배치 또는 상기 붐과 함께 탑구조체에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레인 미설치 선박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결착시키는 결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좌우현측 상갑판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되, 복수 개의 스툴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지지기둥이 선체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갑판에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면이 상기 상갑판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걸침부재; 및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걸침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걸침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되는 고정식 또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장치가 회전식인 경우, 상기 보강부재는 유압장치로 형성되고, 상기 걸침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에 기재된 크레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작업시 길게 연장되는 붐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구조체를 구성함으로써, 바람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붐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스프레더를 컨테이너에 고정하는 작업 또는 스프레더에 파지된 컨테이너를 카고 홀더에 적재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붐의 흔들림이 최소화 되어, 크레인 운전자의 업무량 및 기량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는 컨테이너 적재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기둥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컨테이너 터미널에 설치된 경우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육상 대 선박으로의 선적 및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선박에 설치된 경우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선박 대 육상으로의 선적 및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선박에 설치된 경우 해상에서 선박 대 선박으로의 선적 및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기둥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선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컨테이너 터미널에 설치된 경우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육상 대 선박으로의 선적 및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선박에 설치된 경우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선박 대 육상으로의 선적 및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선박에 설치된 경우 해상에서 선박 대 선박으로의 선적 및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00)은, 주행부(110), 레그부(120), 거더(130), 탑구조체(140), 붐(150), 스테이부(160), 이송부(170), 지지구조체(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 터미널(20) 또는 제1선박(10a)에 설치될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선박(10)은, 컨테이너를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수송하는 크레인이 설치되거나 크레인이 미설치된 컨테이너선 외에도 해상에서 컨테이너선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해상 부유체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알려둔다. 여기서, 선박(10)은 크레인(100)의 설치 여부에 따라 제1선박(10a)과 제2선박(10b)으로 구분하며, 제1선박(10a)은 크레인 미설치 선박이고, 제2선박(10b)은 크레인 설치 선박이라 정의한다.
주행부(110)는, 복수의 차륜이 구비된 차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레그부(120)의 하단에 마련되어 컨테이너(30)의 선적 및 하역 작업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레일은, 크레인(100)이 설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20)이나 선박(10)에 마련될 수 있다.
레그부(120)는, 주행부(110) 상에 복수 개로 직립 설치될 수 있다. 레그부(120)는 전방레그(121)와 후방레그(1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레그(121)는 후술할 붐(150)이 연결되는 후술할 거더(13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후방레그(122)는, 후술할 거더(130)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거더(130)는, 복수 개의 레그부(120) 상단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더(130)에는, 후술할 트롤리(17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도시 안됨)이 설치될 수 있다.
탑구조체(140)는, 거더(130)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탑구조체(140)는, 후술할 스테이부(16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붐(150)은, 일단이 거더(130)의 일단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에는 후술할 지지구조체(18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붐(150)은, 거더(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선적 및 하역 작업시 거더(130)와 일직선으로 배치되며,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없을 때는 하방 회전되어 레그부(120)에 격납되거나 또는 상방 회전되어 탑구조체(14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붐(150)의 회전 운동을 위한 구동장치가 레그부(120), 거더(130) 또는 탑구조체(140)의 여유 공간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붐(150)은, 다양한 선폭에 대응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붐(150)의 길이 가변을 위해 구동장치가 레그부(120), 거더(130) 또는 탑구조체(140)의 여유 공간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붐(150)은 일직선 배치 상태에서 타단이 탑구조체(140)의 상부와 연결되는 후술할 포스테이(1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붐(150)에는, 후술할 트롤리(17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도시 안됨)이 설치될 수 있다.
스테이부(160)는, 거더(130)와 붐(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포스테이(161), 백스테이(162)로 구성될 수 있다.
포스테이(161)는, 일단이 탑구조체(14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붐(150)의 타단에 연결되어, 붐(15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포스테이(161)는, 붐(15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붐(15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하며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백스테이(162)는, 일단이 탑구조체(14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거더(130)의 타단에 연결되어, 붐(15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송부(170)는, 거더(130) 및 붐(150)을 따라 컨테이너(30)를 이송할 수 있으며, 트롤리(171), 스프레더(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롤리(171)는, 후술할 스프레더(172)를 지지하여 거더(130) 및 붐(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트롤리(171)는 거더(130)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붐(150)의 가이드 레일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트롤리(171)에는 거더(130) 및 붐(150)의 가이드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스프레더(172)는, 트롤리(171)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컨테이너(30)를 파지하게 된다.
즉, 스프레더(172)는 컨테이너(30)를 파지하여, 트롤리(171)의 이동에 대응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스프레더(172)는, 컨테이너(30)의 크기에 따라 크기 변형이 가능한 일반적인 트윈 리프트 스프레더 구조를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외에 공지된 일반적인 스프레더 구조를 선택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구조체(180), 붐(150)이 바람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붐(150)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기둥(181), 구동장치(182), 힌지(183), 고정부재(1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기둥(181)은, 거더(130)에 수평상태로 나란하도록 붐(150)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붐(15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기둥(181)은, 거더(130)의 일단으로부터 수평상태로 일 방향으로 연장된 붐(150)의 타단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된 상태로 각각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이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기둥(181)은, 하단에 고정부재(184)가 마련되어 있어 바닥에 안착 배치되면서 컨테이너(30)의 선적 및 하역 작업시 붐(150)의 타단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지지기둥(181)은 길이조절을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181)의 상단, 즉 지지기둥(181)의 길이방향 일단은 붐(15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83)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기둥(181)은, 붐(15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됨으로써, 선적 및 하역 작업시 붐(150)과 수직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없을 때는 하방 회전되어 붐(150)의 저면에 밀착 배치 또는 붐(150)과 함께 레그부(120)에 격납되거나, 상방 회전되어 붐(150)의 상면에 밀착 배치 또는 붐(150)과 함께 탑구조체(140)에 거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182)는, 지지기둥(18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붐(150)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182)는 지지기둥(181)을 회전시켜 붐(150)의 타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펼침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붐(150)의 저면 또는 상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접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구동장치(182)는, 구동모터일 수 있으며, 구동모터일 경우, 구동모터의 축 단부가 붐(150)과 연결되는 지지기둥(181)의 힌지(183) 부분에 기어를 통해 연결됨에 의해 지지기둥(181)이 구동모터의 축 회전방향에 따라 붐(150)의 타단과 연결되는 힌지(183)를 축으로 펼침 회전 또는 접힘 회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동장치(182)는, 윈치나 유압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기둥(18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부재(184)는, 지지기둥(181)의 하단, 즉 지지기둥(181)의 길이방향 타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기둥(181)이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바닥에 안착될 때 지지기둥(181)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8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00)이 설치되지 않은 제1선박(10a)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190)와 결착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제1선박(10a)의 좌우현측 상갑판(12)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스툴(13)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제1선박(10a)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100)이 설치되는 제2선박(10b)의 입항 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터미널(20)에도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구조체(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장치(185)는, 지지기둥(181)이 제1선박(10a)의 상갑판(12) 상에 직접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제1선박(10a)의 선체(11) 외측에서 제1선박(10a)의 상갑판(12)에 안착되도록, 지지기둥(181)의 하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갑판(12)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걸침부재(185a), 보강부재(185b)를 포함할 수 있다.
걸침부재(185a)는, 지지기둥(181)의 하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면이 상갑판(12)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침부재(185a)는, 하면이 직접 상갑판(12)에 밀착되어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상기한 고정부재(184)는 지지기둥(181)의 하단이 아니라 걸침부재(185a)의 하면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한 결합부재(190)는 고정부재(18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강부재(185b)는,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작업시 걸침부재(185a)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걸침부재(185a)가 손상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기둥(181)과 걸침부재(185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장치(185)는, 고정식 또는 회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식일 경우, 보강부재(185b)는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침부재(185a)는 일단이 지지기둥(181)의 하단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회전식일 경우, 보강부재(185b)는 유압장치로 형성될 수 있고, 걸침부재(185a)는, 일단이 지지기둥(181)의 하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크레인(100)은, 컨테이너 터미널(20) 또는 선박(10)에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100)이 컨테이너 터미널(20)에 설치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터미널(20)의 크레인(100)을 이용하여 크레인(100)이 설치되지 않은 제1선박(10a)과 육상 대 선박(shore to ship)으로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크레인(100)이 제2선박(10b)에 설치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선박(10b)의 크레인(100)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선박 대 육상(ship to shore)으로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선박(10b)의 크레인(100)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제1선박(10a)과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으로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00)은, 바람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붐(150)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체(180)를 구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체(180)의 지지기둥(181)이 크레인(100)이 설치되지 않은 제1선박(10a)의 상갑판(12)에 직접 안착되는 경우와,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기둥(18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85)가 제1선박(10a)의 상갑판(12)에 안착되는 경우에 컨테이너 적재 자동화 시스템의 구현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 적재 자동화 시스템은 화물창 선체 횡방향 적재열 개수를 지정하여 선체 폭의 변화에 맞출 수 있는 자동 화물 포지셔닝 시스템과 함께 일정 이상의 동요발생시 멈춤 기능 등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지지기둥(181)이 제1선박(10a)의 상갑판(12)에 직접 안착되는 경우, 지지기둥(181)이 스툴(13)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컨테이너(30)의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최외곽 컨테이너 적재열에서 간섭되므로, 최외곽 적재열을 제외한 나머지 적재열은 컨테이너 적재 자동화 시스템으로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지지기둥(181)을 붐(150)과 수평되도록 상향 이동 시킨 후 운자자가 수동으로 최외곽 적재열에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기둥(18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85)가 제1선박(10a)의 상갑판(12)에 직접 안착되는 경우에는, 지지기둥(181)이 선체(11)의 외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컨테이너(30)의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최외곽 컨테이너 적재열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모든 적재열에 컨테이너 적재 자동화 시스템으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작업시 길게 연장되는 붐(1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구조체(180)를 구성함으로써, 바람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붐(150)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스프레더(172)를 컨테이너(30)에 고정하는 작업 또는 스프레더(172)에 파지된 컨테이너(30)를 카고 홀더에 적재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붐(150)의 흔들림이 최소화 되어, 크레인 운전자의 업무량 및 기량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는 컨테이너 적재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선박 10a: 제1선박
10b: 제2선박 11: 선체
12: 상갑판 13: 스툴
20: 컨테이너 터미널 30: 컨테이너
100: 크레인 110: 주행부
120: 레그부 121: 전방레그
122: 후방레그 130: 거더
140: 탑구조체 150: 붐
160: 스테이부 161: 포스테이
162: 백스테이 170: 이송부
171: 트롤리 172: 스프레더
180: 지지구조체 181: 지지기둥
182: 구동장치 183: 힌지
184: 고정부재 185: 고정장치
185a: 걸침부재 185b: 보강부재
190: 결합부재

Claims (9)

  1. 레그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거더;
    일단이 상기 거더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붐;
    상기 거더 및 상기 붐을 따라 이동하며, 트롤리와 스프레더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및
    상기 붐의 타단에 설치되며,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상기 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붐의 타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기둥을 크레인 미설치 선박의 상갑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상기 거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지지기둥은,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상기 붐과 수직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없을 때는 하방 회전되어 상기 붐의 저면에 밀착 배치 또는 상기 붐과 함께 상기 레그부에 격납되거나, 상방 회전되어 상기 붐의 상면에 밀착 배치 또는 상기 붐과 함께 탑구조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미설치 선박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결착시키는 결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좌우현측 상갑판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되, 복수 개의 스툴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지지기둥이 선체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갑판에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면이 상기 상갑판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걸침부재; 및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걸침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걸침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되는 고정식 또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회전식인 경우, 상기 보강부재는 유압장치로 형성되고, 상기 걸침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레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0151634A 2017-11-14 2017-11-14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054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34A KR20190054726A (ko) 2017-11-14 2017-11-14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34A KR20190054726A (ko) 2017-11-14 2017-11-14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726A true KR20190054726A (ko) 2019-05-22

Family

ID=6668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634A KR20190054726A (ko) 2017-11-14 2017-11-14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7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339A (zh) * 2019-09-10 2019-12-10 姜仕存 一种化工储罐新型运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339A (zh) * 2019-09-10 2019-12-10 姜仕存 一种化工储罐新型运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445A (ko)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JP4738486B2 (ja) 車両輸送用コンテナ
US5593050A (en) Bridge crane
KR101125045B1 (ko) 이동항구의 선적 및 하역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JP5588446B2 (ja) 旋回装置およびそこから吊設される昇降フレームを備えたブリッジクレーン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KR20190054726A (ko)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3680518A (en) Apparatus for fixing containers in the ship
CN1170728C (zh) 用船运送货卷的方法和构造;中间甲板以及在船的货舱中的中间甲板构造
WO2014092643A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KR102007667B1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CN102202982A (zh) 板状体的叠放装置及搬运车辆
FI123734B (fi) Kuljetuskontti
KR20130133417A (ko) 래싱 브리지용 폴더블 플랫폼 구조
KR101478386B1 (ko) RoRo선에 적용되는 힌지를 이용한 카 데크 필러의 설치 방법
JP4351061B2 (ja) コンテナ支持用腕木
KR20160095941A (ko) 가변형 스키드가 구비된 로로 카세트
JPS6261479B2 (ko)
KR100350780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흔들림 방지 장치
KR20120033719A (ko) 차량 수송선
KR20110069442A (ko) 크레인 시스템
RU227457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возки рулонов материала или транспортно-намоточных барабанов, твиндек и твиндечная система в грузов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судна
US20210016960A1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actuator
KR20110069440A (ko) 크레인 시스템의 화물 이송방법
KR101262085B1 (ko) 차량 수송선
JPH08233Y2 (ja) コンテナの中間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