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341B1 -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 Google Patents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341B1
KR101777341B1 KR1020160087042A KR20160087042A KR101777341B1 KR 101777341 B1 KR101777341 B1 KR 101777341B1 KR 1020160087042 A KR1020160087042 A KR 1020160087042A KR 20160087042 A KR20160087042 A KR 20160087042A KR 101777341 B1 KR101777341 B1 KR 10177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ull
box beam
inspection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트뢸스 포스보그
토비 오스틴-프레이저
Original Assignee
메르스크 라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스크 라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메르스크 라인 에이/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palletis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frozen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63B2701/10
    • B63B2701/18
    • B63B2704/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1)을 위한 선체(2). 선체(2)는 비냉동용 모드결합(intermodal) 컨테이너(19) 및 냉동용 컨테이너(21)를 넣기 위한 선창을 구비한다. 냉동용 컨테이너는 길이방향 단부 중의 하나에 냉동 유닛(refrigerated unit)(30)을 구비한다. 선체(2)는 다수의 컨테이너 베이(container bay)(12)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선창을 나누는 다수의 가로 격벽(transverse bulkhead)(16,17)을 포함한다. 상자형 빔(20)은 각각의 가로 격벽(transverse bulkhead)(16,17)과 연결되고, 각각의 상자형 빔(20)은 선체의 전체 폭을 가로지르며 선체 또는 선체(2)의 윗변 근처에서 선체의 측면(5)을 연결한다. 컨테이너 베이(12)의 폭은 하나의 모드결합(intermodal) 컨테이너(19,20)의 폭을 어느 정도 초과하는 컨테이너 열(row) 사이에서 피치(pitch) P를 가지는 다수 열의 컨테이너로 나뉜다. 상자형 빔(20)은 네 개의 측면(25,26,27,28)을 가진 중공의 장방형 단면을 가진다. 상자형 빔(20) 중에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베이(12)에 마주하는 상기 4개 측면(26,27)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피치 P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점검구(22)가 구비되며, 점검구(22)는 해당되는 점검구(22)를 통하여 냉동용 복합수송 컨테이너(21)의 냉동 유닛(30)에 접근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그 모양과 크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향상된 냉동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WITH INCREASED CAPACITY FOR REEFERS}
본 개시는 컨테이너선, 즉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shipping containers)의 보관 및 수송을 위해 구성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고밀도 냉동 컨테이너(리퍼(reefer))의 적재 용량이 증대된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은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복합 운송 컨테이너(intermodal containers))를 보관 및 수송하도록 설계 및 구성된 해상 선박(화물선)이다. 통상적으로, 컨테이너선은 트럭 크기의 복합 운송용 컨테이너로 모든 화물을 운반한다. 컨테이너선은 상업적 복합 운송 화물 수송의 일반 수단이며, 현재 대부분의 해상 운송용 비벌크 화물을 운반한다. 컨테이너선 용량은 20피트(TEU)로 측정된다. 통상적 화물로는 20피트 컨테이너도 있고 40피트 (2-TEU) ISO 표준 컨테이너도 있으나, 주로 40피트이다. 현대의 컨테이너선은 20.000 TEU 이상의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는 선체 내의 화물창(cargo hold), 즉 컨테이너선의 주 갑판의 상, 하부에 적재된다. 저장 공간은 컨테이너선의 길이 방향(종 방향)으로 다수의 컨테이너 베이(container bay)로 나뉘고, 저장 공간은 선체의 폭 방향(횡 방향)으로 다수의 열(row)로 나뉘며, 저장 공간은 높이 방향으로 단(tier)으로 지칭되는 다수의 수평 컨테이너층으로 나뉜다.
운항 중인 일부의 컨테이너선에서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는 가급적 높게 적재되어 주 갑판 위로 10단 또는 11단까지 적재된다.
냉동 컨테이너 또는 리퍼는 복합 운송용 화물 수송을 위해 사용되는 복합 운송용 컨테이너(선박 운송용 컨테이너)로, 온도에 민감한 화물의 수송을 위해 냉각된다. 리퍼는 필수적 냉동 유닛을 포함하고, 지상 기지, 컨테이너선 또는 부두의 전력 포인트들로부터의 외부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일부 리퍼는 공냉 시스템을 구비하고, 다른 리퍼는 수냉 시스템을 구비한다. 리퍼가 컨테이너선 선박의 갑판 아래에 보관되면, 수냉 시스템은 공냉 시스템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리퍼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화물 공간으로부터 제거하는데 필요한 환기 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리퍼의 냉각 시스템은 다수의 컨테이너의 종단부 중 하나에 배치되고, 반대편 종단부에는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의 액세스 도어들이 제공된다. 냉동 유닛은 통상적으로 컴프레서(compressor) 및 하나 이상의 팬(fan)을 포함하며, 또한 작동 불량으로 냉각이 필요한 컨테이너 내용물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냉동 유닛을 포함하는 리퍼의 종단부는 다양한 이유로 수송 중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 첫째로, 냉동 유닛을 전력 포인트들에 연결하기 위해 접근성이 필요하고, 수냉식 리퍼의 경우 수냉을 위한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해 접근성이 필요하다.
또한, 예컨대 컴프레서 및 팬의 유지관리 및 교체를 위해 접근성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접근성은 컨테이너가 화물 베이에 적재된 동안 선박에 승선한 전기 기술자가 냉동 유닛의 컴프레서 또는 다른 부품들을 교체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
지금까지 리퍼 컨테이너의 수는 일반 컨테이너에 비해 더 높은 증가율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리퍼 집중적(reefer intense)' 화물을 운반하는 컨테이너선의 용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리퍼는 선체 내에 또는 갑판 위에 적재될 수 있다. 그러나 갑판 위의 최고 단들은 통상적으로 냉동 컨테이너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데, 래싱 브리지 또는 리퍼 액세스 플랫폼은 선원이 갑판 위의 최고 단에 위치하는 컨테이너에 다다를 만큼 충분한 높이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선체 내의 최고 단들은 냉동 컨테이너를 위해 사용될 수 없는데, 횡격벽(transverse bulkhead)의 상단부에 박스 빔(또한 토션 빔이라고도 함)이 있어서 박스 빔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단에서 컨테이너의 종단부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제공개공보 WO0213/053427은 복합 운송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화물수송 선반, 다수의 컨테이너 구간들(container bays) 안에 종 방향으로 화물수송선반을 나누는 다수의 횡격벽, 및 수밀식 횡격벽(8)과 연관된 박스 빔(35)을 구비하며, 상기 박스 빔(35)은 횡격벽(8)과 정렬되는 적어도 일 측이 있는 중공 횡단면을 구비하는 컨테이너선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컨테이너선은 또한 개방된 격벽들(10)과 연결되는 공급 채널들(supply channels)(12)을 구비한다. 이러한 알려진 컨테이너선 안에, 단(tier) 안에 있는 냉동 컨테이너의 냉동 단위(unit)가 접근될 수 없기 때문에, 즉 실용성이 없어서, 냉동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이 박스 빔(35)/공급 채널(12)과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 단 안에 적재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컨테이너선을 위한 선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 및 여타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의하여 해결된다. 다른 구현예들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명확하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을 위한 선체가 제공되고, 선체는:
복합 운송용 비-냉동 컨테이너들 및 복합 운송용 냉동 컨테이너들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창으로, 냉동 컨테이너들은 냉동 컨테이너들의 종단부들 중 하나의 종단부에 냉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창,
화물창을 종 방향으로 복수의 컨테이너 베이들로 나누는 복수의 횡격벽들,
각각의 횡격벽에 연관되는 박스 빔을 포함하고,
각각의 박스 빔은 선체의 전체 폭에 달하고, 선체의 측면들을 선체의 상부 에지 또는 상부 에지 근방에 연결하고,
박스 빔은 횡격벽들과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중공 횡단면을 포함하고,
컨테이너 베이의 폭은 복수의 컨테이너 열들(rows)로 나눠지며,
이러한 선체는 적어도 하나의 박스 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service opening)를 구비하고, 점검구는 컨테이너 열들 중 하나와 정렬되며, 점검구는 점검구와 마주하는 복합 운송용 냉동 컨테이너의 냉동 유닛을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를 통해 접근 및 점검이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스 빔들은 점검구들을 구비함으로써 냉동 유닛이 점검구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냉동 컨테이너의 냉동 유닛으로의 접근이 허용됨에 따라, 냉동 컨테이너는 박스 빔의 높이에 위치하는 화물창의 상부 단들에 적재될 수 있는데, 승선한 전기 기술자와 같은 선원은 이러한 점검구를 통해 냉동 컨테이너를 점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선행 기술에서 컨테이너선을 위한 선체의 화물창에서 최상부 단들에 오로지 비-냉동 컨테이너만 적재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1개 또는 2개의 추가적 단들은 냉동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양태의 제1 구현예에서, 컨테이너 열들 사이의 피치(P)는 단일 복합 운송 컨테이너의 폭을 약간 초과하고, 박스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박스 빔의 컨테이너 베이와 마주하는 4개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일 열의 점검구들을 구비하고, 이러한 열에서 각각의 점검구는 컨테이너 열들 중 하나와 정렬되며, 이러한 열에서 인접한 점검구들과 피치(P)만큼 이격되며, 점검구들은 점검구와 마주하는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의 냉동 유닛을 관련된 점검구를 통해 접근 및 점검이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양태의 제2 구현예에서, 점검구들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개구부들이다.
제1 양태의 제3 구현예에서, 둥근 모서리들은 200mm 이상의 반경을 가진다.
제1 양태의 제4 구현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원주 보강 림(rim)은 점검구의 윤곽부에 용접된다.
제1 양태의 제5 구현예에서, 점검구의 폭은 적어도 150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750mm,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90mm이다.
제1 양태의 제6 구현예에서, 점검구의 높이는 적어도 40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75mm이다.
제1 양태의 제7 구현예에서, 박스 빔의 4개의 측면은 강판으로 형성되고, 일 열의 점검구들을 포함하는 측면의 판 두께는 점검구를 포함하지 않은 박스 빔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측면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강판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양태의 제8 구현예에서, 선체는 냉동 유닛의 수냉 하우징으로의 연결을 위해 점검구의 근방에서 연결 포인트들을 구비하고, 및/또는 선체는 냉동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점검구의 근방에서 전력 포인트들을 구비한다.
제1 양태의 제9 구현예에서, 박스 빔은 박스 빔의 상부 측면에서 접근 개구부를 구비하고, 접근 개구부로부터 박스 빔의 하부 측면까지 이어지는 박스 빔에서 계단을 구비한다.
제1 양태의 제10 구현예에서, 컨테이너 베이들과 마주하는 박스 빔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들 사이의 거리는 냉동 컨테이너의 냉동 유닛의 컴프레서를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제1 양태의 제11 구현예에서, 박스 빔은 격벽의 상부 영역을 형성한다.
제1 양태의 제12 구현예에서, 피치(P)는 2438mm 이상이다. 피치는 2438mm의 폭을 갖는 복합 운송 컨테이너의 폭보다 약간 더 클 수 있거나, 피치는 복합 운송 컨테이너의 폭의 배수일 수 있다. 목적은 컨테이너 베이에서 점검구들을 컨테이너들의 열들과 정렬시키는 것이다.
제1 양태의 제13 구현예에서, 피치(P)는 하나의 열에서 모든 점검구를 위해 등거리이다.
제1 양태의 제14 구현예에서, 박스 빔의 종 단부들에 가장 근접한 점검구들의 높이는 다른 점검구들의 높이보다 낮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임의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 구현예에 따른 선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 및 여타 양태는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세부적인 부분에 대하여,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선체의 입면도로서, 상부 구조물들을 함께 도시한다.
도 4는 수밀식 격벽과 개방 격벽 사이에서 컨테이너 베이를 도시하는 도 3의 선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격벽 및 박스 빔에 대해 상대적인 컨테이너들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 4의 개방 격벽의 입면도이다.
도 6은 박스 빔과 함께 격벽의 입면도를 도시하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빔에서 일 열의 점검구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점검구의 단면도로서, 냉동 유닛을 포함하는 종단부가 점검구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냉동 컨테이너의 영역을 도시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점검구의 단면도로서, 냉동 유닛을 포함하는 종단부가 점검구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냉동 컨테이너의 영역을 도시한다.
도 11은 냉동 유닛을 포함하는 냉동 컨테이너의 종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격벽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의 선체의 측면의 종단면도로, 개방 격벽과 폐쇄 격벽 사이에 2개의 컨테이너 베이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컨테이너선(1), 즉 다수의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를 적재 및 수송하는데 적합한 선박을 각각 측면도 및 선미 도면으로 도시한다.
컨테이너선(1)은 선체(2)를 포함하고, 선체는 구상 선수(bulbous bow)(7)와 선미(8) 사이에서 컨테이너선(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선체(2)는 하나 이상의 기관실, 연료 탱크들, 및 컨테이너선(1)의 운항을 위해 필요한 다른 시설물들을 수용한다. 선체(2)의 주요 부분은 컨테이너들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고, 화물창(11)의 작은 부분이 부분도로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선(1)은 프로펠러(들)(9)의 추진 또는 운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형 내연 기관을 구비하고, 컨테이너선(1)에 탑재된 다양한 전력 및 열 소비 장치를 위해 전력 및 열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 기관(발전 설비)이 제공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러더(10)는 컨테이너선(1)의 방향 제어를 제공한다.
컨테이너선(1)은 브리지(3) 및 하나 이상의 연돌(funnel)(4)을 구비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브리지(3)의 상부 구조물은 연돌(4)의 상부 구조물과 분리되며,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컨테이너선(1) 설계는 "트윈 아일랜드(twin island)"로 불린다. 한편, 컨테이너선은 브리지 및 연돌이 단일 유닛인 소위 "싱글 아일랜드(single island)" 설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냉동 컨테이너들(21) 및 비-냉동 컨테이너들(19)은 양측 모두 선체(2) 내에서, 컨테이너선(1)의 길이에 걸쳐 분포하는 복수의 베이(12)로 주 갑판(29) 상에 적재된다. 적재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선(1)의 폭에 걸쳐 분포하는 복수의 열(15)로 배열되고, 컨테이너선(1)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단(14)으로 배열된다. 베이들(12)은 통상적으로 갑판 위에서 래싱 브리지(13)에 의해 분리되고, 갑판 아래의 화물창 내에서 횡격벽(16, 17)에 의해 분리된다. 래싱 브리지(13)는 대략적으로 4개의 단 높이만큼 연장되고, 래싱에 의해 복합 운송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는 길이, 폭 및 높이를 갖는 장방형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2)는 킬(keel)/더블 바닥 영역을 중심으로 건축된다. 선체(2)는 강판, 및 립/프레임과 유사한 보강 빔으로 이루어진 복합 조립체이며, 선체(2)의 측면들(5)을 형성하는 프레임들은 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고정된다. 주 갑판(29), 즉 선체 골조의 상면을 덮는 금속 판금 공작물/판 구조물은 박스 빔들(20)에 의해 지지되고, 박스 빔들은 프레임들(31)의 상면들에 부착되고, 박스 빔들(20)은 컨테이너선(1)의 전체 폭에 달한다. 박스 빔(20)은 선체(2)의 전반적 강도에 기여하므로, 주 갑판(29)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갑판, 프레임, 및 횡격벽을 따라 선체(2)를 보강 및 강화한다.
횡격벽들(16, 17)은 화물창을 길이 방향(종 방향)으로 복수의 컨테이너 베이(12)로 나눈다. 통상적으로, 격벽들 사이의 거리는 2개의 20피트 복합 운송 컨테이너(19, 21)에 대응하거나 1개의 40피트 복합 운송 컨테이너(19, 21)에 대응한다. 횡격벽들(16, 17)은 선체(2)의 측면들(5) 사이에서, 선체(2)의 바닥(6)으로부터 박스 빔들(20)까지 연장된다. 횡격벽들(16, 17)은 용접에 의해 측면들(5)(프레임들(31)), 선체(2)의 바닥(6) 및 박스 빔(20)에 연결된다. 각각의 횡격벽(16, 17)은 박스 빔(20)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박스 빔(20)은 각각의 횡격벽들(16, 17)의 일부를 형성한다. 횡격벽들(16, 17)은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16은 폐쇄 횡격벽과 연관되고, 참조 번호 17은 개방 횡격벽과 연관된다. 통상적으로, 선체(2) 내의 화물창은 길이 방향으로 컨테이너 베이들(12)로 나눠지는데, 교번적으로 개방 횡격벽들(17) 및 폐쇄 횡격벽들(16)에 의해 그러하다.
도 4 및 도 5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횡격벽들(16)은 단들(14)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높이에서 복수의 스트링거 데크(stringer deck)(18)를 구비한다. 스트링거 데크들(18)은 선원을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하며, 수직 빔들과 함께 횡격벽들(16, 17)을 위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폐쇄 횡격벽들(16)은 스트링거 데크들(18) 및 수직 빔들에 용접된 강판부에 의해 일 측에서 개방되고, 타 측에서 폐쇄된다. 선원은 스트링거 데크들(18)로부터 폐쇄 횡격벽들(16)의 개방 측에 마주하는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의 종단부에 접근하여 점검을 할 수 있다. 개방 격벽들(17)은 양 측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선원은 개방 격벽들(17)의 양측에서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의 종단부에 접근하여 점검을 할 수 있다.
횡격벽들(16, 17)의 상단부에서 박스 빔(20)은 예컨대 해상 선박의 선체 건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강판과 같은 금속 판들로 구성되는 중공 빔이나, 한편 예컨대 고급강 또는 복합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박스 빔(20)은 실질적으로 중공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박스 빔(20)은 컨테이너 베이(12)를 향하는 점검구(22)를 가지는 일 측(26, 27)이 있는 네 개의 측면(25, 26, 27, 28)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횡단면은 완전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으며, 즉 빔은 단순히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이며, 박스 빔의 하나 이상의 측면은 인접한 측면 또는 반대편 측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별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박스 빔(20)은 4개의 측면을 가지고, 각각의 측면은 강판으로 형성된다. 박스 빔(20)의 하부 수평 측면(28)은 격벽(16, 17)의 상단부에 용접된다. 박스 빔(20)의 상부 측면(25)은 실질적으로 주 갑판(29) 높이에 있다. 박스 빔(20)의 서로 반대되는 수직 측면들(26, 27) 중 적어도 하나는 컨테이너 베이(12)와 마주하고, 이러한 측면(26, 27)은 선원이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21)의 종단부의 냉동 유닛(30)에 접근하여 점검을 할 수 있게 하는 점검구(22)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박스 빔(20)의 내부는 선원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고, 통상적으로 이 위치에는 상부 측면(25)/주 갑판(29)으로부터 박스 빔(20) 안으로 접근을 허용하는 계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빔(20)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22)를 구비한다. 점검구(22)는 박스 빔(20)의 관련 측면(26, 27)이 마주하는 컨테이너 베이(12)에서 복합 운송 컨테이너(19, 21)의 단(14) 및 열(15)과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박스 빔(20)은 복수의 점검구(22)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점검구(22)는 복합 운송 컨테이너의 열(15) 및 단(14)과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박스 빔(20)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22)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박스 빔(20)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22)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박스 빔(20)은 일 열의 점검구(22)를 구비하고, 각각의 점검구는 열(15) 및 단(14)과 정렬되어 점검구들 사이의 피치(P)는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의 열들(15) 사이의 피치(P)와 동일할 것이다.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은 폭이 2438mm이고, 열들(15) 사이의 피치(P) 및 점검구들(22) 사이의 피치(P)는 적어도 2438mm이다.
박스 빔(20)은 컨테이너 베이(12)와 마주하는 측면 표면들(26, 27) 중 하나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구(22)를 구비할 수 있거나, 컨테이너 베이(12)와 마주하는 모든 측면 표면들(26, 27)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구(22)를 구비할 수 있다.
점검구(22) 또는 일 열의 점검구들(22)을 포함하는 박스 빔(20)의 측면(26, 27)의 판 두께는 점검구(22)를 포함하지 않은 박스 빔(20)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측면(26, 27)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강판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베이들(12)과 마주하는 박스 빔(20)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들(26, 27) 사이의 거리는 냉동 유닛(30)의 컴프레서를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일 실시예에서, 대부분 또는 모든 점검구들(22)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진다. 그러나 특히 선체(2)의 측면(5)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점검구들(22)은 구성적 (강도) 이유로 더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6은 등거리로 이격된 일 열의 점검구들(22)을 포함하는 박스 빔(20)을 도시한다. 각각의 점검구(22)는 열(15)로 정렬된다. 더 중앙에 배치되는 점검구들(22)의 높이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점검구들(22)의 높이보다 현저히 더 높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열에서 점검구들(22)의 폭(B)은 전체 점검구들(22)에 대해 동일하다.
예컨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베이(12)에 대해 상대적으로 (또는 바닥(6)에 대해 상대적으로) 점검구(22)가 배치되는 높이는 관련 점검구(22)가 아마도 단(14)과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선택된다.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의 서로 다른 2개의 높이가 존재하므로(일반 복합 운송 컨테이너를 위해 2591mm, 높은 입방체 복합 운송 컨테이너를 위해 2896mm), 선체(2)의 구성 중에, 그리고 적재 중에, 점검구들(22)의 위치(높이)가 단(14)의 높이에 부합하도록 보장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도 7 및 도 8은 점검구(2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되, 특히 점검구(22)의 윤곽부의 형상을 도시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21)의 위치가 어떻게 점검구(22)의 위치와 정렬되는지를 도시한다. 점검구(22)는 실질적으로 단(14)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베이(12)의 바닥(6) 위의 높이에 배치되어,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21)는 냉동 유닛(30)이 박스 빔(20)의 점검구(22)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도시된 점검구(22)는 높이(H) 및 폭(B)을 갖는 직사각형 윤곽을 가진다. 그러나 점검구가 직사각형인 것은 요건이 아니며, 점검구(22)의 윤곽은 예컨대 계란형 또는 타원형 또는 삼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점검구(22)는 냉동 유닛(30)의 점검 가능한 장비의 각 부품에 접근이 가능할 만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작은 개구부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점검구들(22)은 구조적 해치(미도시), 즉 점검구와 구조적으로 체결되어 박스 빔(20)을 보강함으로써 점검구(22)의 제공에 따라 박스 빔(20)에서 야기되는 약화를 보상하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횡격벽들(16, 17) 또는 박스 빔(20)에 더 많은 수의 단부 지지부 및 또는 수직 지지부가 구비되어, 구조를 보강하고, 박스 빔에서 점검구(22)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약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주 갑판은 동일한 거리로 박스 빔 안으로 연장되어, 구조를 보강하여 박스 빔에서 점검구(22)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약화를 보상할 수 있다.
점검구(22)의 윤곽부의 모서리들은 반경(R)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러한 모서리로부터 이어지는 금속 판부 균열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경(R)은 적어도 200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점검구들(22)의 폭은 적어도 150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750mm,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90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점검구들(22)의 높이는 적어도 40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0mm,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75mm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점검구(2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되, 단 이러한 실시예에서 점검구(22)의 에지(내측)는 원주 플랜지(24)에 의해 보강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원주 플랜지(24)는 점검구(22)의 내측에 용접된 강판, 즉 박스 빔(20)의 판(26, 27)에 용접된 강판이다. 원주 플랜지(24)는 점검구(22)를 보강하고, 점검구(22)의 모서리에서 반경(R)을 200mm 미만으로 허용한다.
점검구(22)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냉동 유닛(30)의 모든 점검 가능한 구성 요소에 적절하게 접근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냉동 유닛(30)은 컴프레서, 팬들(33) 및 컨트롤러들, 디스플레이들, 신축 밸브들, 데이터 로거(data logger) 및 다른 부품들을 포함한다. 도 11은 일 예의 냉동 유닛(30)의 점검 가능한 구성 요소들 중 일부를 도시한다. 점검 가능한 구성 요소는 예컨대 팬들(33) 및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컴프레서의 윤곽은 도 1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직사각형(34)으로 도시되어 있다. 해치 영역(35)은 선체의 수냉 시스템의 하우징을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2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포인트들의 통상적 위치를 도시한다. 점검구(22)는 컴프레서가 점검 받을 수 있는 한편, 제거 및 교체 가능하도록 충분히 크고 정확하게 위치해야 한다.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32)은 점검구(22)의 윤곽을 나타내고, 이러한 점검구는 냉동 유닛(30)의 구성 요소의 점검 및 접근을 위해 적합한 크기 및 형상 그리고 적합한 정렬을 포함한다.
도 13은 컨테이너 베이들(12)에 적재된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과 함께 3개의 횡격벽들(16, 17) 사이에서 2개의 컨테이너 베이들(12)을 도시한다. 중앙 횡격벽(17)은 개방 격벽이고, 바깥쪽의 2개의 횡격벽(16)은 폐쇄 격벽들이다. 도 13에서 복합 운송 컨테이너(19, 21)의 6개의 단은 컨테이너 베이들(12)에서 적재된다. 각 단의 높이는, 낮은 단의 경우 스트링거 데크(18)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며, 최상위 단의 경우 점검구들(22)의 높이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20피트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은 도 13의 좌측에서 컨테이너 베이(12) 내에 적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40피트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은 도 13의 우측에서 컨테이너 베이(12)에 적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베이들(12) 중 하나는 20피트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 또는 40 피트 복합 운송 컨테이너들(19, 21)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는 단순히 적재 중에 선택의 문제이다. 도 13은 또한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들(21)을 컨테이너 선박(1)의 전기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들(X)을 도시하고, 컨테이너선(1)이 수냉 시스템을 구비하고 복합 운송 선박 운송용 냉동 컨테이너(21)가 수냉을 위해 적합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X)은 선박의 수냉 시스템의 하우징을 예시한다. 액세스 포인트들(X)은 점검구들(22)의 근방에 배치되어, 관련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들(21)이 선원에 의해 선박의 전력망 및/또는 선박의 수냉 시스템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도 13은 각각의 박스 빔(20)의 각 측면(26, 27)에서 점검구들(22)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는 설계 선택의 문제이며 선체(2)의 오로지 하나의 박스 빔(22)이 하나 이상의 점검구(22)를 구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점검구들(22)을 포함하는 박스 빔들(20)의 수, 점검구들(22)을 구비한 박스 빔들(20)의 측면들(26, 27)의 수, 및 측면(26, 27)에서 점검구들(22)의 수는 박스 빔들(20)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단 또는 단들(14)에서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들(21)을 적재할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수 개의 단들(14)을 덮는 높이를 갖는 대형 박스 빔(20)의 경우, 점검구들(22)은 복수의 단들(14)에 대응하는 복수의 높이로 박스 빔(2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박스 빔(20)에 점검구들(22)이 제공됨으로써, 냉동 복합 운송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21)는 박스 빔들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단들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단 그러한 복합 운송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21)가 냉동 유닛(30)을 포함하는 종방향 단부에서 박스 빔(20)의 점검구(22)에 마주할 때 그러하다. 점검구들(22)이 제공됨에 따라, 적재 가능한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들(21)의 수는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청구된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면, 본 개시 및 첨부 청구항의 교시로부터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예들도 명확하고 유효할 것이다. 청구항에서, "포함하다"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부정 관사("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특정 수치가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서 인용되었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점을 얻기 위해 이러한 수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청구항에 사용된 참조 기호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1 : 컨테이너선 2 : 선체
3 : 브릿지 4 : 연돌
5 : 선체의 측면 7 : 구상 선수
12 : 컨테이너 베이 13 : 래싱 브릿지
16, 17 : 횡격벽 18 : 스트링거 데크
19, 21 : 복합 운송 컨테이너 22 : 점검구
24 : 원주 플랜지 29 : 주 갑판
30 : 냉동 유닛 31 : 프레임

Claims (22)

  1. 컨테이너선(1)을 위한 선체(2)로서, 상기 선체(2)는,
    복합 운송용 비-냉동 컨테이너들(19) 및 복합 운송용 냉동 컨테이너들(21)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창으로, 상기 냉동 컨테이너들(21)은 냉동 컨테이너들의 종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종단부에 냉동 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인, 화물창,
    상기 화물창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컨테이너 베이(12)로 나누는 복수의 횡격벽(16, 17),
    각각의 상기 횡격벽(16, 17)에 연관되는 박스 빔(20)을 포함하고,
    각각의 박스 빔(20)은 선체(2)의 전체 폭에 달하고, 선체의 측면들(5)을 선체(2)의 상부 에지 또는 상부 에지 근방에 연결하고,
    상기 박스 빔(20)은 횡격벽들(16, 17)과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26, 27)에 중공 횡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베이(12)의 폭은 복수의 컨테이너 열(rows)(15)로 나눠지며,
    적어도 하나의 박스 빔(20)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26, 27)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22)를 구비하고, 상기 점검구(22)는 상기 컨테이너 열들(15) 중 하나와 정렬되며, 상기 점검구(22)는 점검구(22)와 마주하는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21)의 냉동 유닛(30)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점검구(22)를 통해 접근 및 점검이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열들(15) 사이의 피치(P)는 단일 복합 운송 컨테이너(19, 21)의 폭을 초과하고, 적어도 하나의 박스 빔(20)의 컨테이너 베이(12)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26, 27)은 일 열의 점검구들(22)을 구비하고, 이러한 열에서 각각의 점검구(22)는 상기 컨테이너 열들(15) 중 하나와 정렬되며, 상기 열에서 인접한 점검구들(22) 사이에서 상기 피치(P)만큼 이격되고, 상기 점검구(22)는 점검구(22)와 마주하는 복합 운송 냉동 컨테이너(21)의 냉동 유닛(30)을 관련된 점검구(22)를 통해 접근 및 점검이 가능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인, 선체(2).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점검구(22)는 둥근 모서리들을 갖는 직사각형 개구부인 것인, 선체(2).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둥근 모서리들의 반경(R)은 200mm 이상인 것인, 선체(2).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보강 림(24)이 상기 점검구(22)의 윤곽부에 용접되는 것인, 선체(2).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림(24)은 원주형(circumferential)인 것인, 선체(2).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22)의 폭은 적어도 1500mm인 것인, 선체(2).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22)의 폭은 적어도 1750mm인 것인, 선체(2).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22)의 폭은 적어도 1890mm인 것인, 선체(2).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22)의 높이는 적어도 400mm인 것인, 선체(2).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22)의 높이는 적어도 1200mm인 것인, 선체(2).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22)의 높이는 적어도 2075mm인 것인, 선체(2).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박스 빔(20)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들(26, 27)은 일 열의 점검구들(22)을 구비하고, 박스 빔(20)의 4개의 상기 측면들(25, 26, 27, 28)은 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열의 점검구들(22)을 포함하는 측면의 판 두께는 상기 점검구들(22)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박스 빔(20)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측면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인, 선체(2).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체(2)는 상기 냉동 유닛(30)의 수냉 하우징으로의 연결을 위해 점검구(22)의 근방에 구비되는 연결 포인트들(X), 또는 상기 선체(2)는 냉동 유닛(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점검구(22)의 근방에 구비되는 전력 포인트들(X)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선체(2).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컨테이너 베이들(12)과 마주하는 박스 빔(20)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들(26, 27) 사이의 거리는 상기 냉동 컨테이너(21)의 냉동 유닛(30)의 컴프레서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것인, 선체(2).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스 빔(20)은 컨테이너 베이(12)와 마주하는 상기 점검구(22)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의 측면(26, 27)과 함께 4개의 상기 측면들(25, 26, 27, 28)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중공 횡단면을 포함하는 것인, 선체(2).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스 빔(20)은 상기 박스 빔(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접근구(access opening)와 상기 접근구로부터 상기 박스 빔(20)의 하측까지 이어지는 계단이 구비되는, 선체(2).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스 빔 (20)이 횡 격벽들(16, 17)의 상부를 형성하는, 선체(2).
  1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치(P)가 2438mm 이상인, 선체(2).
  2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치(P)가 하나의 열 안에 있는 모든 점검구(22)와 동일 거리에 있는, 선체(2).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스 빔(20)의 종단부들에 가장 가까운 점검구(22)의 높이가 다른 점검구(22)의 높이보다 낮은, 선체(2).
  2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선체(2)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1).
KR1020160087042A 2016-06-21 2016-07-08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KR101777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670447 2016-06-21
DKPA201670447A DK178972B1 (en) 2016-06-21 2016-06-21 Container ship with increased capacity for reef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341B1 true KR101777341B1 (ko) 2017-09-26

Family

ID=5716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042A KR101777341B1 (ko) 2016-06-21 2016-07-08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70598B1 (ko)
KR (1) KR101777341B1 (ko)
CN (1) CN106043595B (ko)
DK (1) DK178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686A (ko) *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KR20230140738A (ko) 2022-03-30 2023-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9427B1 (en) * 2016-11-29 2018-06-18 Maersk Line As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CN108045508A (zh) * 2017-12-15 2018-05-18 广新海事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冷藏运输船
CN111098983A (zh) * 2019-12-20 2020-05-05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超大型集装箱船的轻量化绑扎桥结构
CN112550610B (zh) * 2020-12-02 2022-02-2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舱内装载冷藏箱的集装箱船及其横舱壁水平桁布置结构
CN113978605A (zh) * 2021-12-01 2022-01-28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适用于冷藏集装箱船的组合式舱壁平台结构
CN115042950B (zh) * 2022-06-30 2023-08-2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集装箱船用通风控制方法及集装箱船用通风系统
CN115435239B (zh) * 2022-09-29 2024-02-1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液舱中部检修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4985A1 (en) 1989-06-08 1990-12-13 Jens Julius Kappel A container ship
KR200442859Y1 (ko) 2007-06-14 2008-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의 배치 구조
WO2013053437A1 (de) 2011-10-10 2013-04-18 Ipp Ingenieur Partner Pool Gmbh Schiff mit stauvorrichtung für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06Y2 (ja) * 1977-04-23 1983-01-10 日本鋼管株式会社 冷凍コンテナ船用可動枠
FR2561199B1 (fr) * 1984-03-16 1986-09-26 Nord Mediterranee Chantiers Procede et dispositifs pour arrimer des conteneurs sur les panneaux de cale d'un navire et navires porte-conteneurs
DE3517862A1 (de) * 1985-05-17 1986-11-20 Blohm + Voss Ag, 2000 Hamburg Katamaran-wasserfahrzeug
DE4220868C1 (de) * 1992-06-25 1993-12-16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Wetterschutzabdeckung für Containerschiffe, insbesondere lukendeckellose Containerschiffe
PL195411B1 (pl) * 1997-12-03 2007-09-28 Ima Internat Maritime Advisers Transportowiec
FI20021952A (fi) * 2002-11-01 2004-05-02 Koja Tekniikka Oy Konttilaivan ruuman jäähdytysjärjestelmä
KR20130010222A (ko) * 2011-07-18 2013-01-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셀 가이드 지지용 부재가 일부분 없는 횡격벽을 갖는 컨테이너선
US8955448B1 (en) * 2012-03-06 2015-02-17 Minyan Marine LLC Method and vessel for shipping hazardous chemic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4985A1 (en) 1989-06-08 1990-12-13 Jens Julius Kappel A container ship
KR200442859Y1 (ko) 2007-06-14 2008-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의 배치 구조
WO2013053437A1 (de) 2011-10-10 2013-04-18 Ipp Ingenieur Partner Pool Gmbh Schiff mit stauvorrichtung für contain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686A (ko) *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KR102011862B1 (ko) 2017-11-17 2019-08-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KR20230140738A (ko) 2022-03-30 2023-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26404A (ja) 2017-12-28
JP6170598B1 (ja) 2017-07-26
DK201670447A1 (en) 2017-07-17
CN106043595A (zh) 2016-10-26
CN106043595B (zh) 2018-09-11
DK178972B1 (en)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341B1 (ko)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JP5646853B2 (ja) 船舶
WO2009109188A2 (en) A ship
PL195411B1 (pl) Transportowiec
US4890565A (en) Apparatus for securing on-deck containers
KR20180126804A (ko) 선박
FI63710B (fi) Kylcontainerfartyg med kylanlaeggning
KR101267995B1 (ko)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WO2013110274A1 (en) A ship
KR102530019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WO2018099906A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DK179427B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WO2014044842A1 (en) A ship configured for transportation of cargo under and at a lower level than the superstructure
US3489119A (en) Ship cargo compartment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KR20220137489A (ko) 컨테이너 운반선
KR20220137490A (ko) 컨테이너 운반선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220137492A (ko) 컨테이너 운반선
KR20120002214A (ko) 액화연료탱크를 갖는 컨테이너선
JP2024511838A (ja) コンテナ運搬船
KR20240002144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JPH09301266A (ja) ばら積貨物船の船体構造
KR102166802B1 (ko) 탱커 건조 방법
JP2024509320A (ja) コンテナ積載補助装置、これを備えたコンテナ運搬船及びコンテナ荷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