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740A - 화물 적재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4740A KR20150114740A KR1020140039309A KR20140039309A KR20150114740A KR 20150114740 A KR20150114740 A KR 20150114740A KR 1020140039309 A KR1020140039309 A KR 1020140039309A KR 20140039309 A KR20140039309 A KR 20140039309A KR 20150114740 A KR20150114740 A KR 20150114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residence
- disposed
- habita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제1 거주구,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선체의 상부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제2 거주구 및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단과 상기 제2 거주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제2 거주구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체 상단에 배치된 상단부를 이동하여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상단에 배치된 거주구의 상단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하여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거주구는 기관실 상부(1-Island type) 또는 선체 중앙부 화물창 상부(2-Island type)에 위치하고 선체와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며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춰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9982호는 거주구를 선박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거주구의 하부에 연료유 탱크를 배치하는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 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은 항해시 선교 시야가 향상되고, 동일한 크기의 선박보다 컨테이너를 갑판 상부에 많이 적재할 수 있으며, 연료유 탱크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관실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의 영향이 감소하여 기관실 구역에 인접하는 거주구를 가지는 선박에 비해 안락한 선실을 유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5306호는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하여 선실 거주구와 연료탱크를 서로 다른 구획에 배치하여 선실 거주구 하부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선실 거주구 하부 컨테이너 적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적재 방법은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면서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총 개수의 감소는 최소화할 수 있다.
거주구 하부 공간은 일반적으로 연료유 저장 공간 또는 기타 기기류를 배치하나, 거주구 주변과 더불어 여유공간이 상존하여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 상단에 배치된 거주구의 상단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하여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가능한 거주구의 상단부를 배치하여 거주구의 종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ㄱ] 형상의 이동 가능한 거주구를 화물이 선적되는 일 측면에 배치하여 크레인의 접근 및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제1 거주구,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선체의 상부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제2 거주구 및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단과 상기 제2 거주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거주구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거주구의 폭은 상기 제1 거주구 상부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거주구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거주구를 지지하는 거주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거주구는 조타실을 포함하고 상기 조타실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주구는 상기 출입구와 연결되는 이동 수단이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의 상부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제2 거주구의 양 하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 상단에 배치된 거주구의 상단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하여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이동 가능한 거주구의 상단부를 배치하여 거주구의 종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ㄱ] 형상의 이동 가능한 거주구를 화물이 선적되는 일 측면에 배치하여 크레인의 접근 및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거주구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동 가능 거주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이동 가능한 거주구와 거주구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이동 가능 거주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레일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동 가능 거주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이동 가능한 거주구와 거주구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이동 가능 거주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레일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거주구를 포함하는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동 가능한 거주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체(110), 제1 거주구(120), 제2 거주구(130) 및 레일부(14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컨테이너 선적을 위하여 부두에 설치된 외부 크레인(10)을 통해 그 내부에 복수의 화물들이 적재되는 복수의 화물창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물창은 선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체 횡격벽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선체(110)는 복수의 화물들을 화물창 및 최상 갑판(즉, Upper deck) 상단에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는 복수의 화물들이 최상 갑판 상단에 적재되기 전에 해치커버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선체(110)의 양 상단부는 제1 거주구(120)와 제2 거주구(130)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110)의 제1 측면부 상단에는 제1 거주구(120)가 배치되고, 선체(110)의 제2 측면부 상단에는 제2 거주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선체(110)의 상단부 중 제2 거주구(120)가 배치되는 상단부는 레일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부(140)의 길이는 화물 적재 선박(100), 제1 거주구(120) 및 제2 거주구(130)의 설계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는 해치 및 해치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치는 선체(110)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배치되어 선체(110) 내부를 분리할 수 있고, 상부에 해치커버가 배치된다. 해치커버는 해치 상부에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해치커버는 해치를 통해 구역이 분리된 선체(1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장치로,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는 해치 및 해치커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화물 적재 과정은 해치 및 해치커버가 배치된 화물 적재 선박(100)과 해치 및 해치커버가 배치되지 않은 화물 적재 선박(100)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거주구(120)는 선체(110)의 상부 제1 측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거주구(120)는 선체(110)의 제1 측면 상부에 제2 거주구(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선체(110)의 길이 방향(즉, 선수와 선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거주구(120)의 상단은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140)가 형성될 수 있고, 레일부(140)를 통해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ㄱ] 형상의 제2 거주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거주구(120)는 횡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고 복수의 층을 이루며,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주구(120)는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층들로 설치되어 선원들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수단(150)은 제1 거주구(120)의 각 층 또는 상단에서 연결되어 제2 거주구(130)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구비된 통행로이며, 계단 모듈 내지 엘리베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150)은 복수의 데크들 사이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선원들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 및 난간을 포함하는 계단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수단(150)은 제2 거주구(120)가 일측(이동 수단(150)이 배치된 쪽)으로 이동하면 제1 거주구(120)의 상단에서 제2 거주구 (120)와 밀착 가능하며, 제2 거주구(13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거주구(13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거주구(130)는 제1 거주구(120)의 상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거주구(120)에서 선체(110)의 제2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평 바(131) 및 수평 바(131)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선체(110)의 상단부로 향하는 수직 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바(131) 및 수직 바(132)는 제2 거주구(130)의 [ㄱ]자 형상 및 각 부분에 대한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부여한 명칭이며, 각각은 개별 구조물이 아닌 하나의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수평 바(131)의 일측은 레일부(140)가 형성되어 레일부(140)를 따라 제1 거주구(120)의 상부에서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 바(131)의 폭(a)은 제1 거주구(120)의 폭(b)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바(131)의 폭(a)은 제2 거주구(1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거주구(120)의 폭(b)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바(131)는 조타실(Wheel house) 또는 조타실이 구비된 거주구로 구현되고,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미도시)가 선수 또는 선미 방향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바(131)의 제1 측면 하단은 제1 거주구(120)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4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수평 바(131)는 레일부(140)가 연장된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홈(미도시)이 양 하단에 형성되고 연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일정 깊이의 홈(미도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42)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바(131)의 양 하단은 각각 두 개의 바퀴 부재(142)가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바(132)는 수평 바(131)와 연결되어 선체(110)의 제2 측면 상단에서 제1 거주구(120)와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바(132)는 선체(110)의 제2 측면 상단에 설치된 레일부(140)를 따라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바(132)는 횡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고 복수의 층을 이루며,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바(132)의 하단은 선체(110)의 제2 측면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4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바(132)는 레일부(140)가 연장된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홈(미도시)이 양 하단에 형성되고 연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일정 깊이의 홈(미도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42)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바(132)의 양 하단은 각각 두 개의 바퀴 부재(142)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제2 거주구(130)를 지지할 수 있는 거주구 지지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제2 거주구(130)는 거주구 지지부(310)의 상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주구 지지부(310)는 선체(110)의 제2 측면 상부에서 제1 거주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주구 지지부(310)는 일측에 선원들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150)이 배치될 수 있다.
거주구 지지부(310)의 상단은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140)가 형성될 수 있고, 레일부(140)를 통해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이동하는 [ㄱ] 형상의 제2 거주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제2 거주구(130)의 [ㄱ] 형상은 항구 내지 선착장에 접안시 제2 측면에서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크레인(10)의 높낮이 제한 없이 선체(110)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레일부(140)는 제1 거주구(120)와 제2 거주구의 수평 바(131) 사이 및 제2 거주구의 수직 바(132)와 선체(110)의 제2 측면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제1 거주구(120)와 선체(110)의 상부에서 제2 거주구(130)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레일부(140)는 제1 거주구(120)와 선체(110) 각각의 상단에서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부(140)는 제1 거주구(120)의 설계 구조에 따라 설치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레일부(140)는 제1 거주구(120)와 선체(110)의 상단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141) 및 슬라이딩 레일(130)과 밀착되어 슬라이딩 레일(1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서, 슬라이딩 레일(141)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H형상의 바퀴 부재(142)가 회전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41)은 레일 클램프(Rail Clamp)를 통해 제1 거주구(120) 및 선체(11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의 (b)에서, 바퀴 부재(142)는 제2 거주구(130)의 하단에 형성된 일정 깊이의 홈(미도시) 내부에 수용되어 특정 축(미도시)을 통해 제2 거주구(130)에 연결될 수 있다. 바퀴 부재(142)는 슬라이딩 레일(141)을 따라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수 또는 선미 방향을 향하여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일부(140)는 직선 레일, 톱니 형상의 레일 또는 복수의 톱니 바퀴들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제1 거주구(120), 제2 거주구(130) 및 레일부(140)의 형상은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거주구(120), 제2 거주구(130) 및 레일부(140)는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설계 요건에 따라 크기, 형상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크레인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선체
120: 제1 거주구
130: 제2 거주구
131: 수평 바 132: 수직 바
140: 레일부
141: 슬라이딩 레일 142: 바퀴 부재
150: 이동 수단
310: 거주구 지지부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선체
120: 제1 거주구
130: 제2 거주구
131: 수평 바 132: 수직 바
140: 레일부
141: 슬라이딩 레일 142: 바퀴 부재
150: 이동 수단
310: 거주구 지지부
Claims (6)
-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제1 거주구;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선체의 상부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제2 거주구; 및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단과 상기 제2 거주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거주구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주구의 폭은
상기 제1 거주구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주구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거주구를 지지하는 거주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주구는
조타실을 포함하고 상기 조타실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주구는
상기 출입구와 연결되는 이동 수단이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거주구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의 상부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제2 거주구의 양 하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9309A KR20150114740A (ko) | 2014-04-02 | 2014-04-02 | 화물 적재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9309A KR20150114740A (ko) | 2014-04-02 | 2014-04-02 | 화물 적재 선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3825A Division KR101909518B1 (ko) | 2016-09-05 | 2016-09-05 | 화물 적재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4740A true KR20150114740A (ko) | 2015-10-13 |
Family
ID=5434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9309A KR20150114740A (ko) | 2014-04-02 | 2014-04-02 | 화물 적재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14740A (ko) |
-
2014
- 2014-04-02 KR KR1020140039309A patent/KR2015011474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9518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1807542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1702320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KR20150114740A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1552925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
KR101693366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KR101667572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
KR101600773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
KR101642391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60056610A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1689657B1 (ko) |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 |
KR20150067710A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KR101668453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1586261B1 (ko) | 이동식 거주구 | |
KR101564258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
KR101644451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KR101610179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50094474A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KR101609659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
KR20170053267A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50133102A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KR101682200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50133104A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60025379A (ko) |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 |
KR101347345B1 (ko) | 수용공간을 구비한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