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357A -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357A
KR20150057357A KR1020130140612A KR20130140612A KR20150057357A KR 20150057357 A KR20150057357 A KR 20150057357A KR 1020130140612 A KR1020130140612 A KR 1020130140612A KR 20130140612 A KR20130140612 A KR 20130140612A KR 20150057357 A KR20150057357 A KR 2015005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ovable
wall
quay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계연
김일석
이루다
조가혜
정예슬
오다솔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7357A/ko
Publication of KR2015005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일측이 접안하도록 접안면을 형성한 육상안벽; 상기 육상안벽에 설치되며 선박의 타측에 대하여 접안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안벽; 상기 이동식 안벽을 선박의 측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레일수단; 및 상기 이동레일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선박의 양측면에서 동시에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승선 및 선,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식 안벽은 선박의 타측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선박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계류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quay wall dock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안벽 접안시 접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벽(岸壁 ; quay)은 선박의 안전한 접안과 승객의 승하선 및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을 위해 해상과 육상의 경계에 마련된다.
한편, 최근 전 세계적으로 크루즈 여행에 대한 여행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크루즈선은 초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대형 여객선의 경우, 선내에 객실과 식당, 수영장, 카지노, 실내골프장, 아이스링크, 극장 및 테니스장 등과 같은 생활 유락 시설을 갖춘 형태의 선박으로서, 상기 초대형 여객선의 설계에서는 선내 거주자의 사용자 편의성이 가장 중요시되며 이를 위해 선내 공간 활용도의 극대화가 필수적이다.
즉, 초대형 여객선은 그 자체로 화려한 리조트로서, 고급스러운 음식은 물론 온갖 종류의 놀거리가 여객선 안에 다 갖춰져 있으며, 대개 1,000명 이상 승선 가능하여 일명 떠다니는 호텔이라고도 한다.
또한, 초대형 여객선을 특화하고 승객들에게 차별화된 선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스포츠 및 공연 이벤트를 관람할 수 있도록 된 스타디움을 구비하는 선박도 고안되었다.
따라서, 상기 초대형 여객선의 증가로 여객 터미널 또한 대규모 선박을 유치하고 다수의 선석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안벽 시설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박의 길이방향 일측이 육상 안벽에 접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접안면(11)을 형성하고, 상기 선박(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계류로프(3)가 감기는 다수의 비트(12)가 설치된다.
즉, 상기 육상 안벽의 접안면에 선박의 길이방향 일측이 접안된 상태에서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안벽 시설은 상기 접안면에 접하는 선박의 한쪽 면만을 이용하여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따른 승객의 승하선 및 선,하역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경우에는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의 선,하역 작업하는데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그에 따른 다수의 다른 선박들은 해상에서 장시간 대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68664호(2012.07.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안벽 접안시 접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는, 선박의 일측이 접안하도록 접안면을 형성한 육상안벽; 상기 육상안벽에 설치되며 선박의 타측에 대하여 접안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안벽; 상기 이동식 안벽을 선박의 측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레일수단; 및 상기 이동레일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식 안벽은, 상기 접안면과 나란하게 연장 설치되며 상기 선박과 접하는 플랫폼과, 상기 이동레일수단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수단은, 상기 육상안벽의 접안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된 결합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이동식 안벽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체인벨트와 구동모터의 조립체, 또는 신축작용하는 로드부재를 구비한 압력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식 안벽은 상기 이동레일수단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식 안벽은 상기 접안면 쪽을 향하여 선박의 타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식 안벽의 테두리 둘에는 충격저감용 펜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식 안벽의 상면은 육상안벽의 상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길이방향 타측에 대하여 접안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안벽과, 상기 이동식 안벽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레일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선박의 양측면에서 동시에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승선 및 선,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식 안벽은 선박의 타측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선박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계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안벽은 다른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면을 마련함으로써, 다수의 다른 선박이 해상에서 장시간 대기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안벽 시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식 안벽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는 선박(10)의 일측이 접안하도록 접안면(110)을 형성한 육상안벽(100)과, 상기 육상안벽(100)에 설치되며 선박(10)의 타측에 대하여 접안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안벽(200)과, 상기 이동식 안벽(200)을 선박(10)의 측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레일수단(300)과, 상기 이동레일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육상안벽(100)은 해상의 떠있는 선박(10)을 안전하게 정박시키는 부지로써,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상기 육상안벽(100)은 선박(10)의 길이방향 일측이 접안할 수 있도록 수직한 구조의 접안면(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육상안벽(100)은 항만의 규모에 따라 상기 접안면을 'ㄱ' 또는 'ㄷ'자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육상안벽(100)에는 선박(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계류로프(미도시)가 감기는 다수의 비트(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이동식 안벽(200)은 상기 육상안벽(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선박(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대하여 접안을 실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식 안벽(200)은 상기 선박(10)의 길이방향의 타측에 대한 접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초대형 선박(10)과 같은 많은 승객인원 및 수화물의 선,하역을 위한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승객 승,하선 및 수화물의 선적과 하역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이동식 안벽(200)은 접안면(110)과 마주보는 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박(10)과 접하는 플랫폼(210)과, 후술할 이동레일수단(30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220)로 구성된다.
상기 플랫폼(210)은 일정 넓이와 길이를 가지는 부유식 평판형 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이동식 안벽(200)은 상기 접안면(110) 쪽을 향하여 선박(10)의 타측을 가압한다.
이는 후술할 이동레일수단(300)에 의해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식 안벽(200)이 선박(10)의 타측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흔들림 없이 상기 선박(10)을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안벽(200)은 상기 이동레일수단(300)에 대하여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동식 안벽(200)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선박(100) 접안면(201)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다수의 선박(10)을 동시에 정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이동식 안벽(200)의 테두리 둘에는 충격저감용 펜더(211)가 설치된다.
상기 충격저감용 펜더(211)는 이동식 안벽(200)과 선박(10)이 상호 직접적으로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상쇄시키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이동식 안벽(200)의 상면은 육상안벽(100)의 상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레일수단(300)은 상기 이동식 안벽(200)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구성으로, 상기 육상안벽(100)의 접안면(110)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설치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220)가 장착되는 레일부(310)와, 상기 레일부(310)에 결합된 결합플레이트(220)를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310)는 접안면(110)과 직각하는 육상안벽(100)의 수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면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레일부(310)는 수직면의 상면 또는 상면 아래쪽에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20)는 수직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플레이트(2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재(320)는 상기 이동식 안벽(200)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체인벨트와 구동모터의 조립체 또는 신축작용하는 로드부재를 구비한 압력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동력전달부재(320)의 작동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식 안벽(200)은 직선운동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레일수단(300)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육상안벽(100) 위에 별도의 조정실을 마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대하여 접안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안벽(200)과, 상기 이동식 안벽(200)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레일수단(300)을 구성함으로써, 선박(10)의 양측면에서 동시에 승객의 승하선 및 수화물 선적과 하역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승선 및 선,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식 안벽(200)은 선박(10)의 타측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선박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계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안벽(200)은 다른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면을 마련함으로써, 다수의 다른 선박(10)이 해상에서 장시간 대기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선박
100 : 육상안벽
110 : 접안면
200 : 이동식 안벽
210 : 플랫폼
220 : 결합플레이트
300 : 이동레일수단
310 : 레일부
320 : 동력전달부재
400 : 제어부

Claims (8)

  1. 선박의 일측이 접안하도록 접안면을 형성한 육상안벽;
    상기 육상안벽에 설치되며 선박의 타측에 대하여 접안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안벽;
    상기 이동식 안벽을 선박의 측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레일수단; 및,
    상기 이동레일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벽은, 상기 접안면과 나란하게 연장 설치되며 상기 선박과 접하는 플랫폼과, 상기 이동레일수단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수단은, 상기 육상안벽의 접안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된 결합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이동식 안벽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체인벨트와 구동모터의 조립체, 또는 신축작용하는 로드부재를 구비한 압력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벽은 상기 이동레일수단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벽은 상기 접안면 쪽을 향하여 선박의 타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벽의 테두리 둘에는 충격저감용 펜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벽의 상면은 육상안벽의 상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KR1020130140612A 2013-11-19 2013-11-19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KR20150057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12A KR20150057357A (ko) 2013-11-19 2013-11-19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12A KR20150057357A (ko) 2013-11-19 2013-11-19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57A true KR20150057357A (ko) 2015-05-28

Family

ID=5339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612A KR20150057357A (ko) 2013-11-19 2013-11-19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73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345B1 (ko) 2018-07-27 2019-06-11 한림코퍼레이션(주) 플로팅 플랫폼을 이용한 접안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345B1 (ko) 2018-07-27 2019-06-11 한림코퍼레이션(주) 플로팅 플랫폼을 이용한 접안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4536B (en) Method for building ship on ground and launching ship using skid launching system
US8051790B2 (en) LCAC lander, launcher and lifter
US20020164231A1 (en) Craft for embarking/landing on unequipped shorelines
KR20130056336A (ko) 선박 및 선박용 갱웨이
US9908590B2 (en) Aqua lift
US6537009B1 (en) Handler for container ship
KR20180036783A (ko) 선박, 선박을 사용한 반송방법
CN103171742A (zh) 一种适用于舟车装卸运输的架桥汽艇
KR20150057357A (ko)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US9340268B2 (en) Floor device capable of up-down movement for vessels
CN112046700B (zh) 一种组合式滚装过驳渡船
RU2377155C1 (ru) Морское грузовое судно для подъема, погрузки-вы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затонувших объектов в пункт приема
US20100068008A1 (en) Mobile Harbor
US5941192A (en) Ship borne lifts for tenders and methods for using same
RU2323121C1 (ru) Плавучий причал
US6863484B2 (en) Catamaran transfer vessel
RU139463U1 (ru) Многокорпусное судно
CN102530200A (zh) 用于浮船坞引船的液压定位装置及其工作方法
US20160023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tting on hold boats afloat on a water body after they are launched and/or before they are hauled out
US10000258B2 (en) Vessel with selectively deployable hull members
KR200406345Y1 (ko) 선박의 도선사용 줄사다리 이동장치
KR200286930Y1 (ko) 선박 종접안 전용 물양장 구조
JP6500256B2 (ja) 揚陸用の船舶、揚陸方法、及び揚陸用の船舶の設計方法
KR100529821B1 (ko) 선박 종접안 전용 물양장 구조
KR20150043014A (ko) 부유체 예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