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361A -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361A
KR20180097361A KR1020170024260A KR20170024260A KR20180097361A KR 20180097361 A KR20180097361 A KR 20180097361A KR 1020170024260 A KR1020170024260 A KR 1020170024260A KR 20170024260 A KR20170024260 A KR 20170024260A KR 20180097361 A KR20180097361 A KR 20180097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ntainer
disposed
rolling
rol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041B1 (ko
Inventor
안양모
고특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0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컨테이너선의 중앙부에 배치되었던 거주구 및 안티롤링탱크를 선수에 배치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수에 배치되는 거주구와 거주구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안티롤링탱크를 포함하며, 거주구 및 안티롤링탱크는 선수 격벽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가상 선 후방의 상갑판 상부에 배치되고, 거주구 및 안티롤링탱크의 후방에만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 {Container Ship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주구 및 안티롤링탱크를 선수에 배치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극대화 하는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선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선(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컨테이너선(1)이 대형화됨에 따라 선체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torsional moment)이 증가하는데, 선체에 과도한 비틀림이 발생하면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선창 덮개가 선체로부터 이탈하거나, 선체가 항복 또는 피로 파손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컨테이너선(1)은 선체의 중앙 내지 중앙에서 선수(11) 측으로 다소 이격된 위치(이하 '중앙부'라 함)에 배치되는 거주구(10, Deck house)와; 거주구(10) 하부에 배치되는 안티롤링탱크(30, Anti Rolling Tank)를 포함한다.
거주구(10)와 안티롤링탱크(30)는 선체의 중앙부에서 상갑판(upper deck)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컨테이너선(1)은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가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컨테이너선에 비틀림 하중에 의한 선체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컨테이너선(1)의 경우에는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가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로, 종래의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는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공간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가 배치되는 공간은 물론 그 아래의 공간까지 모두 컨테이너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적재공간의 손실이 매우 크다.
둘째로, 컨테이너선(1)의 조종을 위해서는, 거주구(10)에서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종래와 같이 거주구(10)가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공간 사이에 배치되면, 컨테이너가 거주구(10)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게 되고, 따라서, 거주구(10)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 1에서 A로 표시된 영역은 컨테이너 적재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주구 및 안티롤링탱크를 선수에 배치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거주구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컨테이너선의 배치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 선은, 선수에 배치되는 거주구; 상기 거주구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안티롤링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안티롤링탱크는 상갑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주구 및 상기 안티롤링탱크의 후방에만 컨테이너가 적재된다.
상기 거주구 및 상기 안티롤링탱크는, 선수 격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의 후방으로, 가상의 선과 인접하도록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컨테이너 중 최전방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전방은 상기 거주구와 상기 안티롤링탱크로 막힌 상태가 되어, 상기 거주구 및 상기 안티롤링탱크는, 그린워터(Green Water) 현상에 의해 갑판으로 유입되는 해수로부터 컨테이너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의 중앙부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선체에 복수의 구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화물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물창은 인접한 화물창과 한 쌍의 격벽(bulkhead)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사이에는 빈 공간(void space)이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 중 적어도 한 공간에 연료유 딥 탱크(HFO Deep Tank)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격벽은 모두 수밀격벽(tight bulkhea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의 중앙부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선박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연료유 탱크(HFO Tank)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유 탱크는 선미에 위치하는 엔진룸과 선수에 위치하는 선수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화물창(hold) 중 적어도 하나의 화물창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구 및 안티롤링탱크를 선수에 배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주구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컨테이너의 선수에 설치되던 브레이크 워터(Break Water)의 역할을 안티롤링탱크가 대신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브레이크 워터 구성을 삭제하여 선수부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의 (a)는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선수를 확대한 도면,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선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거주구(110)와 안티롤링탱크(1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거주구(110) 및 안티롤링탱크(130)가 선수(101)에 배치되고, 안티롤링탱크(130)는 거주구(110)의 하부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안티롤링탱크(130)는 상갑판(10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종래와는 다르게 거주구(110) 및 안티롤링탱크(130)가 모두 상갑판(10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거주구(110) 및 안티롤링탱크(130)는 선수(101)에 설치된 선수 격벽(12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가상의 선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후방'이란 컨테이너선(100)의 선수(101)에서 선미(102)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거주구(110) 및 안티롤링탱크(130)는 선수 격벽(1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의 후방에 바로 인접하여 상갑판(103)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상의 선에서 후방으로 다소 이격되어 상갑판(103)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갑판(103)의 상측 영역 중에서, 거주구(110)의 전방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방'이란 컨테이너선(100)의 선미(102)에서 선수(10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거주구(110)의 전방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되지 않으므로, 거주구(110) 내에서 컨테이너에 의해 전방 시야가 방해받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안티롤링탱크(130)는 거주구(110)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수 격벽(12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가상 선 후방의 상갑판(103) 상에 안티롤링탱크(130)가 배치되고, 그 위에 거주구(110)가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컨테이너선(1)(도 1 참조)에서 거주구(10)(도 1 참조)와 안티롤링탱크(30)(도 1 참조)가 선체의 중앙부에서 상갑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근접하도록 상하로 설치됨으로써, 안티롤링탱크(30)(도 1 참조)가 상갑판의 하부에 위치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안티롤링탱크(130)가 상갑판(10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의 (a)는 종래의 컨테이너선(1)의 선수를 확대한 도면,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의 선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컨테이너선(1)은 컨테이너의 선수(11)에 컨테이너선의 전복 또는 컨테이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수(11)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워터(40, Break Water)를 포함한다.
반면,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종래에 선체 중앙부의 상갑판 하부에 위치하던 안티롤링탱크(130)를 선수(101)의 상갑판(103)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컨테이너의 선수에 설치되던 브레이크 워터(40)의 역할을 안티롤링탱크(130)가 대신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브레이크 워터(40)의 구성을 삭제하여 선수부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선수부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레이크 워터(40)는 그린워터(Green Water) 현상에 의한 컨테이너 선의 전복이나 컨테이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인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에서는 안티롤링탱크(130)가 선수(101)에 배치되고, 안티롤링탱크(130)의 후방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므로, 안티롤링탱크(130)가 선박의 갑판으로 다량 유입되는 해수로부터 컨테이너를 보호하는 역할을 대신 할 수 있고, 브레이크 워터(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컨테이너선(1)은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된 거주구(10), 안티롤링탱크(30) 및 연료유 탱크(HFO TanK)에 의해 비틀림 하중에 의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종래 중앙부에 배치되었던 거주구(110) 및 안티롤링탱크(130)를 선수(101)로 이동 배치하여 컨테이너 적재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배치에 적합하게 컨테이너선(100)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을 견디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유 딥 탱크(150, HFO Deep Tan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에 연료유 탱크가 존재하던 구조를 삭제하고, 연료유 딥 탱크(150)를 격벽(bulkhead) 사이에 배치하는 새로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복수의 구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화물창을 포함하고, 인접한 화물창은 한 쌍의 격벽으로 분리된다.
한 쌍의 격벽 사이에는 빈 공간(void space)이 형성되는데, 복수의 화물창을 포함한 컨테이너선(100)에는 복수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빈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연료유 딥 탱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격벽은 각각 수밀격벽(tight bulkhea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은 수밀격벽과 비수밀격벽(nontight bulkhead)이 한 쌍을 이루어 구획이 나누어져 있는데, 이 공간에는 연료유를 채울 수 없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화물창을 분리하는 한 쌍의 격벽을 모두 수밀격벽으로 구비하여 그 공간에 연료유 딥 탱크(15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료유 딥 탱크(150)는 격벽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을 만큼 폭방향이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갑판(103) 아래에서부터 선저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복수개의 연료유 딥탱크(1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컨테이너선(100)의 중앙부에 복수의 연료유 딥 탱크(150)가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상기와 같이 선체의 중앙부에 연료유 딥 탱크(150)를 배치함으로써, 선박의 중앙부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종래 중앙부에 배치되던 거주구(110) 및 안티롤링탱크(130)를 선수(101)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연료유 탱크가 존재하던 구조를 삭제하고, 화물창의 격벽 사이에 연료유 딥 탱크(150)를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연료유 탱크 공간도 컨테이너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화물창의 대부분의 공간을 화물 적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종래의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는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공간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가 배치되는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아래의 공간까지도 컨테이너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가 없어 컨테이너 적재공간의 손실이 매우 크다.
특히, 컨테이너선(1)의 크기가 크고 높이가 높을수록,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의 하측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는 공간이 많아지게 되어, 공간의 낭비가 심해진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거주구(110) 및 안티롤링탱크(130)가 선수(101)에 배치된다. 즉, 종래에 선체 중앙부에 위치하던 거주구(110)를 선수(101)에 배치하면서, 기존에 거주구 하부에 위치하던 안티롤링탱크(130)도 선수(101) 측으로 함께 이동하여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기존의 거주구(10)(도 1 참조) 및 안티롤링탱크(30)(도 1 참조)가 위치하던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아래의 공간 역시 컨테이너 적재공간으로 활용하여 추가적인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14,000 TEU 컨테이너선의 경우,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배치(도 1 참조)를 따르는 경우에 비하여, 약 540 TEU 이상의 적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200)은 선수(201)에 배치되는 거주구(210)와; 거주구(210)의 하부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안티롤링탱크(230)와;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연료유 탱크(250, HFO Tank)를 포함한다. 안티롤링탱크(230)는 상갑판(20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200)의 구조는, 컨테이너 적재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거주구(210) 및 안티롤링탱크(230)를 선수에 배치하는 점에서, 대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의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선체의 중앙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컨테이너선(200)의 중앙부에 연료유 탱크(250)가 배치된다는 점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과 다르다.
연료유 탱크(250)는 선미(202)에 위치하는 엔진룸(240)과 선수(201)에 위치하는 선수 격벽(220) 사이에 배치되는 화물창(260, hold) 중 적어도 하나의 화물창(260)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료유 탱크(250)는 도 1에서 종래의 거주구(10) 및 안티롤링탱크(30)가 배치되던 공간의 하측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연료유 탱크(250)가 종래의 거주구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면, 종래의 비틀림 하중을 극복하기 위한 설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200)은, 14,000 TEU 컨테이너선의 경우,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배치(도 1 참조)를 따르는 경우에 비하여, 약 250 TEU 이상의 적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 200)은 거주구 및 안티롤링탱크를 선수에 배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주구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컨테이너의 선수에 설치되던 브레이크 워터의 역할을 안티롤링탱크가 대신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브레이크 워터 구성을 삭제하여 선수부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종래의 컨테이너선
10 : 거주구
20 : 선수격벽
30 : 안티롤링탱크
40 : 브레이크 워터(Break Water)
100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110 : 거주구
120 : 선수격벽
130 : 안티롤링탱크
140 : 엔진룸
150 : 연료유 딥 탱크(HFO Deep Tank)
20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210 : 거주구
220 : 선수격벽
230 : 안티롤링탱크
240 : 엔진룸
250 : 연료유 탱크(HFO Tank)
260 : 화물창(hold)

Claims (6)

  1.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선수에 배치되는 거주구;
    상기 거주구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안티롤링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안티롤링탱크는 상갑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주구 및 상기 안티롤링탱크의 후방에만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및 상기 안티롤링탱크는, 선수 격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의 후방으로, 가상의 선과 인접하도록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컨테이너 중 최전방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전방은 상기 거주구와 상기 안티롤링탱크로 막힌 상태가 되어,
    상기 거주구 및 상기 안티롤링탱크는, 그린워터(Green Water) 현상에 의해 갑판으로 유입되는 해수로부터 컨테이너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선체에 복수의 구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화물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물창은 인접한 화물창과 한 쌍의 격벽(bulkhead)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사이에는 빈 공간(void space)이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 중 적어도 한 공간에 연료유 딥 탱크(HFO Deep Tank)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은 모두 수밀격벽(tight bulkhea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박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연료유 탱크(HFO Tank)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유 탱크는 선미에 위치하는 엔진룸과 선수에 위치하는 선수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화물창(hold) 중 적어도 하나의 화물창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KR1020170024260A 2017-02-23 2017-02-23 컨테이너선 KR101973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60A KR101973041B1 (ko) 2017-02-23 2017-02-23 컨테이너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60A KR101973041B1 (ko) 2017-02-23 2017-02-23 컨테이너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361A true KR20180097361A (ko) 2018-08-31
KR101973041B1 KR101973041B1 (ko) 2019-04-26

Family

ID=6340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260A KR101973041B1 (ko) 2017-02-23 2017-02-23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0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9952A (en) * 1992-10-26 1994-11-01 Barto International, Inc. Waterborne container carrier
KR20060057003A (ko) * 2003-09-04 2006-05-25 아케르 엠테베 베르프트 게엠베하 컨테이너선
KR20110012563A (ko) * 2009-07-31 2011-0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 하우스
KR20140080854A (ko) * 2012-12-20 2014-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9952A (en) * 1992-10-26 1994-11-01 Barto International, Inc. Waterborne container carrier
KR20060057003A (ko) * 2003-09-04 2006-05-25 아케르 엠테베 베르프트 게엠베하 컨테이너선
KR20110012563A (ko) * 2009-07-31 2011-0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 하우스
KR20140080854A (ko) * 2012-12-20 2014-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탱크 배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041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8732B2 (en) Vessel
KR20100069982A (ko)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선박
CN112249219A (zh) 一种船舶压载水舱结构及一种船舶
KR2023005835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90087403A (ko) 액화가스 운반선
JP2010269690A (ja) コンテナ船における排ガス設備及びコンテナ船
KR20060057003A (ko) 컨테이너선
KR101973041B1 (ko) 컨테이너선
CN106005794B (zh) 用于浮式储油装置单元的货油舱
JP6021750B2 (ja) 船舶の区画構造
JP2018030467A (ja) バラ積み船
KR20220132502A (ko) 컨테이너 선박
JPH06156365A (ja) 船舶における燃料油槽
CN109803882A (zh) 具有水密壁的船舶
JP3468307B2 (ja) 油槽船
JP2009179143A (ja) 船舶の燃料油タンク
JP2003002279A (ja) 二重船殼構造の船舶における船体構造
JP2002316688A (ja) 貨物船
JP2014101027A (ja) 燃料タンク
KR20170110853A (ko) 컨테이너선
JP2019026083A (ja) 船形構造物
KR102722758B1 (ko) 컨테이너 운반선
WO2024135052A1 (ja) 船舶
US1366269A (en) Cellular construction of vessels
JP2024142469A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