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757A - 화물 적재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757A
KR20160054757A KR1020140154146A KR20140154146A KR20160054757A KR 20160054757 A KR20160054757 A KR 20160054757A KR 1020140154146 A KR1020140154146 A KR 1020140154146A KR 20140154146 A KR20140154146 A KR 20140154146A KR 20160054757 A KR20160054757 A KR 2016005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cargo
deckhouse
sidewalls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일
이도형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757A/ko
Publication of KR2016005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체 상에서 상호 이격된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과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단 일부로 형성된 제1 화물 적재 공간과 상기 제2 및 제3 측벽들과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단 다른 일부로 형성된 제2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은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로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 선박{CARGO LOADING SHIP}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데크 하우스를 이동시켜 화물의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주구는 선체의 갑판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선박의 조종실이 마련되어 있고, 승무원들이 일상 생활과 업무를 하는 공간이다. 거주구는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된 채 사용되는 선원들의 생활공간인 거주구와, 추진 수단으로서의 쓰러스터를 포함하며, 거주구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현측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쓰러스터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0927호는 선박 거주구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거주구 중심의 전방 위치에서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방부, 거주구 중심의 후방 위치에서 전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방부보다 큰 폭 방향 길이를 갖는 후방부 및 전방부의 단부와 후방부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들은 거주구 및 화물 적재 공간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 (2014.06.09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390927호 (2014.04.24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통해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로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측벽들을 통해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 상에서 상호 이격된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과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단 일부로 형성된 제1 화물 적재 공간과 상기 제2 및 제3 측벽들과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단 다른 일부로 형성된 제2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수단은 엔진에 의한 동력을 공급 받아 구동되는 메인 이동 부재 및 상기 메인 이동 부재의 이동에 종속하여 이동되는 서브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 각각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 각각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수단은 레일, 휠 또는 랙-피니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선체 상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통해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로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제1 내지 제3 측벽들을 통해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이동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서 데크 하우스의 왕복 이동에 의한 화물 적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이동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측벽들(110), 데크 하우스(120), 화물 적재부(130) 및 이동 수단(140)을 포함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 상에서 상호 이격된 제1, 제2 및 제3 측벽들(111, 112,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측벽(112)은 선체(10) 상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어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측벽들(110)의 개수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0)의 양 측면 및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화물 적재 공간과 동일한 길이(즉, 선체(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0)의 상부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즉, 각각의 전단 및 후단이 동일한 연장선상에 있음)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서 데크 하우스(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제1 내지 제3 단들에 각각 연결되고 데크 하우스(120)의 길이(즉, 선체(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제1 내지 제3 단들을 각각 지지하여, 데크 하우스(12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 및 조타실을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이동 수단(140)에 의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왕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131, 132) 각각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131, 132) 각각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물 적재 공간(131)은 제1 및 제2 측벽들(111, 112)과 데크 하우스(120)의 하단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화물 적재 공간(132)은 제2 및 제3 측벽들(112, 113)과 데크 하우스(120)의 하단 다른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복수의 화물들을 적재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0)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를 통해 복수의 화물창들과 분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해치 커버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화물창들이 적재를 완료하면,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131, 132)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이동 수단(140)은 메인 이동 부재(141) 및 서브 이동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동 부재(141)는 엔진에 의한 동력을 공급 받아 구동될 수 있고, 복수의 측벽들(11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이동 부재(142)는 메인 이동 부재(141)의 이동에 종속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수단(14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데크 하우스(120)를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수단(140)은 레일, 휠 또는 랙-피니언을 통해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이동 부재(141)는 제2 측벽(1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서브 이동 부재(142)는 제1 및 제3 측벽들(111, 1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측벽(112)의 상부에 배치된 메인 이동 부재(141)가 엔진에 의한 동력을 공급 받아 구동되면, 제1 및 제2 측벽들(111, 113)의 상부에 배치된 서브 이동 부재(142)가 종속하여 이동되어 데크 하우스(120)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수단(140)은 메인 이동 부재(141) 및 서브 이동 부재(142)로 구분됨으로써, 공급 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데크 하우스(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수단(140)은 그 양단에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미도시)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제2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미도시)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면, 제1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서 데크 하우스의 왕복 이동에 의한 화물 적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현재 데크 하우스(120)의 제1 위치를 제외한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a).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화물창들에 화물이 적재된 후 선체(10)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제1 구간이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크레인을 통해 현재 데크 하우스(120)의 제1 위치를 제외한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131, 132) 각각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b). 데크 하우스(120)는 이동 수단(140)을 통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c). 화물 적재 선박(100)은 현재 데크 하우스(120)의 제2 위치를 제외한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제2 구간이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현재 데크 하우스(120)의 제2 위치를 제외한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131, 132) 각각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d). 따라서, 데크 하우스(120)는 크레인의 화물 적재 작업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120)를 통해 데크 하우스(120)와 복수의 측벽들(110)로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하고, 복수의 측벽들(110)을 통해 데크 하우스(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데크 하우스(120) 및 화물 적재부(130)의 효율적인 설계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복수의 측벽들 111: 제1 측벽
112: 제2 측벽 113: 제3 측벽
120: 데크 하우스 130: 화물 적재부
131: 제1 화물 적재 공간 132: 제2 화물 적재 공간
140: 이동 수단 141: 메인 이동 부재
142: 서브 이동 부재
10: 선체

Claims (7)

  1. 선체 상에서 상호 이격된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과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단 일부로 형성된 제1 화물 적재 공간과 상기 제2 및 제3 측벽들과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단 다른 일부로 형성된 제2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부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엔진에 의한 동력을 공급 받아 구동되는 메인 이동 부재; 및
    상기 메인 이동 부재의 이동에 종속하여 이동되는 서브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 각각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화물 적재 공간들 각각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레일, 휠 또는 랙-피니언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선체 상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KR1020140154146A 2014-11-07 2014-11-07 화물 적재 선박 KR20160054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46A KR20160054757A (ko) 2014-11-07 2014-11-07 화물 적재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46A KR20160054757A (ko) 2014-11-07 2014-11-07 화물 적재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757A true KR20160054757A (ko) 2016-05-17

Family

ID=5610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146A KR20160054757A (ko) 2014-11-07 2014-11-07 화물 적재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7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4850A (zh) 船舶
KR102139041B1 (ko) 선박의 거주 구역 구조 및 화물 운반선
KR20160054757A (ko) 화물 적재 선박
EP2907738B1 (en) Cargo loading ship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WO2014013584A1 (ja) 船舶
KR102010227B1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립식 쌍동선
RU249578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надводным транспортом а.н. канцера
JP2012153334A (ja) 船舶
KR20160075454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60003657U (ko) 선박
CN105644716A (zh) 集装箱船
RU2527651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над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вариант русской логики - версия 3)
KR20190093994A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1644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98694B1 (ko) 계류 장치를 갖는 선미 구조 및 이를 갖는 드릴쉽
RU2527644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над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вариант русской логики - версия 2)
KR20140002889U (ko) 컨테이너선의 이동식 컨테이너 지지구조물
KR20170053267A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909518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68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RU2532655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над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вариант русской логики - версия 5)
KR101609659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50057357A (ko)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KR101586261B1 (ko) 이동식 거주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