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29U -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 Google Patents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29U
KR20180000929U KR2020160005593U KR20160005593U KR20180000929U KR 20180000929 U KR20180000929 U KR 20180000929U KR 2020160005593 U KR2020160005593 U KR 2020160005593U KR 20160005593 U KR20160005593 U KR 20160005593U KR 20180000929 U KR20180000929 U KR 201800009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go hold
plate
width direction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찬
박진훈
예석희
구승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929U/ko
Publication of KR20180000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63B2701/10
    • B63B2708/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선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컨테이너선의 선폭에 비해 항만 크레인의 길이가 짧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갑판 상에 해치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그 위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해치커버와, 상기 해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화물창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가장자리 바닥면 영역에 구비되는 이송 플레이트;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용 레일;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구비되어 구역을 구획하되, 상기 이송 플레이트가 이동할 시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선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구성되는 셀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cargo bottom plate to the width direction moving}
본 고안은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선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컨테이너선의 선폭에 비해 항만 크레인의 길이가 짧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선이나 컨테이너선에는 곡물, 원유, 화물, 컨테이너 등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개의 화물창(Cargo space)이 설치되고, 이와 같은 화물창의 출입구인 해치(Hatch) 주위에는 해수나 빗물 등이 쉽게 화물창 내부로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해치코밍(Hatch Coaming)이 설치되며, 해치코밍의 상부에는 화물창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해치커버(Hatch Cover)가 설치된다.
즉, 상기한 해치는 갑판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해치의 크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결정되는데, 선체의 강도 및 안전상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지만, 해치를 통해 이동시킬 화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5미터 이상의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해치가 외부로 노출된 갑판에 형성된 경우에는,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해치를 개폐 가능한 해치커버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컨테이너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컨테이너가 적재되기 전 상태의 컨테이너 선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100)은 상부 갑판(110)과, 상기 컨테이너들이 적재되는 복수의 해치커버(70)와, 해치커버(7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래싱 브리지(20)로 구성된다. 상기 래싱 브리지(20)들은 해치커버(70)에 적층되는 컨테이너(10)들을 따라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수직 구조물로 형성며, 일례로 컨테이너 선박(10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래싱 브리지(20)들 사이에는 해치커버(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해치커버(70)의 상부에 구비되는 화물창에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컨테이너들이 수열 내지 수십열이 배치되어 있고, 각 컨테이너가 화물창 내에서 선박의 횡 또는 종동요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각 컨테이너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셀 가이드(cell guide)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크레인의 경우 그 길이가 약 60m로 구성되기 때문에 화물창의 양측 단부에 수용된 컨테이너의 경우 하역 시 선폭이 크레인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컨테이너 하역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122530호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선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컨테이너선의 선폭에 비해 항만 크레인의 길이가 짧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갑판 상에 해치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그 위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해치커버와, 상기 해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화물창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가장자리 바닥면 영역에 구비되는 이송 플레이트;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용 레일;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구비되어 구역을 구획하되, 상기 이송 플레이트가 이동할 시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선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구성되는 셀 가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윈치로 구성되며, 상기 윈치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용 레일을 타고 상기 이송 플레이트가 선박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 가이드는, 평면의 형상이 'T'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직부재가 구동부에 의해 선체의 내외부로 인출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에 의하면, 단순하게 화물창 바닥에 선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변경함으로서, 선박 화물창의 가장자리 영역에 선적된 컨테이너들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어 신속한 물류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을 이용하여 해치커버의 상부에 실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을 이용하여 해치커버의 상부에 실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바닥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1000)은, 갑판 상에 해치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그 위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해치커버와, 상기 해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화물창(1001)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갑판 상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해치커버와, 상기 해치커버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작업 보도 및 상기 작업 보도의 외측에 형성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래싱 브리지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래싱 브리지에 고정시키는 래싱 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래싱 브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싱로드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기존 컨테이너선의 구성 중 화물창(1001)의 바닥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일반적인 컨테이너선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로 대체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화물창(1001)의 가장자리 바닥면 영역에 구비되는 이송 플레이트(110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는 화물창(1001)의 선폭 방향으로 양측 최외각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용 레일(120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용 레일(1200)은,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의 양측 단부에만 결속되어 이송 플레이트(1100)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300)는 윈치로 구성되며, 상기 윈치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용 레일(1200)을 타고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가 선박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400) 사이에 구비되어 구역을 구획하되,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가 이동할 시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선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구성되는 셀 가이드(1500)가 구비된다. 상기한 셀 가이드(1500)는, 평면의 형상이 'T'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직부재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선체의 내외부로 인출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가 이동할 시 셀 가이드(1500)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에 실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컨테이너선(1000)은 선적된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해 크레인(2000)을 통하여 하역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선(1000)이 크레인(2000)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크레인(2000)은 화물창(1001)의 내부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하역하게 된다.
이후 화물창 중간부의 컨테이너(1400)가 모두 하역되면, 가장자리 영역에 실린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300)가 작동하여 가장자리 영역의 이송 플레이트(1100)를 중간부로 이동한 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000)을 작동시켜 이송 플레이트(1100)의 상부면에 적재된 컨테이너(1400)를 하역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가 이동할 시 셀 가이드(1500)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셀 가이드(1500)는 선체측으로 매립되도록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물창(1001)의 바닥면 구조를 변경하게 되면, 선박 화물창의 가장자리 영역에 선적된 컨테이너들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어 컨테이너선 선폭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 컨테이너선 1001 : 화물창
1100 : 이송 플레이트 1200 : 이송용 레일
1300 : 구동부 1400 : 컨테이너
1500 : 셀 가이드 2000 : 크레인

Claims (3)

  1. 갑판 상에 해치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그 위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해치커버와, 상기 해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화물창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1001)의 가장자리 바닥면 영역에 구비되는 이송 플레이트(1100);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용 레일(1200);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300); 및
    상기 컨테이너(1400) 사이에 구비되어 구역을 구획하되,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가 이동할 시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선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구성되는 셀 가이드(1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0)는 윈치로 구성되며, 상기 윈치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용 레일(1200)을 타고 상기 이송 플레이트(1100)가 선박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가이드(1500)는,
    평면의 형상이 'T'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직부재가 구동부에 의해 선체의 내외부로 인출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KR2020160005593U 2016-09-27 2016-09-27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KR201800009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93U KR20180000929U (ko) 2016-09-27 2016-09-27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93U KR20180000929U (ko) 2016-09-27 2016-09-27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9U true KR20180000929U (ko) 2018-04-04

Family

ID=6196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93U KR20180000929U (ko) 2016-09-27 2016-09-27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92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530A (ko) 2010-05-04 2011-1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530A (ko) 2010-05-04 2011-1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931B1 (ko)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의 하역방법
KR101328193B1 (ko)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KR20180000891U (ko) 선폭방향으로 해치커버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US9340268B2 (en) Floor device capable of up-down movement for vessels
KR20180000929U (ko)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JP2016527144A5 (ko)
KR101110728B1 (ko) 선박의 해치커버 탑재 구조
KR101702320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93366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2115781B1 (ko) 컨테이너 래싱장치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2210364B1 (ko) 해치 커버 및 이를 포함한 선박
WO2018207230A1 (ja) 船舶
KR102658220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료 저장탱크의 최적화 배치구조
WO2018047214A1 (ja) ばら積み貨物の荷役方法
KR20110101960A (ko) 스택킹 가이드를 이용한 해치커버 탑재 구조
KR101586261B1 (ko) 이동식 거주구
KR20180085541A (ko) 컨테이너선의 엔진 케이싱 배치구조
KR20170009079A (ko) 컨테이너 선
KR20150133102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JP2016097751A (ja) 船舶
KR20160054757A (ko) 화물 적재 선박
JP2017019371A (ja) 2層甲板船のポンツーンハッチカバー格納構造
KR20160012668A (ko) 선박용 벌크 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