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410A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410A
KR20210120410A KR1020200037074A KR20200037074A KR20210120410A KR 20210120410 A KR20210120410 A KR 20210120410A KR 1020200037074 A KR1020200037074 A KR 1020200037074A KR 20200037074 A KR20200037074 A KR 20200037074A KR 20210120410 A KR20210120410 A KR 20210120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ull
auxiliary
fuel tank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410A/ko
Publication of KR2021012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어 추진장치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엔진과 인접하여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고, 연료공급라인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탱크, 선체 내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구비되고,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화물창 및 보조 화물창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 화물창으로 투입되는 화물을 이송하여 화물적재공간에 적재하는 화물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A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 내 연료탱크의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자재 절감 및 시공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수천 개의 컨테이너 박스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 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아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최근에는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LNG 등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 조정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가 선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컨테이너 박스를 적재하기 어려운 거주구의 하부 공간에 연료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은, 화물 적재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컨테이너(c) 적재가 어려운 선체(11) 내 거주구(17)의 하부 공간에 연료탱크(13)가 구비되고, 선체(11)의 선미부에 추진장치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12)이 구비되며, 연료탱크(13)와 엔진(12) 사이에 엔진(12)으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라인(14)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료탱크(13)는 액화가스를 저장함에 따라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벤트라인(15)을 통해 액화가스가 기화된 증발가스를 일부 배출하게 되는데, 벤트라인(15)이 길어지게 되면 증발가스를 충분히 외부로 배출시킬 만한 압력이 모자라 벤트라인(15)의 내측에 폭발성이 있는 증발가스가 잔류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연료탱크(13) 상부의 거주구(17) 측에 벤트라인(15)과 연결되는 벤트 마스트(16)를 설치하고 비상 상황 시 벤트 마스트(16)를 통해 외부로 증발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10)은, 연료탱크(13)와 엔진(12) 사이의 거리가 멀어 연료탱크(13)와 엔진(12) 사이를 연결하는 연료공급라인(14)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연료공급라인(14)을 구성하는 파이프, 선체 내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각종 지지부재 및 케이블 등의 자재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파이프 배치 구조가 복잡해져 시공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연료공급라인(14)은 화물창(18)을 우회하도록 선원 또는 작업자가 이동하는 선체 상갑판의 이동통로(19, passage way)에 설치되는데, 이 경우 선원 또는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17) 쪽에 벤트 마스트(16)가 설치됨에 따라, 벤트 마스트(16)를 통해 배출되는 증발가스가 거주구(17)로 유입될 수 있어 선원의 안전에 문제가 되고, 거주구(17) 내 각종 전자 장비에 의한 폭발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8-0071579호(공개일: 2018.06.28)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선박, 구체적으로는 선체 내 거주구의 하부에 배치되었던 연료탱크를 선미부의 엔진룸 쪽에 배치하여, 연료공급라인 및 벤트라인 등의 파이프 라인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자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연료탱크와 벤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벤트마스트를 거주구와 떨어진 엔진케이싱에 구비함으로써 선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어 추진장치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엔진과 인접하여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고, 연료공급라인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탱크, 선체 내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구비되고,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화물창 및 보조 화물창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 화물창으로 투입되는 화물을 이송하여 화물적재공간에 적재하는 화물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선체의 선미부에는 연료탱크와 벤트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연료탱크 내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 마스트가 구비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 화물창은 내부의 좌우 양측에 복수로 구획된 화물적재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의 바닥에 화물 이송수단이 결합되어 이동하는 레일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화물 이송수단은 보조 화물창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에 구비되고 화물을 지지하는 화물지지부 및 화물을 화물적재공간에 적재하도록 화물지지부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선체 내 거주구의 하부에 배치되었던 연료탱크를 선미부의 엔진룸 쪽에 배치함으로써, 연료공급라인 및 벤트라인 등의 파이프 라인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파이프, 선체 내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각종 지지부재 및 케이블 등의 자재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짧아진 파이프 라인에 의해, 파이프 라인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파이프 라인의 배치 구조가 단순해져 파이프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료탱크와 벤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벤트 마스트가 거주구와 떨어진 엔진케이싱에 구비됨으로써 선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체 내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보조 화물창을 구비하고, 보조 화물창 내 컨테이너를 이송하여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연료탱크의 이동에 따라 빈 공간으로 남겨진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도 효율적으로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내 연료탱크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내 보조 화물창과 화물 이송수단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화물창 내 컨테이너 적재 상태를 각각 정면 및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 내 연료탱크(130)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 내 보조 화물창(140)과 화물 이송수단(150)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이용하여 추진하는 선박으로,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30)를 구비하고, 컨테이너 박스(이하, '컨테이너'라 함) 등의 화물을 싣는 액화가스 추진 컨테이너 선박(100)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액화가스는 LNG,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액화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LNG 가스를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은, 선체(110), 엔진(120), 연료탱크(130), 보조 화물창(140) 및 화물 이송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컨테이너 선박(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갑판, 선측외판 및 선저판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선수에는 구상선수가 형성되고 선미에는 프로펠러 등의 추진장치와 러더 등의 조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선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컨테이너(c)가 적재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선체(110)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화물창(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화물창(111) 내에는 셀 가이드(미도시)가 마련되어 컨테이너(c)의 적재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창(111) 내에는 격벽(미도시)이 구비되어, 격벽(미도시)을 통해 화물창(111)을 이루는 복수개의 베이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100)은 선체(110) 내부의 화물창(111)과 선체(110) 위에 복수의 컨테이너(c)를 적재하여 운항하고 있는데, 여기서 컨테이너(c)는 수출과 수입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화물이 내부에 저장되어 운송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선박(100)의 경우, 화물 적재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113), 엔진룸(121)에 설치되는 엔진(120), 연료탱크(130)가 설치되는 공간 및 기계실 등을 제외한 선체(110)의 내부 및 상갑판 상에 다수의 컨테이너(c)가 적재될 수 있다.
엔진(120)은 선체(110)의 선미부에 구비되어 추진장치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110)의 내부에서 선미 쪽에 인접한 엔진룸(121) 내에 선박의 추진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120)이 구비될 수 있고, 엔진(120)은 프로펠러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화가스를 소비하며 추진장치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룸(121)의 상부에는 엔진케이싱(12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엔진케이싱(122)은 엔진(120)에서 발생하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돌을 가지며, 비상발전기나 소화시설 등이 마련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엔진케이싱(122) 쪽에는 연료탱크(130)와 연결되어 연료탱크(130)로부터 벤트라인(132)을 통하여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 마스트(160)가 구비될 수 있다.
액화가스가 저장된 연료탱크(130)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발가스(BOG, Boiled Off Gas)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료탱크(13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 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연료탱크(130)의 안전밸브(미도시)가 동작하여 연료탱크(130) 내 증발가스 중 일부가 벤트라인(132)으로 유입되고 벤트 마스트(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료탱크(130)는 LNG 등의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고, 연료공급라인(131)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엔진(1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액화가스는 연료탱크(130)에 액화 상태로 저장될 수 있고, 연료공급라인(131)을 통해 엔진(120)으로 공급되어 컨테이너 선박(100)을 운항하기 위한 추진 연료로 소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료탱크(130)는 액화가스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고, 액화가스가 자연 기화되어 증발가스로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료탱크(130)는 다양한 단열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 연료탱크(130)는 엔진룸(121)과 인접하여 선체(110)의 선미부에 구비될 수 있고, 단열을 위해 코퍼댐(미도시)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탱크(130)는 선체(110) 내에서 엔진룸(121)의 전방쪽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120)과 연료탱크(130) 사이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131)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벤트 마스트(160)와 연료탱크(130) 사이에 연결되는 벤트라인(132)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공급라인(131) 및 벤트라인(132) 등의 파이프 라인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파이프, 선체(110) 내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각종 지지부재 및 케이블 등의 자재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짧아진 파이프 라인에 의해, 파이프 라인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고, 파이프 라인의 배치 구조가 단순해져 파이프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연료탱크를 배치함에 따라, 선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 쪽에 벤트 마스트를 설치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130)를 엔진룸(121) 쪽에 배치함으로써 벤트 마스트(160)를 거주구(113)와 떨어진 엔진케이싱(122) 쪽에 배치할 수 있어, 선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즉, 거주구(113) 쪽에 벤트 마스트(160)가 설치되는 경우, 벤트 마스트(160)를 통해 배출되는 증발가스가 거주구(113)로 유입될 수 있어 선원의 안전에 문제가 되고, 각종 전자 장비에 의한 폭발 사고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130)를 선미부의 엔진룸(121) 쪽에 배치하여 벤트 마스트(160)를 거주구(113)와 떨어진 엔진케이싱(122) 쪽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130)가 엔진룸(121) 일측의 선체(110)의 선미부 쪽에 배치됨에 따라, 거주구(113)의 하측 공간에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있는 보조 화물창(140)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화물창(140)은 내부에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있는 복수로 구획된 화물적재공간(141)이 형성될 수 있다.
화물 이송수단(150)은 보조 화물창(140)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 화물창(140)으로 투입되는 화물을 이송하여 화물적재공간(141)에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물 이송수단(150)은 크레인(미도시)이 선체(110) 상부의 해치(112)를 통해 보조 화물창(140) 내측으로 컨테이너(c)를 투입하면, 컨테이너(c)를 받아 보조 화물창(140) 내 복수로 구획된 화물적재공간(141)에 적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화물창(140) 내 컨테이너 적재 상태를 각각 정면 및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화물창(140)의 내부에는 좌우 양측에 복수의 화물적재공간(141)이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고, 내부 중앙에 화물 이송수단(15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화물적재공간(141)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화물창(140)의 중앙 바닥에는 전후 방향으로 레일(142)이 구비될 수 있고, 화물 이송수단(150)은 레일(142)을 따라 보조 화물창(140)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수단(150)은, 보조 화물창(140)의 중앙 바닥에 구비된 레일(1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151)와, 이동부재(151)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54)과, 수직프레임(154)에 구비되고 컨테이너(c)를 지지하는 화물지지부(155)와, 수직프레임(154)에 구비되고 컨테이너(c)를 화물적재공간(141)에 적재하도록 화물지지부(155)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재(151)는 이동본체(152)와, 이동본체(152)의 하부에 구비되고 보조 화물창(140) 내 레일(142)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53)와, 이동본체(152)가 레일(142)을 따라 이동하도록 바퀴(15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51)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54)은 보조 화물창(140)의 최상층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화물지지부(155)는 이송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보조 화물창(140)의 바닥에서 화물적재공간(141)의 최상층까지 승강할 수 있다.
더불어, 화물지지부(155)는 이송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 화물창(140) 내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화물적재공간(141)에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이송구동부(미도시)는 화물지지부(15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미도시)와, 화물지지부(15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제1 및 제2 구동부(미도시)는 랙/피니언 기어와 모터의 결합구조나, 벨트, 기어 및 모터의 결합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화물창(140) 내부에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경우,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선체(110) 상부의 해치(112)를 통해 보조 화물창(140)으로 컨테이너(c)를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 화물창(140)의 내측에 구비되는 화물 이송수단(150)의 화물지지부(155)를 통해 컨테이너(c)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화물 이송수단(150)은 보조 화물창(140) 내에서 이동부재(151)를 통해 전후로 이동하고, 이송구동부(미도시)를 구동하여 화물지지부(155)에 지지된 컨테이너(c)를 승강시키는 동시에, 좌우로 이송하여 보조 화물창(140) 내 복수의 화물적재공간(141) 중 빈 공간에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수단(150)을 이용하여 보조 화물창(140) 내 양측에 다층으로 구비된 복수의 화물적재공간(141)에 모두 컨테이너(c)가 적재되면, 화물 이송수단(150)이 이동하는 보조 화물창(140) 내 중앙의 빈 공간에도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물적재공간(141)에 모두 컨테이너(c)가 적재되면, 화물 이송수단(150)이 보조 화물창(140) 내 컨테이너(c)가 투입되는 해치(112) 하측에서 거주구(113) 하측으로 이동하여 퇴피됨으로써,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해치(112)를 통해 보조 화물창(140) 내 중앙의 빈 공간으로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조 화물창(140)의 내부 공간에 컨테이너(c)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100)은, 선체(110) 내 거주구(113)의 하부에 배치되었던 연료탱크(130)를 선미부의 엔진룸(121) 쪽에 배치함으로써, 연료공급라인(131) 및 벤트라인(132) 등의 파이프 라인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파이프, 선체(110) 내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각종 지지부재 및 케이블 등의 자재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짧아진 파이프 라인에 의해, 파이프 라인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파이프 라인의 배치 구조가 단순해져 파이프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료탱크(130)와 벤트라인(132)을 통해 연결되는 벤트 마스트(160)가 거주구(113)와 떨어진 엔진케이싱(122)에 구비됨으로써 선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체(110) 내 거주구(113)의 하측 공간에 보조 화물창(140)을 구비하고, 보조 화물창(140) 내 컨테이너(c)를 이송하여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이송수단(150)을 구비하여, 연료탱크(130)의 이동에 따라 빈 공간으로 남겨진 거주구(113)의 하측 공간에도 효율적으로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컨테이너 선박 110 : 선체
111 : 화물창 112 : 해치
113 : 거주구 120 : 엔진
121 : 엔진룸 130 : 연료탱크
131: 연료공급라인 132 : 벤트라인
140 : 보조 화물창 150 : 화물 이송수단
160 : 벤트 마스트

Claims (4)

  1.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어 추진장치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상기 엔진과 인접하여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고, 연료공급라인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탱크;
    상기 선체 내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구비되고,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화물창; 및
    상기 보조 화물창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보조 화물창으로 투입되는 화물을 이송하여 상기 화물적재공간에 적재하는 화물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는 상기 연료탱크와 벤트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연료탱크 내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 마스트가 구비되는 컨테이너 선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화물창은 내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복수로 구획된 화물적재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의 바닥에 상기 화물 이송수단이 결합되어 이동하는 레일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선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수단은,
    상기 보조 화물창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을 지지하는 화물지지부; 및
    상기 화물을 상기 화물적재공간에 적재하도록, 상기 화물지지부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20200037074A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선박 KR20210120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74A KR20210120410A (ko)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74A KR20210120410A (ko)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10A true KR20210120410A (ko) 2021-10-07

Family

ID=7811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074A KR20210120410A (ko)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4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79A (ko) 2016-12-20 2018-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79A (ko) 2016-12-20 2018-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2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WO2019146087A1 (ja) 船舶用のlng燃料モジュールと該lng燃料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船舶
KR102327408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297873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10120410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90011564A (ko) 선박
CN115092331A (zh) 一种双燃料集装箱船
KR20210110911A (ko) 벤트 마스트
KR20210120409A (ko) 액화가스 추진 선박
KR20210089847A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KR20210120189A (ko) 컨테이너 선박
KR20210120190A (ko)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KR102677388B1 (ko) 선박
KR102623372B1 (ko)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102623378B1 (ko)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102571787B1 (ko)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20150053016A (ko) 선박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459475B1 (ko) 선박
WO2023112598A1 (ja) 液化ガス運搬船
WO2023199864A1 (ja) 船舶
KR20190011543A (ko) 선박
KR102268425B1 (ko) 선박
KR20210125653A (ko) 컨테이너 선박
KR20220163253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