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862B1 - 컨테이너선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862B1
KR102011862B1 KR1020170153891A KR20170153891A KR102011862B1 KR 102011862 B1 KR102011862 B1 KR 102011862B1 KR 1020170153891 A KR1020170153891 A KR 1020170153891A KR 20170153891 A KR20170153891 A KR 20170153891A KR 102011862 B1 KR102011862 B1 KR 10201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s
mast
hull
container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686A (ko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8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컨테이너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은, 선수부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 선수부와 선미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스트 등; 및 선체의 좌현 및 우현 중 적어도 하나에 선수부터 선미까지 마련되어 선체의 길이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길이와 항해 방향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미연에 해상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은, 화물이 담긴 컨테이너를 화물창, 더 나아가서는, 화물창과 갑판에 적재하여 수송하는 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화물 하역시간을 단축하여 수송효율을 높이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배이다.
컨테이너선의 선체는 선수(bow), 선미(stern), 기관실(engine room), 선실(accommodation) 및 화물창(cargohold) 등을 포함하며, 화물창에는 컨테이너의 규격에 맞춘 칸막이가 선수(船首)와 선미(船尾)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승강장치에 의해 화물창 내로 내리거나 들어올릴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컨테이너선은 선저 및 선측에 선체의 내판과 외판을 포함하는 이중 벽체 구조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에는 밸러스트 수가 저장된다.
2000년대 후반부터 머스크와 MSC 등 글로벌 해운사들이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투입하여 컨테이너선이 대형화되고 있다. 이는 대형 선박을 통해 한 번에 더 많은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어 운임 단가를 낮출 수 있으므로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50m 이상 선박의 경우 마스트 등의 설치 기준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마스트 등(masthead light)의 설치 기준은 COLREG(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 룰에 따르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설치를 하고 있다.
1. 전방 225도를 비춰야 함.
2. 50m가 넘는 선박의 경우 2개의 마스트 등이 설치 되어야 함.
3. 선수 전방 1km의 해수면에서 바라봤을 때, 선수 마스트 등(10)과 선미 마스트 등(20)의 구별이 가능해야 함.
4. 선수 마스트 등(10)과 선미 마스트 등(20) 사이의 수평 거리는 선박 길이(LOA)의 ½이상 필요(100m 이상).
이렇게 전술한 룰에서 마스트 등의 설치 방법을 규정하는 이유는 선체 길이가 긴 선박의 경우 두 개의 마스트 등을 통해 선체의 길이와 현재 운항하는 방향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같은 시간 때에 항해중인 선박들에 대하여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에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30은 사이드 라이트이고, 40은 선미등이다.
하지만 최근 컨테이너선의 추세는 운송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조금이라도 더 많은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경쟁을 시작하고 있다. 그에 따라 20,000TEU에 육박하는 컨테이너선이 인도가 되었으며, 시장은 더 많은 컨테이너의 적재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거주구를 선수로 이동을 하고, 엔진 케이싱을 선미로 이동시켜서 기존 컨테이너선보다 더 많은 컨테이너를 적재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선수 마스트 등과 거주구의 상단에 설치된 각각의 마스트 등이 너무 가깝게 붙어버리기 때문에 다른 항해 선박에 컨테이너선의 선박의 길이와 항해방향을 파악하기 어려워 전술한 룰에 저촉이 될 뿐만 아니라 룰에서 요구하는 취지에도 어긋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11511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15. 02. 0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크 하우스가 선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선박의 길이와 항해 방향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미연에 해상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수부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 상기 선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스트 등; 및 선체의 좌현 및 우현 중 적어도 하나에 선수부터 선미까지 마련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스트 등은 상기 데크 하우스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데크하우스 마스트 등; 및 상기 데크 하우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선수 마스트 등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선수 마스트 등과 최전방 선수부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사이의 메인 데크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갑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래싱 브리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상기 선체의 좌현과 우현에 등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상기 복수의 마스트 등 보다 낮은 조도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통로에 마련될 수 있다.
삭제
20,000TEU 이상의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의 좌현 및 우현 중 적어도 하나에 선수부터 선미까지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이 마련되어 선체의 길이와 항해 방향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어 미연에 해상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50m 이상 선박의 경우 마스트 등의 설치 기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은, 선수부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100)와, 선수부와 선미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스트 등(200,300)과, 선체의 좌현 및 우현 중 적어도 하나에 선수부터 선미까지 마련되어 선체의 길이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400)과,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LNG 연료탱크(500)와, 선미에 마련되는 메인 엔진(600)을 구비한다.
데크 하우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에 마련되므로 조타실에서의 전방 가시거리(visibility) 확보를 쉽게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컨테이너를 선수 방향으로 단수를 줄이면서 쌓을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에 비해 더 많은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데크 하우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 마스트 등(300)과 최전방 선수부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사이의 메인 데크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마스트 등은 선수부와 선미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스트 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하우스(10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데크하우스 마스트 등(200)과, 데크 하우스(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선수 마스트 등(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데크하우스 마스트 등(200)과 선수 마스트 등(3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무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다른 항해 선박이 본 실시 예의 길이와 항해 방향을 파악하기 어려워 전술한 COLREG 룰에 저촉이 될 뿐만 아니라 COLREG 룰에서 요구하는 취지에도 어긋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우려를 후술하는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400)을 마련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좌현과 우현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터 선미까지 마련되어 다른 선박이 본 실시 예의 선체의 길이와 항해 방향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400)은 데크하우스 마스트 등(200) 및 선수 마스트 등(300) 보다 낮은 조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400)은 갑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래싱 브리지에 마련될 수도 있고, 통로(passage way)에 마련될 수도 있다.
LNG 연료탱크(500)와 메인 엔진(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부에 마련될 수 있고, 메인 엔진(600)은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체의 좌현 및 우현 중 적어도 하나에 선수부터 선미까지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이 마련되어 선체의 길이와 항해 방향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어 미연에 해상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컨테이너선
100 : 데크 하우스
200 : 데크하우스 마스트 등
300 : 선수 마스트 등
400 : 사이드 마스트 등
500 : LNG 연료탱크
600 : 메인 엔진

Claims (8)

  1. 선수부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
    상기 선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스트 등; 및
    선체의 좌현 및 우현 중 적어도 하나에 선수부터 선미까지 마련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스트 등은 상기 데크 하우스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데크하우스 마스트 등; 및
    상기 데크 하우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선수 마스트 등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선수 마스트 등과 최전방 선수부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사이의 메인 데크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갑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래싱 브리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상기 선체의 좌현과 우현에 등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상기 복수의 마스트 등 보다 낮은 조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스트 등은 통로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20,000TEU 이상의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8. 삭제
KR1020170153891A 2017-11-17 2017-11-17 컨테이너선 KR10201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91A KR102011862B1 (ko) 2017-11-17 2017-11-17 컨테이너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91A KR102011862B1 (ko) 2017-11-17 2017-11-17 컨테이너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86A KR20190056686A (ko) 2019-05-27
KR102011862B1 true KR102011862B1 (ko) 2019-08-19

Family

ID=6667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891A KR102011862B1 (ko) 2017-11-17 2017-11-17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8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41B1 (ko) 2016-06-21 2017-09-26 메르스크 라인 에이/에스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670A (en) * 1994-01-05 1995-05-16 Authier; Ricky J. Watercraft navigation light system
KR20150011511A (ko) 2013-07-23 2015-0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1739460B1 (ko) * 2013-11-06 2017-05-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조선을 이용한 발전 플랜트
KR20160103359A (ko) * 2015-02-24 2016-09-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상 구조물 상태 표시 장치
KR20160003657U (ko) * 2015-04-13 2016-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41B1 (ko) 2016-06-21 2017-09-26 메르스크 라인 에이/에스 향상된 냉장 용량의 컨테이너를 갖는 컨테이너 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86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594B1 (ko) 선박
EP2259962B1 (en) A ship
KR20110139349A (ko) 천연액화연료탱크를 가진 컨테이너선
CN103395477B (zh) 可组合式半潜船及组合式半潜船
CN109863080B (zh) 液化气运输船
KR102627020B1 (ko) 해수 밸러스트가 없는 운송 선박의 트림을 제어하는 방법
JP7078229B2 (ja) 燃料供給船
KR102011862B1 (ko) 컨테이너선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10193891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US6135044A (en) Transport ship
KR20100136766A (ko)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CN204310015U (zh) 集装箱船
WO2018099906A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JP2012153334A (ja) 船舶
KR20140146253A (ko) 선박 선수 구조
KR102299206B1 (ko)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KR20140140762A (ko) 선수부 썬큰 데크를 적용한 엘엔지 선박
KR20090126782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50053016A (ko) 선박
KR20160052116A (ko) 컨테이너 선박 및 그 배치 방법
CN210793508U (zh) 一种基于变角度倾斜式水平桁的两道纵舱壁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