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00B1 - 화물 적재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00B1
KR101682200B1 KR1020140083528A KR20140083528A KR101682200B1 KR 101682200 B1 KR101682200 B1 KR 101682200B1 KR 1020140083528 A KR1020140083528 A KR 1020140083528A KR 20140083528 A KR20140083528 A KR 20140083528A KR 101682200 B1 KR101682200 B1 KR 10168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idewalls
crane
cargo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699A (ko
Inventor
임홍일
이도형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양 상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일체화되는 조타실, 적어도 상기 조타실의 하부면과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 쌓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 및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화물 적재부에 배치되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선박의 거주구 하부에 크레인을 배치하여 선체 갑판의 상부 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 선박{SHIP LOADING CARGO}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거주구 하부에 크레인을 배치하여 선체 갑판의 상부 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거주구는 기관실 상부(1-Island type) 또는 선체 중앙부 화물창 상부(2-Island type)에 위치하고 선체와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며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춰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2158호는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선박의 플랫폼 전체 또는 넓은 범위에 대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수평 붐과 트롤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고 원활하게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7527호는 제로 모멘트의 개념을 이용하여 선박의 요동에 관계없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평형 유지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하여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제로 모멘트 포인트에 의한 지지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평형을 유지할 수 있어 정밀하게 평형 제어를 할 수 있다.
거주구 하부 공간은 일반적으로 연료유 저장 공간 또는 기타 기기류를 배치하나, 거주구 주변과 더불어 여유공간이 상존하여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215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1752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거주구 하부에 크레인을 배치하여 선체 갑판의 상부 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거주구를 고정 또는 이동하여 선박에 적재되는 화물의 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 설계 요건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거주구를 제공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상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일체화되는 조타실, 적어도 상기 조타실의 하부면과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 쌓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 및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화물 적재부에 배치되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체의 양 상단부들과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양 하단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타실과 함께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하단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지지하는 크레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조타실과 인접한 상부 일부에서 거주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선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를 통해 화물창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화물 적재부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는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양 상부들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크레인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의 거주구 하부에 크레인을 배치하여 선체 갑판의 상부 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의 거주구를 고정 또는 이동하여 선박에 적재되는 화물의 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 설계 요건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거주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해치 및 해치커버가 배치되지 않은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거주구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이동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해치 및 해치커버가 배치되지 않은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측벽들(110), 조타실(120), 화물 적재부(130), 크레인(140) 및 이동부(150)를 포함한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체(1) 상부에 배치된 크레인을 통해 복수의 화물들(10) 또는 교환 가능한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조타실(120)의 하부에 위치한 화물창에 적재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들은 선박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예를 들어, LNG 내지 유류)가 저장되며, 화물창에 적재됨으로써 해상에서 화물 적재 선박(100)에 연료를 공급하는 벙커링(Bunkering)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화물창들은 선체(1) 내부에서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선체 횡격벽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해치 및 해치커버(160)가 배치되거나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화물 적재 과정은 해치가 배치된 화물 적재 선박(100)과 해치가 배치되지 않은 화물 적재 선박(100)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선체(1)의 양 상부들에 각각 배치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양 상단부에 배치되는 조타실(120)에 의해 양 상단부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조타실(12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선체(1)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의 상부에 배치된 이동부(150)를 따라 조타실(120)과 함께 선체(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이동부(150)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화물창 또는 두 개의 화물창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조타실(120)과 인접한 상부 일부에서 거주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주구는 복수의 측벽들(110)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양 하단부들 각각에 슬라이딩 레일(15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52)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의 양 하단부들 각각은 슬라이딩 레일(151)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선박 운행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홈(미도시)을 포함하고 일정 깊이의 홈(미도시)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52)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양 하단부들 각각은 두 개의 바퀴 부재(152)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크레인(140) 또는 크레인(140)에 의해 적재되는 복수의 화물들(10)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면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부재는 고무, 스펀지 또는 실리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타실(12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측벽들(110)과 일체화된다. 조타실(12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조타실(120)은 복수의 측벽들(110)과 접하는 부분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고정 장치에 의해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타실(120)은 크레인(140) 또는 크레인(140)에 의해 적재되는 복수의 화물들(10)로부터 하부면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조타실(120)의 하부면과 복수의 측벽들(110)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 쌓이고 선체(1)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다. 화물 적재부(130)는 복수의 화물들(10)이 적재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으로, 복수의 측벽들(110)의 이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체(1)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160)를 통해 화물창과 분리될 수 있다.
크레인(140)은 고정 부재(미도시)를 통해 선체(1)의 상부에 고정되어 화물 적재부(130)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미도시)는 크레인(140)이 선체(1)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Clamp)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140)은 화물 적재부(13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인(140)은 짚 크레인에 해당할 수 있다.
크레인(140)은 복수의 측벽들(110) 사이에 형성된 크레인 지지부(17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동부(150)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측벽들(1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150)는 선체(1)의 양 상단부들과 복수의 측벽들(110)의 양 하단부들 각각에 형성된다. 이동부(150)는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복수의 측벽들(11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150)는 선체(1)의 양 상단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151)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양 하단들 각각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레일(15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 슬라이딩 레일(151)은 일정 높이의 길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H형상(바퀴 부재의 상단면 형상)의 바퀴 부재(152)가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바퀴 부재(152)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양 하단부들 각각에 형성된 일정 깊이의 홈 내부에 수용되어 특정 축(미도시)을 통해 복수의 측벽들(110)에 연결될 수 있다. 바퀴 부재(152)는 슬라이딩 레일(151)을 따라 화물 적재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150)는 선체(1)의 양 상단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양 하단들 각각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홈은 선체(1)의 양 상단부들 각각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I형상의 바퀴 부재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150)는 선체(1)의 양 상단부들 각각에서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50)는 선체(1)의 양 상단부들 각각에서 두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150)는 선체(1)의 양 상부들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들(미도시)은 이동부(150) 양단 각각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크레인 지지부(17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단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을 상호 연결하여 크레인(140)을 지지한다. 크레인 지지부(170)는 선체(1)의 상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측벽들(110)과 연결될 수 있다.
크레인 지지부(170)는 복수의 측벽들(110)과의 연결을 보조하는 복수의 지지 보조부들(17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보조부들(171)은 복수의 측벽들(110)과 인접한 곳에 배치되어 크레인 지지부(170)와 복수의 측벽들(110) 간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물(10)을 적재하는 과정은 크레인(140)이 배치된 하부의 화물창과 그 전단의 화물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공간에 화물(10)이 적재되었다고 가정한다. 크레인(140)을 통해 화물 적재 선박(100)에 적재할 화물(10)을 들어올린다(a). 크레인(140)에 의해 들어 올려진 화물(10)을 화물창에 적재한다(b, c). 여기에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크레인(140)이 배치된 하부의 화물창과 그 전단의 화물창 사이에 선체 횡경벽이 존재하지 않아, 이동 수단을 통해 크레인(140)이 배치된 하부의 화물창의 전단의 화물창에 적재된 적어도 하나의 화물(10)을 크레인(140)이 배치된 하부의 화물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 수단은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여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복수의 측벽들
120: 조타실
130: 화물 적재부
140: 크레인
150: 이동부
151: 슬라이딩 레일 152: 바퀴 부재
160: 해치커버
170: 크레인 지지부
1: 선체

Claims (10)

  1. 선체의 양 상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일체화되는 조타실;
    적어도 상기 조타실의 하부면과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화물 적재부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며 상기 선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이동부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화물창 또는 두 개의 화물창 사이에서 이동하는 크레인;
    상기 선체의 상부에서 상기 크레인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하단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지지하는 크레인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양 상단부들과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양 하단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타실과 함께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조타실과 인접한 상부 일부에서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선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를 통해 화물창과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화물 적재부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이동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양 상부들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10. 삭제
KR1020140083528A 2014-07-04 2014-07-04 화물 적재 선박 KR10168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28A KR101682200B1 (ko) 2014-07-04 2014-07-04 화물 적재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28A KR101682200B1 (ko) 2014-07-04 2014-07-04 화물 적재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99A KR20160004699A (ko) 2016-01-13
KR101682200B1 true KR101682200B1 (ko) 2016-12-02

Family

ID=5517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528A KR101682200B1 (ko) 2014-07-04 2014-07-04 화물 적재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074A (ja) * 2000-04-26 2003-10-21 フランス国 自立式コンテナ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527B1 (ko) 2009-07-31 2013-01-10 한국과학기술원 평형 유지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12158B1 (ko) 2009-11-19 2012-02-22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20110073185A (ko) * 2009-12-22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용 해상 크레인
KR101177850B1 (ko) * 2010-11-05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화물창의 해치 커버
KR101282350B1 (ko) * 2011-09-2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074A (ja) * 2000-04-26 2003-10-21 フランス国 自立式コンテナ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99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915B1 (ko) 화물선
KR101682200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93366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702320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20150067710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2054056B1 (ko) 잠수함용의 리프팅 디바이스
KR101595477B1 (ko)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KR101564258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JP5570624B2 (ja) 自動車運搬船の倉内構造
KR101586261B1 (ko) 이동식 거주구
KR101609659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89657B1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KR20190093994A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1567015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44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403649B1 (ko) 선박의 크레인
KR20180000929U (ko)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KR20150133102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20160025379A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CN104554635A (zh) 独立液货舱用支承装置及具备该装置的运输船
KR20150118371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20160054757A (ko) 화물 적재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