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45A -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45A
KR20090120745A KR1020080046696A KR20080046696A KR20090120745A KR 20090120745 A KR20090120745 A KR 20090120745A KR 1020080046696 A KR1020080046696 A KR 1020080046696A KR 20080046696 A KR20080046696 A KR 20080046696A KR 20090120745 A KR20090120745 A KR 2009012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foot
loaded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수
오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745A/ko
Publication of KR2009012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16Lashing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 구조를 40피트 컨테이너 전용 적재로만 배치시켜 선가를 줄이고 컨테이너의 적재와 하역을 효율적으로 한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컨테이너 선박의 컨테이너 배치구조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적재 공간 중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 선수부와 선미부의 앞부분에는 20피트와 40피트 컨테이너를 혼용 적재할 수 있는 구조와;
컨테이너의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에는 40피트 컨테이너 전용 적재 구조;로 이루어진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컨테이너선, 화물창, 갑판과 햇치카바, 20피트(feet), 40피트(feet), 컨테이너 적재 기준

Description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structure for arranging container of container carri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선박의 화물창 내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모든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는 1980년대 초에는 20피트 컨테이너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점차적으로 40피트 컨테이너가 증가하여 현재는 40피트 컨테이너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20피트 컨테이너는 10%~15% 이하로 줄어 들고 있다.
컨테이너선은 선수부와 선미부에서 외판의 형상이 급격히 줄어드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 화물창과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적재공간에는 보통 20피트 및 40피트 컨테이너가 혼용되어 적재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하지만 20피트짜리 컨테이너는 최근 사용빈도가 낮아 그 효용가치가 떨어 지고 있다.
그럼에도 지금 건조되는 모든 컨테이너선은 전체적으로 20피트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는 개념으로 설계하고 있어 사용 빈도가 낮은 20피트 컨테이너를 위한 설비로 인한 선가가 높아진다는 선박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시된 부분은 선박에 있어서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 컨테이너 화물창 및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에 대한 도시이다.
도 1은 종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바닥에 설치되는 패드(1), 콘(2), 가이드피팅(3), 보강용 부재 등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3은 컨테이너선 화물창에 가장 아래 적재되는 도 1의"A"부에서의 컨테이너 보강용 부재에 대한 상세도로서, 20피트 컨테이너 또는 40피트 컨테이너 적재를 위해 화물창의 바닥에 컨테이너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패드와 20피트 컨테이너만을 위한 콘(2)과 중앙부에서 컨테이너의 모서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피팅이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용 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물창 구조는 항시 20피트 컨테이너 적재시를 염두에 둔 별도의 가이드 피팅등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콘(2)에 대해 설명하면, 20피트 컨테이너의 경우 컨테이너 바닥의 각각의 꼭지점에는(물론 위쪽 꼭지점에도 있음) 주물로 만든 소켓이 있는데, 이것은 컨테이너를 바닥에 놓았을 경우 그 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닥에 볼트와 같이 솟아 오른 것을 설치하고 그것을 컨테이너 바닥의 소켓에 있는 홈에 끼워 넣게 된다. 이 바닥에 솟아 오른 것을 콘이라 한다. 하지만 40피트 컨테이너의 경우 수직의 네 변이 CELL GUIDE라는 구조로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콘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도면에서 가이드피팅이 도시된 중앙부 주변의 네모는 패드이다. 컨테이너의 바닥은 전체가 닿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아래 위의 각각의 꼭지점에는 소켓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컨테이너의 외벽보다 외부로 더 튀어 나와 있게 된다. 20피트 컨테이너의 경우 한쪽이 중간 부근에 놓이기 때문에 이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의 가이드피팅과 소켓을 지지하는 패드가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햇치카바 바닥에 설치되는 소켓(4) 등의 배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20피트 컨테이너 적재시를 위해 20피트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에 다수개의 소켓, 즉, 하나의 20피트 컨테이너에 4개의 소켓이 각각 구비되어 단위 면적당 총 8개의 소켓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20피트 컨테이너 간에 일정 간격의 공간부를 필연적으로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종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및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컨테이너 적재 배치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에 20피트 컨테이너와 40피트 컨테이너가 혼용되어 적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모든 적재 부분은 20피트 컨테이너 적재를 염두에 둔 패드, 콘, 가이드피팅 및 보강부재와 같은 설비들이 다수개 구비되고, 이웃하는 컨테이너 간에 확보된 일정거리의 공간부가 필요하여 전체적으로 선가를 높이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 구조를 40피트 컨테이너 전용 적재로만 배치시켜 선가를 줄이고 컨테이너의 적재와 하역을 효율적으로 한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의 컨테이너 배치구조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적재 공간 중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 선수부와 선미부의 앞부분에는 20피트와 40피트 컨테이너를 혼용 적재할 수 있는 구조와;
컨테이너의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에는 40피트 컨테이너 전용 적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선박에 있어서,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에 40피트 컨테이너 전용구조를 구비함으로 인해 선박 건조 비용이 절감되어 선가를 하락시킬 수 있고, 이는 선주 의 선박 발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어 세계 조선 경기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장점과,
그리고, 20피트 컨테이너와 40피트 컨테이너가 혼용 적재되어 있는 경우 보다 40피트 컨테이너 전용 적재가 이루어 지면 항만 시설을 이용한 적재 및 하역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고, 또한 선박을 운항하는 회사에서도 컨테이너 적재 계획을 세우는데 훨씬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도시된 부분은 선박에 있어서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 컨테이너 화물창 및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에 대한 도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40피트 전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바닥에 설치되는 패드(1), 보강용 부재(도 3의 하부부분에 도시된 부재) 등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3은 컨테이너선 화물창의 가장 아래 적재되는 도 2의"A"부에서의 컨테이너 보강용 부재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과 달리 20피트 컨테이너 적재를 염두에 둔 가이드피팅(guide fitting; 안내 부착물)과 콘(2)(corn), 패드(1)(pad)와 보강용 부재가 없어지게 된다. 즉, 40피트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에 패드와 보강용 부재만이 필요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40피트 전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햇치카바 바닥에 설치되는 소켓 등의 평면 배치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전술한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과 달리 20피트 컨테이너 적재를 염두에 둔 8개의 소켓(4)이 필요없고, 단지 4개의 소켓만이 필요한 간단한 구성임을 알 수 있고, 또한 이웃하는 20피트 컨테이너 간의 사이 공간이 필요치 않은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에 40피트 컨테이너 전용 적재열을 배치할 경우에 20피트 컨테이너 적재 시 필요한 갑판 상부의 스툴(stool), 그 하부 보강 부재, 스툴 연결 플랫폼(platform), 수직사다리, 소켓(socket)과 소켓 하부 보강 부재가 없어진다.
즉, 40피트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에만 소켓, 스툴 그리고 각각의 하부보강 부재만이 필요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및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 재되는 컨테이너가 40피트 전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컨테이너 적재 배치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에 40피트 컨테이너만 적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부분을 40피트 전용 적재 부분과 20피트/40피트 컨테이너 혼용 적재 부분으로 구분한 평면 배치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부분을 40피트 전용 적재 부분과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부분으로 구분한 측면 배치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 컨테이너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 부분은 종래와 같이 20피트/40피트 컨테이너가 혼용되어 적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을 제외한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 화물창 및 갑판과 해치카바 상부 부분은 40피트 컨테이너만 적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바닥에 설치되는 패드, 콘, 가이드피팅, 보강용 부재 등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40피트 전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바닥에 설치되는 패드, 보강용 부재 등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3은 컨테이너선 화물창에 가장 아래 적재되는 도 1 또는 2의"A"부에서의 컨테이너 보강용 부재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햇치카바 바닥에 설치되는 소켓 등의 배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40피트 전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햇치카바 바닥에 설치되는 소켓 등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6은 종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및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컨테이너 적재 배치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및 갑판과 햇치카바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40피트 전용 적재 시스템일 경우의 컨테이너 적재 배치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부분을 40피트 전용 적재 부분과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부분으로 구분한 평면 배치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부분을 40피트 전용 적재 부분과 20피트/40피트 혼용 적재 부분으로 구분한 측면 배치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드
(2) : 콘
(3) : 가이드 피팅
(4) : 소켓

Claims (1)

  1. 컨테이너 선박의 컨테이너 배치구조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적재 공간 중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 선수부와 선미부의 앞부분에는 20피트와 40피트 컨테이너를 혼용 적재할 수 있는 구조와;
    컨테이너의 적재 부분이 계단 구조로 되어 있지 않는 선미의 끝 부분과 중앙부에는 40피트 컨테이너 전용 적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KR1020080046696A 2008-05-20 2008-05-20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KR20090120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696A KR20090120745A (ko) 2008-05-20 2008-05-20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696A KR20090120745A (ko) 2008-05-20 2008-05-20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45A true KR20090120745A (ko) 2009-11-25

Family

ID=4160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696A KR20090120745A (ko) 2008-05-20 2008-05-20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7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4B1 (ko) * 2010-07-15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최적 배치 선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41399A (ko) * 2014-10-07 2016-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용 셀 가이드의 엔트리 가이드 배치구조 및 그 엔트리 배치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4B1 (ko) * 2010-07-15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최적 배치 선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41399A (ko) * 2014-10-07 2016-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용 셀 가이드의 엔트리 가이드 배치구조 및 그 엔트리 배치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341B1 (ko)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CN104309761A (zh) 散货船的底舱机构
EP1035998B1 (en) A transport ship
KR20090120745A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배치구조
KR102525151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1897727B1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JP2018030467A (ja) バラ積み船
KR20120064148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KR20130129642A (ko) 컨테이너선 상부 스툴의 수직웨브
KR2015001151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30090561A (ko) 적재량 증대형 컨테이너선
KR20140057774A (ko) 컨테이너선의 컴패니언 웨이 배치 구조
CN108502106A (zh)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US3836026A (en) Method of transporting ship cargo
CN105730621A (zh) 一种船用木材防护立柱
JP6378293B2 (ja) ビルジ排出促進パイプ
KR20090126782A (ko) 컨테이너 선박
EP268623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cargo in cargo vessel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CN218949397U (zh) 一种气体运输船的液货舱布局结构
CN210793508U (zh) 一种基于变角度倾斜式水平桁的两道纵舱壁船舶
KR102530035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WO2022067191A1 (en) Container hopper barge with pedestal support system
KR101358151B1 (ko) 선박 및 이를 도킹시키는 방법
KR20150007650A (ko) 컨테이너선의 측면 블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