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351A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351A
KR20230058351A KR1020230051515A KR20230051515A KR20230058351A KR 20230058351 A KR20230058351 A KR 20230058351A KR 1020230051515 A KR1020230051515 A KR 1020230051515A KR 20230051515 A KR20230051515 A KR 20230051515A KR 20230058351 A KR20230058351 A KR 2023005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house
container ship
disposed
container
fue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특진
안양모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8351A/ko
Publication of KR2023005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의 갑판실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컨테이너 적재 능력을 증대시킨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선박은 갑판실(110)이 선수(101)에 구비되고, 상기 갑판실(110)은 선수 격벽(120)의 후측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선수에 갑판실이 배치된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갑판실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컨테이너 적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컨테이너 선박(1)이 대형화됨에 따라 선체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Torsional moment)이 증가한다. 갑판실(10)을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비틀림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과도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선체의 과도한 비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선창 덮개가 선체로부터 이탈하거나, 선체가 항복 또는 피로 파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대형 컨테이너 선박(1)은 비틀림 하중에 의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체의 중앙 내지 중앙에서 선수(11)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갑판실(10, Deck house) 내지 거주구(Acoomodation)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1)의 갑판실(10)은 선미(12)에 위치하는 엔진룸(13)과 선수(11)에 위치하는 선수 격벽(20, Collision Bulkhead Collision, BHD)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갑판실(10)의 배치를 통해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을 극복하기 위한 배치를 설계할 수 있었다.
다만, 종래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1)의 경우에는 갑판실(10)이 엔진룸(13)과 선수 격벽(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갑판실(10)은 컨테이너 적재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갑판실(10)이 배치되는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갑판실(10)의 하측은 갑판실(10)에 의해 밀폐되므로, 갑판실(1)의 하측에도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다.
둘째로, 대형 컨테이너 선박(1)의 조종을 위해서는, 갑판실(10)에서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갑판실(10)의 전방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면, 컨테이너가 갑판실(10)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게 되므로,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1)의 경우 컨테이너를 갑판실(10)의 전방에 충분히 적재할 수는 없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갑판실(10)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A로 표시된 영역은 컨테이너 적재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A로 표시된 영역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2584호 (발명의 명칭: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테이너 선박(1)의 갑판실(10)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컨테이너의 적재 능력을 향상시킨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테이너 선박은,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선수에 위치하는 갑판실;을 포함하며, 상기 갑판실은 선수 격벽의 후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선미에 배치된 엔진룸과 상기 갑판실 사이에 연료유 디이프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유 디이프 탱크는 서로 이격되어 이웃하는 격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복에 연료유 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연료유 탱크는 상기 갑판실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갑판실의 하측에 횡 동요 감쇄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 의하면, 갑판실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컨테이너의 적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은 선수(101)에 갑판실(110)을 구비한다. 갑판실(110)은 선수(101)에 설치된 선수 격벽(120)의 후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후측’은 컨테이너 선박(100)의 선수(101)에서 선미(102)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갑판실(110)은 선수 격벽(120)으로부터 선미(102)를 향하는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갑판실(110)이 선수 격벽(120)의 후측에 ‘근접’하는 것은 갑판실(110)이 선수 격벽(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갑판실(101)이 선수 격벽(120)으로부터 컨테이너 선박(100)의 후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리고, 갑판실(110)이 선수 격벽(120)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갑판실(110)과 선수 격벽(120) 사이에는 컨테이너 적재부(111)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수(101)에도 컨테이너 적재부(111)가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선수(101)의 상측 영역 중에서, 갑판실(110)의 전측에는 컨테이너가 갑판실의 전측에 적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측’은 컨테이너 선박(100)의 선미(102)에서 선수(10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갑판실(110)로부터 선수(101)를 향하는 측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되지 않으므로, 갑판실(110) 내의 선원은 적재된 컨테이너에 의해 전방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종래의 갑판실(10)은 컨테이너 적재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갑판실(10)이 배치되는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갑판실(10)의 하측에는 갑판실(10)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 존재하게 되므로, 갑판실(10)의 하측 영역에도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다. 컨테이너 선박(1)의 크기가 클수록, 특히, 높이가 높을수록, 갑판실(10)의 하측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는 공간이 많아지므로, 갑판실(10)의 하측 공간을 컨테이너 적재 공간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선박(100)에 의하면, 기존의 갑판실이 위치하던 영역에 갑판실 대신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갑판실에 의해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었던 갑판실의 하측 공간에도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갑판실(110)의 배치 변경으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선박(100)은 14,000 TEU인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에 비해 약 540 TEU 이상의 적재 능력이 향상된다.
컨테이너 선박(100)은 선미(102)에 배치된 엔진룸(130)을 포함한다. 엔진룸(130)과 갑판실(110) 사이에는 연료유 디이프 탱크(140, Heavy Fuel oil Deep Tank, HFO Deep Tank)가 배치된다. 연료유 디이프 탱크(140)는 서로 이격되어 이웃하는 격벽(15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은 선체의 중앙에 배치된 갑판실에 의해 비틀림 하중에 의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었다. 다만,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선박(100)에서는 종래 갑판실이 배치되었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갑판실(110)이 배치되므로, 선체의 중앙에서 비틀림 하중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선박(100)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을 견디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비틀림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비틀림 하중이 최대로 발생되는 영역에 연료유 디이프 탱크(140)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연료유 디이프 탱크(140)의 최적 배치를 통해 컨테이너 선박(100)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100)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갑판실(110)의 하측에 횡 동요 감쇄탱크(160)를 배치함으로써, 갑판실(110)의 하측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200)의 구조는 대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의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제2 실시예의 컨테이너 선박(20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복(251, Hold)에 배치된 연료유 탱크(241, HFO Tank)를 포함하며, 연료유 탱크(241)는 갑판실(210)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연료유 탱크(241)는 종래의 갑판실의 하측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유 탱크(241)가 종래의 갑판실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면 종래의 비틀림 하중을 극복하기 위한 설계를 변경할 필요없이 갑판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갑판실(210)의 배치 변경으로 제2 실시예의 컨테이너 선박(200)은 14,000 TEU인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에 비해 약 250 TEU 이상의 적재 능력이 향상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컨테이너 선박 101 선수
102 선미 110 갑판실
111 컨테이너 적재부 120 선수 격벽
130 엔진룸 140 연료유 디이프 탱크
150 격벽 160 횡 동요 감쇄 탱크
200 컨테이너 선박 210 갑판실
241 연료유 탱크 251 선복

Claims (5)

  1.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선수에 위치하는 갑판실;
    을 포함하며,
    상기 갑판실은 선수 격벽의 후측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선미에 배치된 엔진룸과 상기 갑판실 사이에 연료유 디이프 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디이프 탱크는 서로 이격되어 이웃하는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복에 연료유 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연료유 탱크는 상기 갑판실의 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실의 하측에 횡 동요 감쇄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20230051515A 2016-07-21 2023-04-19 컨테이너 선박 KR20230058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515A KR20230058351A (ko) 2016-07-21 2023-04-19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717A KR102612424B1 (ko) 2016-07-21 2016-07-21 컨테이너 선박
KR1020230051515A KR20230058351A (ko) 2016-07-21 2023-04-19 컨테이너 선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717A Division KR102612424B1 (ko) 2016-07-21 2016-07-21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351A true KR20230058351A (ko) 2023-05-03

Family

ID=610833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717A KR102612424B1 (ko) 2016-07-21 2016-07-21 컨테이너 선박
KR1020230051515A KR20230058351A (ko) 2016-07-21 2023-04-19 컨테이너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717A KR102612424B1 (ko) 2016-07-21 2016-07-21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2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979B1 (ko) * 2018-06-08 2023-04-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2532548B1 (ko) * 2018-06-08 2023-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2549721B1 (ko) * 2018-07-17 2023-06-30 한화오션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84B1 (ko) 2006-09-08 2008-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7459C (fi) * 1993-01-27 1996-12-27 Pekka Eino Rapeli Yksikkölastilaiva
KR100507853B1 (ko) * 2002-12-17 2005-08-17 허식 자항 바지선
KR20140080854A (ko) * 2012-12-20 2014-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84B1 (ko) 2006-09-08 2008-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424B1 (ko) 2023-12-12
KR20180010506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5835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00069982A (ko)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선박
JP7193250B2 (ja) 船舶
KR102609251B1 (ko) 컨테이너 선박
WO2018100999A1 (ja) 船舶のベント管設置構造
KR20130099553A (ko) 복원성이 향상된 선박
JPH06156365A (ja) 船舶における燃料油槽
KR20220132502A (ko) 컨테이너 선박
KR102432768B1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KR102434966B1 (ko) 선박
KR20210093165A (ko) 선박
JPH11115875A (ja) 油槽船
CN114787028A (zh) 船舶
KR100827397B1 (ko) 이중저구조 연료탱크 컨테이너선
JP6174087B2 (ja) 2層甲板船のポンツーンハッチカバー格納構造
JP5201804B2 (ja) トリマラン構造船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2658220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료 저장탱크의 최적화 배치구조
JP6774087B1 (ja) 海洋浮体構造物の船体
CN110546062B (zh) 船舶
KR20170105691A (ko) 컨테이너선
KR101973041B1 (ko) 컨테이너선
KR20170108632A (ko) 선박용 밸러스트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0728401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