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179B1 - 화물 적재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179B1
KR101610179B1 KR1020140060715A KR20140060715A KR101610179B1 KR 101610179 B1 KR101610179 B1 KR 101610179B1 KR 1020140060715 A KR1020140060715 A KR 1020140060715A KR 20140060715 A KR20140060715 A KR 20140060715A KR 101610179 B1 KR101610179 B1 KR 10161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argo
residence
sidewalls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992A (ko
Inventor
임홍일
문차석
이도형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17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벽들 및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부에 배치되어 크레인에 의해 이동되는 거주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은 크레인에 의하여 이동되는 거주구를 배치하여 거주구의 하부에 화물 적재가 가능하여 적재하는 화물 수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 선박 {SHIP WHICH LOAD CARGO}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에 의하여 이동되는 거주구를 배치하여 거주구의 하부에 화물이 적재가 가능하며, 선박에 적재하는 화물 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거주구는 기관실 상부(1-Island type) 또는 선체 중앙부 화물창 상부(2-Island type)에 위치하고 선체와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며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춰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9982호는 거주구를 선박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거주구의 하부에 연료유 탱크를 배치하는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 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은 항해시 선교 시야가 향상되고, 동일한 크기의 선박보다 컨테이너를 갑판 상부에 많이 적재할 수 있으며, 연료유 탱크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관실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의 영향이 감소하여 기관실 구역에 인접하는 거주구를 가지는 선박에 비해 안락한 선실을 유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5306호는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하여 선실 거주구와 연료탱크를 서로 다른 구획에 배치하여 선실 거주구 하부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선실 거주구 하부 컨테이너 적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적재 방법은 컨테이너선의 최적설계를 위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면서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총 개수의 감소는 최소화할 수 있다.
거주구 하부 공간은 일반적으로 연료유 저장 공간 또는 기타 기기류를 배치하나, 거주구 주변과 더불어 여유공간이 상존하여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998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53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주구를 양 측면에 배치하여 선박에 적재하는 화물 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레인에 의하여 이동되는 거주구를 배치하여 거주구의 하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 설계 요건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거주구를 제공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벽들 및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부에 배치되어 크레인에 의해 이동되는 거주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주구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부에서 리프팅(Lifting)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상기 거주구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단에 상기 거주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주구의 하단에서 상기 선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단에서 상기 고정 돌기가 맞물리는 제1 삽입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는 상기 거주구가 안착되는 상부에 상기 고정 돌기가 맞물리는 제2 삽입 홈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주구는 상단에서 외부 크레인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거주구를 양 측면에 배치하여 선박에 적재하는 화물 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크레인에 의하여 이동되는 거주구를 배치하여 거주구의 하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 설계 요건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거주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거주구의 상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체(110), 복수의 측벽들(120), 거주구(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해수로부터 부유되는 선박의 몸통으로, 외벽은 이중 격벽으로 형성된다. 선체(110)는 컨테이너 선적을 위하여 부두에 설치된 화물 크레인을 통해 그 내부에 복수의 화물들이 적재되는 복수의 화물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복수의 화물들이 화물창뿐만 아니라 최상 갑판(즉, Upper deck) 상단에도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는 해치 및 해치 커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치는 복수의 화물들을 화물창에 선적하기 위하여 최상 갑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해당한다. 해치 커버(111)는 해치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선체(110)의 상부 양 측면에는 선체(1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측벽들(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의 상단부의 폭은 복수의 측벽들(120)의 폭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10)는 상부에 제2 삽입 홈(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홈(112)은 대형 크레인(예를 들어, 골리앗 크레인, 10)에 의해 리프팅(Lifting)되는 거주구(120)의 하단 일부 또는 거주구(130)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돌기(141)가 삽입되어 화물이 선체(110) 내부의 화물창에 적재되는 동안 거주구(120)가 선체(110)의 상부에서 안전하게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선체(1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측벽들(120)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화물창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 상단에 배치되는 거주구(130)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은 선박의 설계 요건에 따라 형성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20)의 내부는 횡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고 복수의 층을 이루며,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130)는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측벽들(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거주구(120)는 복수의 격벽을 통해 복수의 층을 이루며,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130)는 구조물의 최상층에 조타실(Wheel House)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주구(130)는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131)는 거주구(130)를 리프팅하기 위하여 대형 크레인(1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관통 연결하는 링 형상의 고리로, 거주구(13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고정부(140)는 고정 돌기(141) 및 제1 삽입 홈(14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40)는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거주구(130)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돌기(141) 및 복수의 측벽들(120) 각각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삽입 홈(142)를 통해 화물 적재 선박(100)에 가해지는 횡 동요(Rolling) 및 종 동요(Pitching)로부터 거주구(130)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돌기(141)는 선체(1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거주구(130)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돌기(141)는 거주구(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삽입 홈(142)는 상단에 고정 돌기(141)와 맞물리는 함몰된 홈을 포함한다. 제1 삽입 홈(142)는 복수의 측벽들(120) 각각의 상단에 배치되어 그 상단에 안착되는 거주구(130)의 고정 돌기(141)와 결합하여 거주구(1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삽입 홈(142)는 복수의 측벽들(120)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의 화물 적재 과정은 거주구(130)의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에 크레인에 연결된 복수의 훅(Hook)들을 연결시킨다(a). 연결이 완료된 거주구를 리프팅한다(b). 거주구(130)를 리프팅한 크레인을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선체(11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c). 복수의 측벽들(120) 하부에 형성된 화물창에 화물을 적재시킨다(d). 화물창의 해치 커버를 폐쇄한 후 그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다(e). 거주구(130)를 리프팅하여 복수의 측벽들(120) 상부에 안착시킨다(f).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대형 크레인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선체 111: 해치 커버
112: 제2 삽입 홈
120: 복수의 측벽들
130: 거주구 131: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
140: 고정부 141: 고정 돌기
142: 제1 삽입 홈

Claims (6)

  1.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벽들; 및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크레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부에서 리프팅(Lifting)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거주구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과 상기 거주구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단에 상기 거주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주구의 하단에서 상기 선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 상단에서 상기 고정 돌기가 맞물리는 제1 삽입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상기 거주구가 안착되는 상부에 상기 고정 돌기가 맞물리는 제2 삽입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는
    상단에서 외부 크레인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KR1020140060715A 2014-05-21 2014-05-21 화물 적재 선박 KR10161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715A KR101610179B1 (ko) 2014-05-21 2014-05-21 화물 적재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715A KR101610179B1 (ko) 2014-05-21 2014-05-21 화물 적재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992A KR20150133992A (ko) 2015-12-01
KR101610179B1 true KR101610179B1 (ko) 2016-04-07

Family

ID=5488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715A KR101610179B1 (ko) 2014-05-21 2014-05-21 화물 적재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1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95B1 (ko) 2011-11-11 2013-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KR101282350B1 (ko) * 2011-09-2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350B1 (ko) * 2011-09-2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KR101267995B1 (ko) 2011-11-11 2013-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992A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6853B2 (ja) 船舶
KR100664915B1 (ko) 화물선
KR101610179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01151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60147870A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93366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WO2014013584A1 (ja) 船舶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JP6992942B2 (ja) ばら積み貨物船
KR101600773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67572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89657B1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KR101668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909518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09659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US20110030603A1 (en) Reconfigurable ocean-going vessel
KR20150133102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20170053267A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64258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44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20002214A (ko) 액화연료탱크를 갖는 컨테이너선
KR20150133104A (ko) 화물 적재 선박
KR20220170027A (ko) 기둥형 화물 적재용 격자식 복도 갑판 선박
KR20150114740A (ko) 화물 적재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