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511A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511A
KR20150011511A KR1020130086510A KR20130086510A KR20150011511A KR 20150011511 A KR20150011511 A KR 20150011511A KR 1020130086510 A KR1020130086510 A KR 1020130086510A KR 20130086510 A KR20130086510 A KR 20130086510A KR 20150011511 A KR20150011511 A KR 20150011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engine casing
spac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아
송유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511A/ko
Publication of KR2015001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palletis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적재공간을 넓힌 컨테이너선은 엔진케이싱 측면 및 상부 공간을 컨테이너 적재 공간을 형성하여 적재물의 적재량을 늘릴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케이싱과 선실의 거주구가 분리된 대형 컨테이너선의 엔진케이싱의 상부 및 측면공간에 래싱브릿지(Lashing bridge)를 설치하여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적재 공간이 넓혀진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엔진케이싱 측면 및 상부 공간에 컨테이너 적재 공간을 형성하여 적재물의 적재량을 늘릴 수 있게 한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내부에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케이싱과 선실의 거주구가 분리된 대형 컨테이너선의 엔진케이싱의 상부 및 측면공간에 래싱브릿지(Lashing bridge)를 설치하여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그 용도에 따라 여객선, 화물선, 어선, 군함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고, 이러한 선박 중 화물선에는 특히,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선이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선과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컨테이너 적재부를 20/40피트 컨테이너 적재부와 45피트 이상 컨테이너 적재부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기 45피트 이상 컨테이너 적재부는 거주구의 길이를 길이방향으로 축소하고 연료유탱크 후방 화물창의 해치 커버를 확장하여 상기 해치 커버 상부에 45피트 이상 규격의 컨테이너를 다이렉트 로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20피트와 4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와 함께 45피트 규격의 컨테이너도 해치 커버상에 직접 적재하여 선박 운항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화물운송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선박의 정비용 플랫폼 및 종재를 배고(背高) 컨테이너 기준으로 배치함으로써 플랫폼과 컨테이너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선박 현측 보강재의 공간을 넓게 배치함으로써 부재개수를 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며, 특허문헌 3은 컨테이너선의 상부 바닥을 형성하는 상부 갑판(upper deck), 상부 갑판의 아래에 마련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홀드(hold), 홀드를 개폐하는 해치 커버(hatch cover) 및 래싱로드에 의해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래싱 브릿지(lashing bridge)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컨테이너선 중 대형 컨테이너 선박은 거주구를 포함한 갑판실(Deck House)이 선수부에 구비되어 있고, 엔진케이싱이 선미에 구비되어 있는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판상에 2개의 구조물이 각각 분리되어 위치하는 트윈 아일랜드(Twin Island)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컨테이너선은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의 엔진케이싱(100)과 전방의 거주구(200) 사이 및 이들의 전후방에만 컨테이너(300)가 적재된다.
이에 따라 이들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상대적으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26782호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42859호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804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엔진케이싱 측면 및 상부 공간에 컨테이너 적재 공간을 형성하여 적재물의 적재량을 늘릴 수 있게 한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내부에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케이싱과 선실의 거주구가 분리된 대형 컨테이너선의 엔진케이싱의 상부 및 측면공간에 래싱브릿지(Lashing bridge)를 설치하여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은 전방에는 거주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엔진케이싱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또는 엔진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 래싱브릿지(lashing bridge)를 설치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여 적재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에 구비된 상기 래싱브릿지는 선박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수직 지지대를 2열로 배열하고, 수직지지대열 사이에 수평으로 보도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은 엔진케이싱 또는 주거구의 외부에 래싱브릿지(Lashing bridge)를 설치하여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힘으로써 기존의 선형과 동일한 선형을 갖는 컨테이너 선박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양을 늘릴 수 있어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에 구비된 래싱브릿지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적재되는 적재량을 늘릴 수 있도록 최적의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케이싱(100), 또는 거주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에 컨테이너를 고박하기 위한 래싱브릿지(lashing bridge)(10)를 설치하여 이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적재 공간은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의 측면이나 상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활용한 것으로서,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하거나 둘 모두에 설치할 수 있으나, 도 1에는 엔진케이싱(100)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고 이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을 가로질러 앤진케이싱(100) 양측에 가로 방향으로(선박의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선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 래싱브릿지(10)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엔진케이싱(100)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래싱브릿지(10)의 하부는 길이가 짧고 상부를 길이가 길게 설치될 수 있다.(미도시)
상기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는 통상의 컨테이너선에 구비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특히, 초 대형 컨테이너선에서, 조타실의 시정을 확보를 위해 거주구(200)는 선수에 설치하고 엔진케이싱(100)은 선미 측에 설치한 것이며, 이렇게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를 분리하여 설치함에 따라 이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이중으로 소모되어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양이 적어질 수 있고,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의 외부에 적재 공간을 확보한 것이다.
즉,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의 측벽과 상부에 래싱브릿지(10)를 설치하야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박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을 넓힌 컨테이너 선박은 상기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의 측벽과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그 크기와 무계에 재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의 측벽과 상부 특히, 상부에 고하중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경우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의 천정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엔진케이싱(100)과 거주구(200)의 측벽과 상부에 형성되는 적재 공간에는 20피트 이사의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싱브릿지(10)는 적재된 컨테이너가 움직이지 않게 고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컨테이어들 사이에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도 함으로써 아래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래싱브릿지(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ㅌ, 다수의 수직 지지대(11)를 2열로 배열하고, 수직지지대열 사이에 수평으로 보도판(12)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수직 지지대(11)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되 2열로 설치하고 지지대들의 열 사이에 수평으로 길게 보도판(12)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보도판(12)을 밟고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보도판(1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작업자가 컨테이너 사이를 이동하면서 컨테이너 적재를 돕거나 적재된 컨테이너의 적재 상태를 점검하는 통로로서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높이에 따라 다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10: 래싱브릿지
11: 지지대
12: 보도판
100: 엔진케이싱
200: 거주구

Claims (3)

  1. 거주구(200) 후방에 엔진케이싱(100)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또는 엔진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 래싱브릿지(lashing bridge)(10)를 설치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여 적재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브릿지(10)는 선박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브릿지(10)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11)를 2열로 배열하고, 수직지지대열 사이에 수평으로 보도판(12)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20130086510A 2013-07-23 2013-07-23 컨테이너 선박 KR20150011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510A KR20150011511A (ko) 2013-07-23 2013-07-23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510A KR20150011511A (ko) 2013-07-23 2013-07-23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11A true KR20150011511A (ko) 2015-02-02

Family

ID=5248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510A KR20150011511A (ko) 2013-07-23 2013-07-23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15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371A (ko) 2015-10-01 2017-04-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컨테이너 선
KR20180085541A (ko) 2017-01-19 2018-07-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엔진 케이싱 배치구조
KR20190056686A (ko)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371A (ko) 2015-10-01 2017-04-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컨테이너 선
KR20180085541A (ko) 2017-01-19 2018-07-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엔진 케이싱 배치구조
KR20190056686A (ko)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6853B2 (ja) 船舶
KR2015001151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230058351A (ko) 컨테이너 선박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CN105644723B (zh) 集装箱船
KR102525151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JP2018030467A (ja) バラ積み船
JP2018134923A (ja) 車両運搬船
KR20120064148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SE0700778L (sv) Godscontainer
KR20140068341A (ko)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고려한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연료 탱크
KR102432768B1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KR20120002213A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KR20130090561A (ko) 적재량 증대형 컨테이너선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JP2015113115A (ja) 荷物積載船舶及び荷物積載方法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10179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KR20120134846A (ko) 연료유 탱크 바닥에 경사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선
KR20090120745A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KR20170053267A (ko) 화물 적재 선박
KR20090126782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