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190A -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190A
KR20210120190A KR1020200036566A KR20200036566A KR20210120190A KR 20210120190 A KR20210120190 A KR 20210120190A KR 1020200036566 A KR1020200036566 A KR 1020200036566A KR 20200036566 A KR20200036566 A KR 20200036566A KR 20210120190 A KR20210120190 A KR 2021012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hip
auxiliary
flow lin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190A/ko
Publication of KR2021012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갑판 상부에 거주구가 구비되고, 내측에 화물창이 형성되는 선체, 선체에서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구비되는 연료탱크 및 화물창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료탱크와 연결되도록 선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A SHIP WITH ATTACHABLE FUEL TANK}
본 발명은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에 구비된 연료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모듈형의 보조 연료탱크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수천 개의 컨테이너 박스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 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아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최근에는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LNG 등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HFO 또는 MFO와 같은 중유를 사용하는 경우, 중유 등을 연소시킬 시,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어, 컨테이너 선박 등의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의 경우에도 액화가스 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 조정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가 선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컨테이너 박스를 적재하기 어려운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연료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박 구조는 거주구 하측의 제한된 공간에 연료탱크가 배치됨으로써 연료탱크의 사이즈가 고정적이며, 이에 따라 장거리 운항 시에는 연료 보급선을 운용하여 연료를 보충하거나, 연료 급유지를 경유하여 연료를 보충해야 함으로써, 막대한 비용과 기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8-0071579호(공개일: 2018.06.28.)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본 발명에서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구체적으로는 선체 내 연료탱크와 연결되도록 선체의 화물창을 통해 모듈형으로 형성된 보조 연료탱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갑판 상부에 거주구가 구비되고, 내측에 화물창이 형성되는 선체, 선체에서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구비되는 연료탱크 및 화물창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료탱크와 연결되도록 선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 연료탱크의 상부와 대응하게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보조 연료탱크가 설치되는 화물창 상부의 갑판에 안착되고,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어, 보조 연료탱크와 연료탱크를 상호 맞물리게 슬리이딩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료가 유동하는 연료 유동라인을 더 포함하고, 연료 유동라인은,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고,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 간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가스연료가 유동하는 제1 유동라인 및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 간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액화연료가 유동하는 제2 유동라인을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제1 유동라인과 제2 유동라인은 열수축에 의한 하중을 억제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또한, 연료 유동라인은 제1 유동라인과 제2 유동라인을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 내 연료탱크와 연결되도록 선체의 화물창을 통해 모듈형으로 형성된 보조 연료탱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연료 필요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료탱크의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연료탱크가 설치된 화물창 위로, 보조 연료탱크의 상부와 대응하게 형성되어 구조 강도가 향상된 형태의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받침부재를 통해 보조 연료탱크의 상측으로 컨테이너 박스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 간의 수위와 압력을 맞출 수 있도록,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의 사이에 각각 가스 유동라인과 액화연료 유동라인을 연결하여, 연료탱크 및 보조 연료탱크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연료탱크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 보조 연료탱크의 배치 구조를 다양한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와 보조 연료탱크 사이의 연료 유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선박(100)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선박(100)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 내 연료탱크(120)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내부에 연료탱크를 추가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선박으로,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가스연료를 이용하고, 컨테이너 박스(c) 등의 화물을 싣는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선박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가스연료는 LNG,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액화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LNG 가스를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100)은, 선체(110), 연료탱크(120) 및 보조 연료탱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선박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갑판, 선측외판 및 선저판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선수에는 구상선수가 형성되고 선미에는 프로펠러 등의 추진장치와 러더 등의 조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선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선체(110)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화물창(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화물창(111) 내에는 셀 가이드(미도시)가 마련되어 컨테이너 박스(c)의 적재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창(111) 내에는 격벽(미도시)이 구비되어, 격벽(미도시)을 통해 화물창(111)을 이루는 복수개의 베이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창(111) 내부에는 컨테이너 박스(c)를 최대한 많이 적재하기 위해 좌우측 하단에 각각 계단 형태의 단턱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물창(111)의 상부에는 해치코밍(11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선박(100)에는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사람이 출입하기 위한 해치(hatch)가 형성되고, 또한 선박(100)의 선창 등으로 파랑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해치 입구 주위에 격벽인 해치코밍(113)이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해치코밍(113)의 측벽 상부에는 수평하게 구비되어 해치커버(115)를 지지하는 수평 플레이트(114a)와, 수평 플레이트(114a)의 측단 하부에 연결되어 종강도를 보강하는 수직 플레이트(114b)로 이루어지는 "ㄱ" 형태의 해치코밍 탑 플레이트(11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플레이트(114a)에 지지되는 해치커버(115)는 해치코밍(113) 상부에서 해치를 덮도록 구비되고, 해치커버(115) 상부로 복수의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100)의 경우, 화물 적재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10), 엔진룸(21)에 설치되는 엔진(20), 연료탱크(120)가 설치되는 공간 및 기계실 등을 제외한 선체(110)의 내부 및 상갑판 상에 다수의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될 수 있다.
선체(110)의 내부에서 선미 쪽에 인접한 엔진룸(21)에는 선박의 추진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2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엔진룸(21) 내에는 선박 추진을 위한 엔진(20)이 수용되고, 엔진(20)은 프로펠러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스연료를 소비하며 프로펠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룸(21)의 상부에는 엔진케이싱(2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엔진케이싱(22)은 엔진(20)에서 발생하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돌을 가지며, 비상발전기나 소화시설 등이 마련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연료탱크(120)는 LNG 등의 액화가스 연료를 저장할 수 있고, 선미 쪽의 엔진(20)과 이격되어 선체(110)의 중앙 부분에서 거주구(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액화가스는 연료탱크(120)에 액화 상태로 저장될 수 있고, 연료공급라인(30)을 통해 엔진(20)으로 공급되어 컨테이너 선박(100)을 운항하기 위한 추진 연료로 소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료탱크(120)는 액화가스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고, 액화가스가 자연 기화되어 증발가스로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료탱크(120)는 다양한 단열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연료탱크(120)는 외부의 열 침입에 의한 증발가스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단열 처리된 멤브레인(Membrane)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팔각 형태의 단면을 갖는 연료탱크(12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연료탱크(120)의 상부에는 연료공급라인(30)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펌프타워 및 파이프 등의 연료공급 플랫폼(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탱크(120)는 거주구(10)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코퍼댐(미도시)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즉, 연료탱크(120)는 위험물질을 수용하는 구성이므로, 연료탱크(120)로부터 거주구(10) 등을 보호하면서 단열을 구현하기 위해, 연료탱크(120)의 둘레에는 코퍼댐(미도시)이 둘러싸일 수 있다.
여기서, 선체(110)의 중앙 부분 쪽 상갑판에는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거주구(10)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최상부 층에는 항해를 제어하는 조종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선박에서 조정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거주구(10)는 선체(11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컨테이너 박스(c)를 적재하기 어려운 거주구(10)의 하측 공간에 연료탱크(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120)의 전면 또는 후면이나, 전후면에는 후술되는 보조 연료탱크(13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결합부재(151)가 구비될 수 있고, 보조 연료탱크(13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연료 유동라인(160,17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료탱크(120)로부터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30)은 선체(110) 내에서 연료탱크(120)와 이격되어 배치된 엔진(20)과 연결되어, 연료탱크(120)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료공급라인(30)은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되는 선체(110) 내의 화물창(111)을 우회하도록 선체(110) 상부로 돌출되어 선체(110) 상부의 해치코밍(113)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선박은 선체(110) 내 화물창(111) 및 선체(110) 상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컨테이너 박스(c)를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화물창(111) 내에 연료공급라인(30)을 배치할 공간이 넉넉치 않으며, 또한 화물창(111) 내 연료공급라인(30)을 배치하는 경우, 중량물인 컨테이너 박스(c)와의 충돌 또는 간섭을 방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조물을 통해 파이프 통로를 만들어야 함으로써, 적재 효율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선체(110) 내 컨테이너 박스(c)의 적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엔진(20)과 연료탱크(120)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30)을 선체(110) 상부로 돌출시켜 선체(110) 상부에 설치된 해치코밍(113)의 탑 플레이트(114)의 안쪽에 수용하여 배치함으로써, 화물창(111) 내 컨테이너 박스(c)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적재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외부로부터 연료공급라인(3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공급라인(30)은 연료탱크(120)로부터 선체(110) 상부의 해치코밍(113)까지 수직하게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서 절곡되어 해치코밍 탑 플레이트(114)의 내측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에서 절곡되어 엔진(20)까지 수직하게 연결됨으로써, 선체(110) 내의 화물창(111)을 우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연료탱크(120)에 보조 연료탱크(1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연료탱크(130)는 화물창(111)을 통해 선체(1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연료탱크(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결합부재(151,152)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연료탱크(130) 역시 상술한 연료탱크(120)와 동일한 형태로서 멤브레인(Membrane)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써 팔각 형태의 단면을 갖는 탱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컨테이너 선박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컨테이너 박스(c)를 적재하기 어려운 거주구(10)의 하측 공간에 연료탱크(120)가 배치됨에 따라, 연료탱크(120)의 사이즈가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 운항에 필요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모듈형으로 형성된 착탈 가능한 보조 연료탱크(1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보조 연료탱크(130)는 연료탱크(120)와 인접한 화물창(111) 상부의 해치를 통해 화물창(111)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료탱크(1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보조 연료탱크(130)가 연료탱크(120)에 결합되면, 보조 연료탱크(130)의 상측에 해치를 덮을 수 있는 받침부재(140)를 설치하여, 받침부재(140)의 상부에 컨테이너 박스(c) 등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받침부재(140)는 하부가 팔각 형태의 단면을 갖는 보조 연료탱크(130)의 상부와 대응하게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양측부에는 갑판에 안착되는 안착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받침부재(140)는 양측에 헌치부(142)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컨테이너 박스(c) 등의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의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상호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151)와 제2 결합부재(15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로써, 연료탱크(120)의 전면 양측에는 수직 배치된 가이드레일 형태의 제1 결합부재(151)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연료탱크(120)의 전면과 대응하는 보조 연료탱크(130)의 후면 양측에는 제1 결합부재(151)와 맞물리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152)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화물창(111) 상부의 해치를 통해 보조 연료탱크(13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보조 연료탱크(130)에 구비된 제2 결합부재(152)를 연료탱크(120)에 구비된 제1 결합부재(151)와 일치시켜 슬리이딩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선체(110)의 선미부 쪽에 배치된 엔진(20)으로의 연료 공급이 용이하도록 연료탱크(120)의 전면에 보조 연료탱크(130)를 결합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선박의 구조에 따라 연료탱크(120)의 후면에 보조 연료탱크(13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110) 내 보조 연료탱크(130)의 배치 구조를 다양한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예로써, 연료탱크(120)의 후면에 제1 결합부재(151)를 구비하고, 보조 연료탱크(130)의 전면에 제2 결합부재(152)를 구비하여, 연료탱크(120)의 후면에 보조 연료탱크(13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연료탱크(120)의 전후면에 각각 제1 결합부재(151)를 구비하고, 전면에 제2 결합부재(152)가 구비된 보조 연료탱크(130)와, 후면에 제2 결합부재(152)가 구비된 보조 연료탱크(130)를 연료탱크(120)의 전후면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에서와 같이, 보조 연료탱크(130)의 후면에 제2 결합부재(152)를 구비하고, 전면에는 제1 결합부재(151)를 구비하여, 제2 결합부재(152)를 통해 연료탱크(120)와 결합된 보조 연료탱크(130)의 전면 제1 결합부재(151)에 동일한 구조의 다른 보조 연료탱크(130)에 구비된 제2 결합부재(152)를 결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조 연료탱크(130)를 연속하여 복수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 사이의 연료 유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 사이의 연료 유동 구조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선체(110)에서 거주구(10)의 하측 공간에 고정 배치되는 연료탱크(120)는 상부에 엔진(20)과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30)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펌프타워 및 파이프 등의 연료공급 플랫폼(1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 사이에는 연료가 유동할 수 있는 연료 유동라인(160,1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 간의 수위와 압력을 맞출 수 있도록,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의 상부에는 NG 등의 가스연료가 유동하는 제1 유동라인(160)이 구비되고,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의 하부에는 LNG 등의 액화연료가 유동하는 제2 유동라인(17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및 제2 유동라인(160,170)은, 연료탱크(120)에 구비되는 제1 파이프(161,171)와, 보조 연료탱크(130)에 구비되는 제2 파이프(162,172)와, 대응하는 제1 파이프(161,171)와 제2 파이프(162,172)를 상호 연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63,1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63,173)는 대응하는 제1 파이프(161,171)와 제2 파이프(162,172) 간을 착탈 가능하게 접합하여 연결할 수 있는 플랜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는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 사이의 연료 유동 구조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제1 유동라인(160)과 제2 유동라인(170)은 열수축에 의한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120)에 구비되는 제1 유동라인(160)의 제1 파이프(161)가 "┐" 형태로 형성되고, 보조 연료탱크(130)에 구비되는 제1 유동라인(160)의 제2 파이프(162)는 "└"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제1 및 제2 파이프(161,162) 끝단에 구비된 연결부(163)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연료탱크(120)에 구비되는 제2 유동라인(170)의 제1 파이프(171)가 "┘" 형태로 형성되고, 보조 연료탱크(130)에 구비되는 제2 유동라인(170)의 제2 파이프(172)는 "┌"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제1 및 제2 파이프(171,172) 끝단에 구비된 연결부(173)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유동라인(160,170)은 단열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단열부재(미도시)는 제1 파이프(161,171) 및 제2 파이프(162,172)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100)은, 선체(110) 내 연료탱크(120)와 연결되도록 선체(110)의 화물창(111)을 통해 모듈형으로 형성된 보조 연료탱크(13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연료 필요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료탱크(120)의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연료탱크(130)가 설치된 화물창(111) 위로, 보조 연료탱크(130)의 상부와 대응하게 형성되어 구조 강도가 향상된 형태의 받침부재(140)를 설치하여, 받침부재(140)를 통해 보조 연료탱크(130)의 상측으로 컨테이너 박스(c)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 간의 수위와 압력을 맞출 수 있도록, 연료탱크(120)와 보조 연료탱크(130)의 사이에 각각 가스 유동라인(160)과 액화연료 유동라인(170)을 연결하여, 연료탱크(120) 및 보조 연료탱크(130)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선박 10 : 거주구
20 : 엔진 30 : 연료공급라인
110 : 선체 120 : 연료탱크
130 : 보조 연료탱크 140 : 받침부재
151 : 제1 결합부재 152 : 제2 결합부재
160 : 제1 유동라인 170 : 제1 유동라인

Claims (6)

  1. 갑판 상부에 거주구가 구비되고, 내측에 화물창이 형성되는 선체;
    상기 선체에서 상기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구비되는 연료탱크; 및
    상기 화물창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되도록 상기 선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료탱크의 상부와 대응하게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연료탱크가 설치되는 화물창 상부의 갑판에 안착되고,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보조 연료탱크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보조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를 상호 맞물리게 슬리이딩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보조 연료탱크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료가 유동하는 연료 유동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 유동라인은,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보조 연료탱크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보조 연료탱크 간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가스연료가 유동하는 제1 유동라인; 및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보조 연료탱크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보조 연료탱크 간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액화연료가 유동하는 제2 유동라인을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라인과 상기 제2 유동라인은,
    열수축에 의한 하중을 억제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유동라인은,
    상기 제1 유동라인과 상기 제2 유동라인을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KR1020200036566A 2020-03-26 2020-03-26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KR20210120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66A KR20210120190A (ko) 2020-03-26 2020-03-26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66A KR20210120190A (ko) 2020-03-26 2020-03-26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190A true KR20210120190A (ko) 2021-10-07

Family

ID=7811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566A KR20210120190A (ko) 2020-03-26 2020-03-26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1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79A (ko) 2016-12-20 2018-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79A (ko) 2016-12-20 2018-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2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CN110099842B (zh)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EP2374710B1 (en) Floating structure with fuel tank for gas fuel
AU2014289162B2 (en) Power supply unit, power supply assembly, and water vehicle having a power supply unit or having a power supply assembly
KR100961867B1 (ko)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CN110099843B (zh)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CN109562818B (zh) 具有多个燃料管路的船舶
KR20190011564A (ko) 선박
KR20190011562A (ko) 선박
KR20210120190A (ko) 탈착식 연료탱크가 구비된 선박
KR20210120189A (ko) 컨테이너 선박
KR20210110911A (ko) 벤트 마스트
KR20210120409A (ko) 액화가스 추진 선박
KR20210120410A (ko) 컨테이너 선박
WO2022264942A1 (ja) 貨物運搬船
KR20190011543A (ko) 선박
WO2023112598A1 (ja) 液化ガス運搬船
KR102677388B1 (ko) 선박
KR20210125653A (ko) 컨테이너 선박
KR102268425B1 (ko) 선박
KR102605383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20210106246A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20210106087A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20220029976A (ko) 선박 유지보수용 컨테이너 모듈
KR20210125347A (ko) 선박 유지보수용 컨테이너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