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657B1 -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657B1
KR101689657B1 KR1020160113237A KR20160113237A KR101689657B1 KR 101689657 B1 KR101689657 B1 KR 101689657B1 KR 1020160113237 A KR1020160113237 A KR 1020160113237A KR 20160113237 A KR20160113237 A KR 20160113237A KR 101689657 B1 KR101689657 B1 KR 10168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able
residence
housing
side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542A (ko
Inventor
임홍일
이도형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6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체,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배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벽들,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주구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상기 거주구 사이에서 상기 거주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상기 거주구 간의 배선 연결을 가이드하는 배선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은 거주구의 이동 중에도 선박의 각종 설비 및 장치들에 대한 전력 및 기타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선 및 배관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SHIP EQUIPPED WITH PORTABLE DECK-HOUSE}
본 발명은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주구의 이동 중에도 선박의 각종 설비 및 장치들에 대한 전력 및 기타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선 및 배관 구조를 갖는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거주구는 기관실 상부(1-Island type) 또는 선체 중앙부 화물창 상부(2-Island type)에 위치하고 선체와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며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춰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9982호는 거주구를 선박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거주구의 하부에 연료유 탱크를 배치하는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 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은 항해시 선교 시야가 향상되고, 동일한 크기의 선박보다 컨테이너를 갑판 상부에 많이 적재할 수 있으며, 연료유 탱크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관실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의 영향이 감소하여 기관실 구역에 인접하는 거주구를 가지는 선박에 비해 안락한 선실을 유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5306호는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하여 선실 거주구와 연료탱크를 서로 다른 구획에 배치하여 선실 거주구 하부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선실 거주구 하부 컨테이너 적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적재 방법은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면서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총 개수의 감소는 최소화할 수 있다.
거주구 하부 공간은 일반적으로 연료유 저장 공간 또는 기타 기기류를 배치하나, 거주구 주변과 더불어 여유공간이 상존하여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998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53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주구의 이동 중에도 선박의 각종 설비 및 장치들에 대한 전력 및 기타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선 및 배관 구조를 갖는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배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벽들,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주구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상기 거주구 사이에서 상기 거주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상기 거주구 간의 배선 연결을 가이드하는 배선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주구는 하단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배선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단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배선 가이드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선 제어부는 상기 거주구의 이동에 따라 제1 케이블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 케이블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선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 연결부에 삽입되는 배관 부재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선 제어부의 외측벽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양 상단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거주구의 양 하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은 거주구의 이동 중에도 선박의 각종 설비 및 장치들에 대한 전력 및 기타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선 및 배관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의 배선 가이드부의 구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배선 가이드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배관 파이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제1 및 제2 드레그 체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100)은 선체(110), 복수의 측벽들(120), 거주구(130), 배선 가이드부(140) 및 이동부(15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해수로부터 부유되는 선박의 몸통으로, 외벽은 이중 격벽으로 형성된다. 선체(110)는 컨테이너 선적을 위하여 부두에 설치된 화물 크레인을 통해 그 내부에 복수의 화물들이 적재되는 복수의 화물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복수의 화물들이 화물창뿐만 아니라 최상 갑판(즉, Upper deck) 상단에도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는 해치 및 해치 커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치는 복수의 화물들을 화물창에 선적하기 위하여 최상 갑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해당한다. 해치 커버(111)는 해치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선체(110)의 상부 양 측면에는 선체(1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측벽들(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의 상단부의 폭은 복수의 측벽들(120)의 폭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선체(1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측벽들(120)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적어도 하나의 화물창을 포함하도록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단에 배치되는 거주구(130)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선박의 설계 요건에 따라 형성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상단에 거주구(130) 및 배선 가이드부(140)가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측벽들(120)은 상단 일부가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함몰된 상단(이하, 함몰면)에 배선 가이드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벽들(120)은 대향하는 측면(즉, 내측면)에 함몰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들(120)은 함몰면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단 외측면, 상단 중앙에서 [凹] 형상으로, 상단 내측 및 외측이 함몰된 [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상단에 거주구(130)를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50)가 형성되고, 거주구(130)가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도 2와 같이 선수 및 선미 방향에 배관 삽입 홀(220a, 220b)이 형성될 수 있다. 배관 삽입 홀(220a, 220b)은 배선 가이드부(140)의 내부에 형성된 배관 파이프(144)가 삽입되어 거주구(130)와 복수의 측벽들(120)을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20)의 함몰면은 가이드부(140)를 거주구(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의 내부는 횡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고 복수의 층을 이루며,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130)는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측벽들(120)의 상단에서 각각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거주구(120)는 복수의 격벽들을 통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130)는 구조물의 최상층에 조타실(Wheel House)이 배치될 수 있다.
거주구(130)는 하단에 배선 가이드부(14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주구(130)는 복수의 측벽들(120)과 대칭되도록 하단의 일부가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그 하단에서 배선 가이드부(140)가 배치 및 연결될 수 있다. 즉, 거주구(130)는 복수의 측벽들(120)의 함몰면의 형성된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대칭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거주구(130)의 하단은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들(120) 상단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선 가이드부(140)는 거주구(130) 및 복수의 측벽들(1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케이블 홀(141a, 141b), 제1 및 제2 롤러들(142a, 142b) 및 중앙 홀(143)을 포함한다.
제1 케이블 홀(141a)은 배선 가이드부(140)의 선미 방향 하단에 형성되어 복수의 측벽들(120)의 선미 방향에서 연장되는 제1 케이블(20a)을 배선 가이드부(14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1 롤러(142a)는 제1 케이블 홀(141a)을 통해 유입된 제1 케이블(20a)과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중앙 홀(143)을 관통하여 거주구(130)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20a)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142a)는 선수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케이블(20a)을 권출 하거나, 선미 방향으로 회전 하여 제1 케이블(20a)을 권취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141b)은 배선 가이드부(140)의 선수 방향 하단에 형성되어 복수의 측벽들(120)의 선수 방향에서 연장되는 제2 케이블(20b)을 배선 가이드부(14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롤러(142b)는 제2 케이블 홀(141b)을 통해 유입된 제2 케이블(20b)과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중앙 홀(143)을 관통하여 거주구(130)와 연결되는 제2 케이블(20b)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롤러(142b)는 선수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케이블(20b)을 권취 하거나, 선미 방향으로 회전 하여 제2 케이블(20b)을 권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롤러들(142a, 142b)은 드레그 체인(Drag chai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드레그 체인은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케이블(20a, 20b)를 감싸는 복수의 관절들(510)로 이루어지며, 거주구(130)와 연결된 배선 가이드부(140)가 선수 내지 선미 방향으로 이동시 각각의 관절이 구부러지며 선체(110)와 거주구(130)의 배선 및 배관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도2에서, 중앙 홀(143)은 배선 가이드부(140)의 상단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20a, 20b)을 거주구(130)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케이블(20a, 20b)은 선체(110)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주구(1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각각 복수의 측벽들(120)의 선미 및 선수 방향에서 연장되어 배선 가이드부(140)에 유입될 수 있다.
배선 가이드부(140)는 배관 파이프(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 파이프(144)는 복수의 측벽들(120)의 상단에서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주구(130)의 선수 및 선미 방향에 형성된다. 배관 파이프(144)는 도 4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며, 거주구(130)의 이동시에는 거주구(130)를 향하여 수축되어 복수의 측벽들(120)과의 연결을 분리시키고, 거주구(130)의 이동이 완료되면 복수의 측벽들(120)을 향하여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선 가이드부(140)는 도3과 같이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에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좌측 내지 우측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1에서, 이동부(150)는 복수의 측벽들(120) 양 상단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거주구(130)의 양 하단 각각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레일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H형상의 바퀴 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은 레일 클램프(Rail Clamp)를 통해 복수의 측벽들(120)에 고정될 수 있다. 바퀴 부재는 거주구(130)의 양 하단 각각에 형성된 일정 깊이의 홈 내부에 수용되어 특정 축(미도시)을 통해 거주구(130)에 연결될 수 있다. 바퀴 부재는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선박 운행 방향으로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150)은 동륜, 랙-피니언 기어, 복수의 톱니바퀴들, 유압 레일 및 유압 잭업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a: 제1 케이블 20b: 제2 케이블
100: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110: 선체 111: 해치 커버
112: 제2 삽입 홈
120: 복수의 측벽들
130: 거주구
140: 배선 가이드부
141a: 제1 케이블 홀 141b: 제2 케이블 홀
142a: 제1 롤러 142b: 제2 롤러
143: 중앙 홀
144: 배관 파이프
150: 이동부
220a, 220b: 배관 삽입 홀
510: 복수의 관절들

Claims (6)

  1. 선체;
    상기 선체 상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주구;
    상기 선체 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거주구로 유입되는 제1케이블 및 상기 선체 내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거주구로 유입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들; 및
    상기 선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거주구의 이동에 연동하여 작동되며, 상기 거주구로 유입되는 상기 케이블들을 각각 지지하는 배선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가이드부는,
    상기 거주구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롤러; 및
    상기 거주구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2케이블을 지지하는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케이블이 지나고, 상기 제1케이블을 상기 제1롤러로 안내하는 제1케이블홀;
    상기 제2케이블이 지나고, 상기 제2케이블을 상기 제2롤러로 안내하는 제2케이블홀; 및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이 함께 지나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을 상기 거주구로 안내하는 중앙홀이 각각 형성된 이동식 거주구가 구비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롤러는
    상기 거주구가 선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거주구가 선미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이동식 거주구가 구비된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와 상기 거주구 사이에 배치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가이드부는 상기 거주구와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식 거주구가 구비된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와 상기 배선가이드부는
    상기 측벽 상에서 함께 이동하는 이동식 거주구가 구비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와 상기 거주구 사이에 배치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가이드부는 상기 거주구와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식 거주구가 구비된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와 상기 배선가이드부는
    상기 측벽 상에서 함께 이동하는 이동식 거주구가 구비된 선박.
KR1020160113237A 2016-09-02 2016-09-02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KR10168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237A KR101689657B1 (ko) 2016-09-02 2016-09-02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237A KR101689657B1 (ko) 2016-09-02 2016-09-02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63A Division KR20160025379A (ko) 2014-08-27 2014-08-27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542A KR20160106542A (ko) 2016-09-12
KR101689657B1 true KR101689657B1 (ko) 2016-12-27

Family

ID=5695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237A KR101689657B1 (ko) 2016-09-02 2016-09-02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6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704A (ja) 2002-10-28 2004-05-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ライドドアのケーブル配索支持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19071U1 (de) * 2005-12-06 2006-02-02 Pruin, Berend, Dipl.-Ing. Schiffs-Aufbauten
KR20100069982A (ko) 2008-12-17 2010-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선박
KR20120105306A (ko) 2011-03-15 2012-09-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선실 거주구 하부 컨테이너 적재 방법 및 장치
KR101282350B1 (ko) * 2011-09-2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KR101349866B1 (ko) * 2012-03-23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704A (ja) 2002-10-28 2004-05-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ライドドアのケーブル配索支持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542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657B1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KR101693366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702320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20160025379A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KR20150067710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67572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68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00773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909518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094474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60056610A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10179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133104A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09659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50114740A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67015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64258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44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133102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586261B1 (ko) 이동식 거주구
KR101682200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44451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