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572B1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572B1
KR101667572B1 KR1020140029383A KR20140029383A KR101667572B1 KR 101667572 B1 KR101667572 B1 KR 101667572B1 KR 1020140029383 A KR1020140029383 A KR 1020140029383A KR 20140029383 A KR20140029383 A KR 20140029383A KR 101667572 B1 KR101667572 B1 KR 10166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ce
cargo
hull
hous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054A (ko
Inventor
임홍일
이도형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5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체, 상기 선체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거주구, 상기 제1 및 제2 거주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거주구 및 상기 제1 거주구와 상기 제3 거주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거주구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체 상단에 배치된 상단부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SHIP WHICH LOAD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상단에 배치된 거주구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하여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거주구는 기관실 상부(1-Island type) 또는 선체 중앙부 화물창 상부(2-Island type)에 위치하고 선체와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며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춰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9982호는 거주구를 선박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거주구의 하부에 연료유 탱크를 배치하는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 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은 항해시 선교 시야가 향상되고, 동일한 크기의 선박보다 컨테이너를 갑판 상부에 많이 적재할 수 있으며, 연료유 탱크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관실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의 영향이 감소하여 기관실 구역에 인접하는 거주구를 가지는 선박에 비해 안락한 선실을 유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5306호는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하여 선실 거주구와 연료탱크를 서로 다른 구획에 배치하여 선실 거주구 하부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선실 거주구 하부 컨테이너 적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적재 방법은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면서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총 개수의 감소는 최소화할 수 있다.
거주구 하부 공간은 일반적으로 연료유 저장 공간 또는 기타 기기류를 배치하나, 거주구 주변과 더불어 여유공간이 상존하여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998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53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 상단에 배치된 제1 및 제2 거주구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거주구를 배치하여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형상의 회전 가능한 제3 거주구를 배치하여 크레인의 접근 및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거주구, 상기 제1 및 제2 거주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거주구 및 상기 제1 거주구와 상기 제3 거주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거주구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체의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거주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3 거주구를 지지하는 거주구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거주구는 상기 제1 및 제2 거주구의 상부에서 선저면을 향하여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ㅡ] 형상 또는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거주구는 이동 수단이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및 제2 거주구 사이로 화물이 적재될 때 제3 거주구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방법은 제3 거주구가 제1 거주구를 중심축으로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주구 지지대에 거치되는 단계, 선박의 선내 화물창에 화물을 적재하고 상기 선체 상부의 해치커버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해치커버의 상부에 상기 화물을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거주구를 역회전 시켜 상기 제2 거주구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은 선체 상단에 배치된 제1 및 제2 거주구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거주구를 배치하여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은 다양한 형상의 회전 가능한 제3 거주구를 배치하여 크레인의 접근 및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3 거주구의 회전 이동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ㄱ] 형상 제3 거주구의 회전 이동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선저면을 향하여 오픈되는 [ㄷ] 형상 제3 거주구의 회전 이동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해치 커버, 거주구 지지대 및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화물을 적재화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체(110), 제1 거주구(120), 제2 거주구(130), 제3 거주구(140) 및 회전부(15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컨테이너 선적을 위하여 부두에 설치된 외부 크레인을 통해 그 내부에 복수의 화물들이 적재되는 복수의 화물창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물창은 선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체 횡격벽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선체(110)는 복수의 화물들을 화물창 및 최상 갑판(즉, Upper deck) 상단에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체(110)의 양 상단부는 제1 거주구(120)와 제2 거주구(130)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에서, 선체(110)의 제1 측면부 상단에는 제1 거주구(120)가 배치되고, 선체(110)의 제2 측면부 상단에는 제2 거주구(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거주구(120)과 제2 거주부(13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1에서, 선체(110)의 상단부는 제1 거주구(120)와 제2 거주구(130) 사이에 형성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적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는 해치 및 해치 커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해치는 복수의 화물들을 화물창에 선적하기 위하여 최상 갑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해당한다. 해치 커버(111)는 해치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도1에서, 제1 거주구(120)는 선체(110)의 상부 제1 측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거주구(120)는 선체(110)의 제1 측면 상부에 제2 거주구(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선체(110)의 길이 방향(즉, 선수와 선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거주구(120)는 횡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고 복수의 층을 이루며,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주구(120)는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의 층들을 연결하여 선원들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17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거주구(120)는 내부에 선원들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17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4와 같이, 이동 수단(170)은 제1 거주구(120)의 각 층 또는 상단에서 연결되어 제3 거주구(140)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구비된 통행로이며, 계단 모듈 내지 엘리베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170)은 복수의 데크들 사이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선원들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 및 난간을 포함하는 계단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수단(170)은 제3 거주구(140)가 선체(110)의 제1 측면을 향하여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거주구(120)의 상단에서 제3 거주구(120)와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1에서, 제1 거주구(120)의 상단은 회전부(150)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150)를 통해 화물 적재 선박(100)의 특정 방향(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3 거주구(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거주구(130)는 선체(110)의 상부 제2 측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거주구(130)는 선체(110)의 제2 측면 상부에 제1 거주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선체(110)의 길이 방향(즉, 선수와 선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거주구(130)는 횡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고 복수의 층을 이루며,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거주구(130)는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의 층들을 연결하여 선원들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17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거주구(130)는 내부에 선원들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거주구(130)의 상단은 제1 거주구(120)를 중심축으로 특정 방향(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3 거주구(14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주구(120) 및 제2 거주구(130)는 상부에서 연결되는 제3 거주구(140)의 형상에 따라 거주구의 높이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거주구(120) 및 제2 거주구(130)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3 거주구(140)는 [ㅡ]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거주구(140)는 제1 거주구(120)의 상부에서 제1 거주구(120)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2 거주구(130)의 상부를 연결하는 [ㅡ]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거주구(120)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회전부(150)를 통해 제1 거주구(120)를 중심축으로 특정 방향(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회전이동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거주구(140)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 거주구(120) 및 제2 거주구(130)의 상부를 연결하는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거주구(140)는 도 3a와 같이, 제1 거주구(120)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회전부(150)를 통해 제1 거주구(120)를 중심 축으로 특정 방향(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회전이동 될 수 있다.
다른 일 일시예에서, 제3 거주구(140)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1 거주구(120) 및 제2 거주구(130)의 상부에서 선저면을 향하여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저면을 향하여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거주구(140)는 도 3b와 같이 제1 거주구(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부(150)를 통해 제1 거주구(120)를 중심축으로 특정 방향(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회전이동 될 수 있다.
제3 거주구(140)는 선체(110)의 화물창 및 최상 갑판에 선적되는 복수의 화물들의 선적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특정 각도로 회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ㅡ] 형상을 갖는 제3 거주구(140)는 선미 방향을 향하여 제1 거주구(120)를 중심축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거주구(140)의 회전각은 선박의 설계 요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2 에서, 제3 거주구(140)의 폭(a)은 제1 거주구(120)의 폭(b)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거주구(140)의 폭(a)은 제1 거주구(120)의 상부에서 회전시 제1 거주구(120)의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이동 수단(170)과 충돌을 방지 하기 위해 제1 거주구(120)의 폭(b)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50)는 제1 거주구(120)와 제3 거주구(14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거주구(120)의 상부에서 제3 거주구(14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회전부(150)는 제1 거주구(120)에 설치되는 정/역 방향 회전 모터 및 제3 거주구(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 모터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50)는 회전 윈치(Winch)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50)는 산업 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명한 기술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제1 측면을 향하여 회전하는 제3 거주구(140)를 지지할 수 있는 거주구 지지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구 지지대(160)는 제1 거주구(120)를 중심으로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거주구(140)의 형상에 따라 제2 거주구(13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선체(110)의 제1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거주구 지지대(160)는 횡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고 복수의 층을 이루며,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거주구(140)는 최상층에 조타실(Wheel house)이 구비되고, 제1 거주구(120) 및 제2 거주구(130)와 연결된 이동 수단(170)을 통해 그 내부로 선원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미도시)가 선수 또는 선미 방향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거주구(140)는 설계 요건에 따라 조타실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제1 거주구(120), 제2 거주구(130), 제3 거주구(140), 회전부(150) 및 거주구 지지대(160)의 형상은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거주구(120), 제2 거주구(130), 제3 거주구(140), 회전부(150) 및 거주구 지지대(160)는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설계 요건에 따라 크기, 형상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제2 측면을 선적(또는 하역) 시설에 접안 시키고, 제3 거주구(140)를 제1 거주구(120)를 중심축으로 선미 방향으로 90도 회전 이동시킨다(a), (b). 외부 크레인을 통해 선체(110) 내부의 복수의 화물창들에 복수의 화물들을 적재시킨다(c). 화물이 적재된 복수의 화물창들의 선체(110) 상부의 해치 커버(111)를 폐쇄한다(d). 폐쇄된 해치 커버(111)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다(e). 제3 거주구(140)를 제1 거주구(120)를 중심축으로 선수 방향으로 90도 회전 이동시켜 제2 거주구(13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f).
일 실시예에서, 최상 갑판에 해치 및 해치커버(111)가 구비되지 않은 화물 적재 선박(100)은 단계 (e)와 같이 최상 갑판 상단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 적재 선박
111: 해치 커버
110: 선체
120: 제1 거주구
130: 제2 거주구
140: 제3 거주구
150: 회전부
160: 거주구 지지대
170: 이동 수단

Claims (10)

  1. 선체;
    상기 선체 상에 배치된 제1거주구;
    상기 선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거주구와 이격된 제2거주구;
    상기 제1 및 제2거주구 상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거주구에 의해 지지 되고, 타측이 상기 제2거주구에 의해 지지되는 제3거주구;
    상기 제3거주구의 일측과 상기 제1거주구 사이에 배치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거주구는, 상기 회전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1거주구 상에서 회전 가능하고, 회전 시, 상기 제3거주구의 타측은 상기 제2거주구와 분리 가능한 화물 적재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상에, 상기 제3거주구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3거주구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거주구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지지대는
    상기 제2거주구와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거주구 사이에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거주구 사이에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지지대는
    상기 제2거주구와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거주구 사이에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거주구 사이에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10. 청구항 1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의 화물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3 거주구가 제1 거주구를 중심축으로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주구 지지대에 거치되는 단계;
    선박의 선내 화물창에 화물을 적재하고 선체 상부의 해치커버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해치커버의 상부에 상기 화물을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거주구를 역회전 시켜 상기 제2 거주구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방법.
KR1020140029383A 2014-03-13 2014-03-13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6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83A KR101667572B1 (ko) 2014-03-13 2014-03-13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83A KR101667572B1 (ko) 2014-03-13 2014-03-13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54A KR20150107054A (ko) 2015-09-23
KR101667572B1 true KR101667572B1 (ko) 2016-10-19

Family

ID=5424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383A KR101667572B1 (ko) 2014-03-13 2014-03-13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175B1 (ko) 2015-07-29 2022-04-08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차량의 카메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76B1 (ko) 2009-08-19 2012-04-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휠 하우스가 구비된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793B2 (ja) * 1993-07-05 2002-12-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船の居住区構造
JPH10280317A (ja) * 1997-04-04 1998-10-20 Ohbayashi Corp 回転式橋梁
KR20100069982A (ko) 2008-12-17 2010-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선박
KR20110000591U (ko) * 2009-07-13 2011-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선회식 브리지 윙
KR20120105306A (ko) 2011-03-15 2012-09-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선실 거주구 하부 컨테이너 적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76B1 (ko) 2009-08-19 2012-04-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휠 하우스가 구비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54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61505U (zh) 一种客滚船的舱体结构
KR101667572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00773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702320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93366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909518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89657B1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KR20150067710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68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US20110030603A1 (en) Reconfigurable ocean-going vessel
KR20150114740A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094474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09659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10179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70053267A (ko) 화물 적재 선박
CA2722666A1 (en) Reconfigurable ocean-going vessel
KR20150133102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20150133104A (ko) 화물 적재 선박
WO2024068712A1 (en) A ship and a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a ship
KR101564258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60025379A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