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854A -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854A
KR20140080854A KR1020120149310A KR20120149310A KR20140080854A KR 20140080854 A KR20140080854 A KR 20140080854A KR 1020120149310 A KR1020120149310 A KR 1020120149310A KR 20120149310 A KR20120149310 A KR 20120149310A KR 20140080854 A KR20140080854 A KR 20140080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uel
hull
disposed
cargo 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0854A/ko
Publication of KR2014008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7/00Tank or cargo hold cleaning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내부에 다수의 화물창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선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화물창의 양측 또는 중앙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STRUCTURE FOR DISPOSING FUEL TANK OF CONTAINER CARRI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선실이 기관실 상부에 위치한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상단 공간에 변압기 등 장비를 배치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운반선은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운반하는 선박이다. 컨테이너 운반선의 선체 내부에는 다수의 화물창이 구획될 수 있다. 각 화물창에는 컨테이너가 수용될 수 있다.
화물창의 하측에는 연료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연료 탱크는 구동 엔진과 같은 구동부에 연료를 제공할 수 있다.
연료 탱크가 화물창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연료 탱크에 연료가 충분히 채워지거나 연료가 소모되었을 때에 선체의 무게 중심이 크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운반선의 안정성(Stability)이 훼손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운반선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를 채울 수 있다.
컨테이어 운반선의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를 상대적으로 많이 채워야 하므로, 컨테이너 운반선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연료의 소모량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운반선은 변압기와 같은 전원 공급부가 엔진룸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운반선이 냉동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는 냉동 컨테이너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런데, 전원 공급부가 엔진룸에 배치되므로, 냉동 컨테이너의 개수가 많아 질 경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각종 전기 케이블의 길이 및 양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고, 케이블 배치 공간이 부족하여 고가의 특수 전원 공급부(Ringnet system)을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126780호(2009.12.09. 공개)에는 컨테이너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의 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선실이 기관실 상부에 위치한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상단 공간부에 변압기 등 장비를 배치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다수의 화물창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선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화물창 양측 또는 좌우방향 중앙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양측 또는 중앙부의 연료 탱크는 화물창의 양측 또는 좌우방향 중앙부에 수직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연료 탱크는 화물창의 좌우방향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화물창 중앙부 연료 탱크의 좌우측에는 화물창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측 연료 탱크 또는 중앙부 연료 탱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박의 운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운행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연료 탱크 상측에 전원 공급부를 설치하여 선박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운반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화물창의 양측에 연료 탱크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화물창의 중앙부에 연료 탱크가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운반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운반선(100)은 선체(110) 및 양측 연료 탱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해수와 접촉하는 외판과, 외판의 내측에 외판과 이격되는 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외판과 내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밸러스트 탱크(115)가 형성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15)는 선체(110)의 하측과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15)는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컨테이너(124)가 선체(110)에 선적 또는 선체(110)에서 하역되거나 또는 연료가 소모됨에 따라 선박의 무게 중심이 변경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15)에 채워지는 해수량을 조절함에 따라 선박의 무게 중심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선체(110)의 내부에는 구획벽에 의해 다수의 화물창(121)이 형성될 수 있다. 화물창(121)에는 컨테이너(124)가 선적될 수 있다.
화물창(121)의 상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해치 커버(122)가 설치될 수 있다. 해치 커버(122)는 화물창(121)에 컨테이너(124)를 선적 또는 하역할 때에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해치 커버(122)는 화물창(121)에 해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밀봉시킬 수 있다.
해치 커버(122)는 상부 갑판의 일부를 이루고, 상부 갑판에는 컨테이너(124)가 선적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10)의 내부와 갑판의 상측에 컨테이너(124)가 선적될 수 있다.
선체(110)의 선미측에는 구동 엔진(127)이 배치되도록 엔진룸(125)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엔진(127)에는 트러스터와 같은 추진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엔진룸(125)의 위치는 선체(110)의 설계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엔진룸(125)에는 선체(110)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발전기(128)가 배치될 수 있다. 발전기(128)는 선체(110)의 다양한 기계장치 및 전기전자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화물창의 양측에 연료 탱크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측 연료 탱크(130)는 하나 이상의 화물창(12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양측 연료 탱크(130)는 화물창(121)과 밸러스트 탱크(1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10)가 외력에 의해 국부적으로 파손되더라도 양측 연료 탱크(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양측 연료 탱크(130)에서 연료가 누출되어 해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양측 연료 탱크(130)는 선체(110)의 양측에 수직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측 연료 탱크(130)의 높이는 화물창(121)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양측 연료 탱크(130)가 선체(11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양측 연료 탱크(130)의 무게 중심을 상대적으로 높여줄 수 있다.
양측 연료 탱크(130)에서 연료가 소모되더라도 선체(110)의 무게 중심이 크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선체(110)의 운행 안정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양측 연료 탱크(130)의 연료 소모에 따라 선체(110)의 무게 중심이 상대적으로 작게 변하므로, 밸러스트 탱크(115)에 투입되는 밸러스트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밸러스트수의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비용이 현저히 감소되고 밸러스트수에 의한 해양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선체(11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연료의 소모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양측 연료 탱크(130)는 선체(110) 길이방향의 중심부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 연료 탱크(130)에서 연료가 소모되더라도 선체(110)의 전후방향의 균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선박의 운행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양측 연료 탱크(130)의 상측에는 변압기와 같은 전원 공급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 연료 탱크(130)의 상측 공간이 전원 공급부(133)의 설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1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3)는 엔진룸(125)의 발전기(128)와 전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3)와 밸러스트 탱크(115) 사이에는 전선 케이블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 공간(13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33)에는 다수의 분기된 전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인접한 컨테이너(124)에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케이블의 길이를 현저히 감축시킬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제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 또는 냉동 컨테이너(124)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양측 연료 탱크(130)의 상측에 전원 공급부(133)가 배치되어 화물창 양측에 컨테이너가 적재되지 않으므로, 양측 연료 탱크(130)의 상측에 해치 커버(122)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선체(110)의 갑판에 컨테이너(124)가 적재되더라도 양측 연료 탱크(130)에는 컨테이너(124)의 하중이 거의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양측 연료 탱크(130) 사이에 화물창(121)이 배치됨에 따라 화물창(121)의 폭이 좁아지므로, 화물창(121)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122)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양측 연료 탱크(130)와 전원 공급부(133) 사이에는 격리 공간부(135)가 배치될 수 있다.
격리 공간부(135)는 양측 연료 탱크(130)의 연료가 전원 공급부(133)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온도의 연료로 인한 전원 공급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화물창 중앙부에 연료 탱크가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체(110) 화물창의 중앙부에 연료 탱크(14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중앙부 연료 탱크(140)는 화물창의 좌우방향 중심부에 배치되고, 화물창 연료 탱크(140)의 좌우측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 연료 탱크(140)는 선체(110)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구획벽 연료 탱크(140)에서 연료가 소모되더라도 선체(110)의 무게 중심이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중앙부 연료 탱크(140)의 상측에는 변압기와 같은 전원 공급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 연료 탱크(140)의 상측 공간이 전원 공급부(143)의 설치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선체(11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3)는 엔진룸(125)의 발전기(128)와 전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3)와 밸러스트 탱크(115) 사이에는 전선 케이블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 공간(13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43)에는 다수의 분기된 전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인접한 컨테이너(124)에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케이블의 길이를 현저히 감축시킬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제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 또는 냉동 컨테이너(124)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중앙부 연료 탱크(140)의 상측에 전원 공급부(143)가 배치되므로, 구획벽 연료 탱크(140)의 상측에 해치 커버(122)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선체(110)의 갑판에 컨테이너(124)가 적재되더라도 구획벽 연료 탱크(140)에는 컨테이너(124)의 하중이 거의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구획벽 연료 탱크(140)의 양측에 화물창(121)이 배치됨에 따라 화물창(121)의 폭이 좁아지므로, 화물창(121)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122)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획벽 연료 탱크(140)와 전원 공급부(143) 사이에는 격리 공간부(145)가 배치될 수 있다. 격리 공간부(145)는 구획벽 연료 탱크(140)의 연료가 전원 공급부(143)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온도의 연료로 인한 전원 공급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컨테이너 운반선 111: 외판
113: 내판 115: 밸러스트 탱크
121: 화물창 122: 해치 커버
124: 컨테이너 125: 엔진룸
127: 엔진 128: 발전기
130: 양측 연료 탱크 140: 구획벽 연료 탱크
133,143: 전원 공급부 135,145: 격리 공간부

Claims (5)

  1. 내부에 다수의 화물창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선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화물창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측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연료 탱크는 화물창의 양측에 수직한 형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좌우측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부 연료 탱크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연료 탱크는 화물창의 좌우방향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 연료 탱크의 좌우측에는 화물창이 배치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연료 탱크 또는 중앙부 연료 탱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KR1020120149310A 2012-12-20 2012-12-20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KR20140080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10A KR20140080854A (ko) 2012-12-20 2012-12-20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10A KR20140080854A (ko) 2012-12-20 2012-12-20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854A true KR20140080854A (ko) 2014-07-01

Family

ID=5173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310A KR20140080854A (ko) 2012-12-20 2012-12-20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0854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506A (ko) * 2016-07-21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수에 배치된 갑판실을 갖는 대형 컨테이너 선박
CN107985506A (zh) * 2017-12-27 2018-05-04 广州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万吨级散货船的总体布局
KR20180065508A (ko) * 2016-12-08 2018-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80071583A (ko) * 2016-12-20 2018-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80078659A (ko) * 2016-12-30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료 저장탱크의 최적화 배치구조
CN108407981A (zh) * 2017-02-09 2018-08-17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运输船
KR20180097361A (ko) * 2017-02-23 2018-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
KR20190133421A (ko) * 2018-05-23 201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90133418A (ko) * 2018-05-23 201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90143683A (ko) * 2018-06-21 2019-12-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200000411A (ko) * 2019-12-24 2020-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CN114212188A (zh) * 2016-12-29 2022-03-22 现代重工业株式会社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CN114212188B (zh) * 2016-12-29 2024-06-07 现代重工业株式会社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506A (ko) * 2016-07-21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수에 배치된 갑판실을 갖는 대형 컨테이너 선박
KR20180065508A (ko) * 2016-12-08 2018-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80071583A (ko) * 2016-12-20 2018-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CN114212188A (zh) * 2016-12-29 2022-03-22 现代重工业株式会社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CN114212188B (zh) * 2016-12-29 2024-06-07 现代重工业株式会社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KR20180078659A (ko) * 2016-12-30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료 저장탱크의 최적화 배치구조
CN108407981A (zh) * 2017-02-09 2018-08-17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运输船
KR20180097361A (ko) * 2017-02-23 2018-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
CN107985506A (zh) * 2017-12-27 2018-05-04 广州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万吨级散货船的总体布局
KR20190133418A (ko) * 2018-05-23 201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90133421A (ko) * 2018-05-23 201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90143683A (ko) * 2018-06-21 2019-12-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200000411A (ko) * 2019-12-24 2020-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0854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CN110099842B (zh)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KR101784067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US20200377186A1 (en) Marine vessel with hull-integrated electrical energy storage for vessel propulsion
JP5210989B2 (ja) 自動車運搬船
JP2016530434A (ja) 電源ユニット、電源アセンブリ、および電源ユニットを有するか、または電源アセンブリを有する船舶
KR20170091550A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JP6901567B2 (ja) ガス燃料推進コンテナ運搬船
KR20160121107A (ko)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142699A (ko) 저압 배전이 적용된 선박
JP2010135261A (ja) 蓄電池パッケージ
KR101363515B1 (ko) 연료 전지 선박의 연료 전지 스택 보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IT202000015913A1 (it) Gruppo offshore, sistema e metodo di produzione di idrocarburi comprendente tale gruppo offshore
KR101258924B1 (ko) 컨테이너 선박
KR101972695B1 (ko) 선박
RU2000101159A (ru) Плавучая атом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210120410A (ko) 컨테이너 선박
TW202325569A (zh) 適用於容納電源的貨櫃及電性連接之貨櫃
KR20210120409A (ko) 액화가스 추진 선박
KR20240021251A (ko) 화물 운반선
CN110036517B (zh) 氧化还原液流电池
CN116552768A (zh) 一种船舶动力电池的布置方法及船舶
JP2023087283A (ja) 浮体構造物
KR20140039469A (ko) 전력장치
CN118124787A (zh) 应用低压配电的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