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924B1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924B1
KR101258924B1 KR1020100136452A KR20100136452A KR101258924B1 KR 101258924 B1 KR101258924 B1 KR 101258924B1 KR 1020100136452 A KR1020100136452 A KR 1020100136452A KR 20100136452 A KR20100136452 A KR 20100136452A KR 101258924 B1 KR101258924 B1 KR 10125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ectromagnet
deck
hold
contain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573A (ko
Inventor
서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9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데크의 하부에 마련되는 홀드의 바닥면과 격벽에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홀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와, 데크의 상부면과 라싱 브리지에 상기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데크의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와,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 및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에 공급되는 전기를 생성하는 전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컨테이너는 일반 잡화 및 특수한 화물을 외포장 없이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화물의 파손이나 분실, 도난 등과 같은 수송 중의 사고를 막을 수 있으며, 화차나 자동차, 선박 등으로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컨테이너의 수송비용 절감하기 위해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등장하였으며, 갑판부 상에 컨테이너를 6단 이상으로 겹쳐 쌓아 수천 개에 이르는 컨테이너를 싣고 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라싱 브리지(lashing bridge), 트위스트락(twist lock), 라싱바(lashing bar) 등의 구조물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선박에 안정적으로 고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선박에 고박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선박은 고박 효율을 높이기 위해 통상 1-2 단 높이의 라싱 브리지(20)를 선박의 선폭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의 높아진 적층수에 대응하기 위해 선체 고정점을 높이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항만 크레인에 의해 갑판상에 적재된 컨테이너(10)는 상하 결속을 위한 트위스트락(11)을 통해 체결된 후, 컨테이너(10)의 경사 하중 및 수평 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라싱바(12)를 이용하여 X자 형태로 컨테이너(10)를 라싱 브리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를 고박할 경우 각 구조물의 길이와 그에 수반되는 무게로 인해 2단 이하의 컨테이너(10)만 고박이 가능하고, 컨테이너(10)를 2단 라싱 브리지(20)에 고정할 경우에도 그 고박력은 라싱바(12)의 굵기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고박력을 크게 하기 어렵다.
또한, 트위스트락(11)은 컨테이너(10)의 상하 결속만을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컨테이너(10)의 안정적인 고박을 위해서는 갑판 상에 트위스트락(11)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고박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의 하부에 마련되는 홀드의 바닥면과 격벽에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홀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와, 상기 데크의 상부면과 라싱 브리지에 상기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데크의 상부에 적재된 상기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와, 상기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 및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에 공급되는 전기를 생성하는 전기 생성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 의하면, 컨테이너를 고박하기 위해 홀드 내부에 전자석을 이용한 제 1 고박 부재가 제공되고, 데크 상부에 전자석을 이용한 제 2 고박 부재가 제공됨으로써, 제 1 고박 부재 및 제 2 고박 부재의 방향으로 인력을 발생시켜 적재된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고박시킬 수 있다.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 및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를 이용하여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박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라싱바를 이용한 컨테이너의 고박 방법에 소요되는 시수를 절감할 수 있고, 컨테이너의 적재량에 대응하여 전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고박 강도를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적재된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고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선박에 고박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석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선박의 홀드 내부에 구비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선박의 데크 상에 구비되는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석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200)에는 데크(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홀드(220)와, 데크(210)의 상부 중 거주구(23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컨테이너(240)가 적재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데크(210)는 해치 커버를 의미할 수 있다.
홀드(220)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는 홀드(2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 바닥 플레이트와, 컨테이너 선박(200)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 1 격벽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240)를 적재하기 위해 홀드(220)의 격벽에는 셀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셀가이드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제 1 격벽 플레이트가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구분되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데크(210)의 상부의 컨테이너(240) 적재 영역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는 데크(210) 상에 설치되는 제 2 바닥 플레이트와, 컨테이너 선박(200)의 길이 방향으로 컨테이너(240)의 길이 간격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격벽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210)의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240)의 사이에는 컨테이너(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라싱 브리지(28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라싱 브리지(280)의 선수 및 선비 방향으로 형성된 양면에 제 2 격벽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라싱 브리지(280)에도 홀드(220)의 격벽과 같이 컨테이너(240)를 적재하기 위한 셀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셀가이드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제 2 격벽 플레이트가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구분되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200)에는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 및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에 전달되는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전기 생성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전기 생성부는 선박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발전기일 수 있으며,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 및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는 추가 발전기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 및 보관하는 축전지일 수 있으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 부재일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전기 생성부가 태양광 발전 부재일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서 설명한다.
데크(210)의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240) 중 최상위 컨테이너의 상부면에는 태양광 발전 부재(270)가 패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부재(270)는 도시 생략된 전기 설비(즉, 전선, 축전지, 전기 회로 등)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발생된 전기를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 및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로 공급할 수 있고, 잉여 전기는 축전지에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전기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부재(270)의 설치로 인해 별도의 전력 공급처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추가 전력이 생산되면 축전지에 저장한 후 다른 전기 수요처에 공급함으로써, 잉여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선박의 홀드 내부에 구비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데크(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홀드(220)에는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 개의 격벽(221, 22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선수측 격벽(221)과 선미측 격벽(222)의 사이에는 컨테이너(240)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선수측 격벽(221)과 선미측 격벽(222)은 컨테이너(240)의 폭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에 따라 컨테이너(240)의 용이한 적재를 안내하는 셀가이드(223)를 구비할 수 있다.
셀가이드(223)로 구분된 선수측 격벽(221)과 선미측 격벽(222)의 마주보는 벽면에는 제 1 격벽 플레이트(25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 1 격벽 플레이트(251)는 접착제, 볼트 등과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격벽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닥 플레이트(252)는 홀드(22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바닥 플레이트(252)는 접착제 등과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홀드(220)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적재되는 컨테이너(240)의 꼭지점 부위에는 적재되는 컨테이너(240) 간의 체결을 위한 트위스트락(241)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트위스트락(241)은 종래의 트위스트락과 같이 컨테이너 간의 결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는 태양광 발전 부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테이너(240)의 적재 시 태양광 발전 부재(270) 또는 축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는 홀드(220)의 내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240)를 고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홀드(220)에 구비되는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는 제 1 격벽 플레이트(251)와 제 1 바닥 플레이트(2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는 컨테이너(240)가 홀드(220)에 적재될 때, 태양광 발전 부재(270) 또는 축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은 화살표 방향으로 컨테이너(240)를 잡아 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적재된 컨테이너(240)를 고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테이너(240)의 적재량 등에 따라 전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컨테이너(240)를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에 효과적으로 고박시킬 수 있다. 물론, 컨테이너(240)는 트위스트락(241)을 이용하여 서로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선박의 데크 상에 구비되는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데크(210) 상부의 컨테이너(240)의 적재 영역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는 컨테이너 선박(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라싱 브리지(280)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형성된 양면에 설치되는 제 2 격벽 플레이트(261)와 데크(210) 상에 설치되는 제 2 바닥 플레이트(262)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210)의 상부에는 컨테이너(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라싱 브리지(28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라싱 브리지(280)의 양측면에 각각 제 2 격벽 플레이트(261)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 2 격벽 플레이트(261)는 라싱 브리지(280) 없이도 별도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여 컨테이너(240)의 길이 방향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는 컨테이너(240)가 데크(210)의 적재 영역에 적재될 때, 태양광 발전 부재(270) 또는 축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은 화살표 방향으로 컨테이너(240)를 잡아 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적재된 컨테이너(240)를 고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테이너(240)의 적재량 등에 따라 전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컨테이너(240)를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에 효과적으로 고박시킬 수 있다. 물론, 컨테이너(240)는 트위스트락(241)을 이용하여 서로 결속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선박(200)은 전자석을 이용한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250) 및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260)를 이용하여 적재된 컨테이너(240)를 고박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라싱바를 이용한 컨테이너(240)의 고박 방법에 소요되는 시수를 절감할 수 있고, 컨테이너(240)의 적재량에 대응하여 전류 세기를 조절하여 고박 강도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적재된 컨테이너(240)를 용이하게 고박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선박(200)의 상하 동요(pitching)를 센싱하여 선수 및 선미 방향의 쏠림 현상에 따라 선수측 격벽 플레이트와 선미측 격벽 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조절(즉, 쏠리는 부분에 전류 감소, 반대측에 전류 증가)함으로써, 적재된 컨테이너(240)를 안정적으로 고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200 : 컨테이너 선박 210 : 데크
220 : 홀드 230 : 거주구
240 : 컨테이너 250 :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
260 :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 270 : 태양광 발전 부재
280 : 라싱 브리지

Claims (9)

  1. 데크의 하부에 마련되는 홀드의 바닥면과 벽면에 격벽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홀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와,
    상기 데크의 상부면과 라싱 브리지에 격벽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데크의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와,
    상기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 및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에 공급되는 전기를 생성하는 전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적재량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조정하며, 상하 동요(pitching)를 센싱하여 쏠리는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제1 공급 전류를 감소시키고, 반대측 격벽 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제2 공급 전류를 증가시켜 상기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석 고박 부재는,
    상기 홀드의 선수측 격벽 및 선미측 격벽의 마주보는 벽면에 복수 개 부착되는 제 1 격벽 플레이트와,
    상기 홀드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제 1 바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석 고박 부재는,
    상기 라싱 브리지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형성된 양면에 설치되는 제 2 격벽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제 2 바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생성부는, 태양광 발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 중 최상위 위치에 있는 컨테이너 상부면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선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트위스트 락을 통해 서로 결속되는
    컨테이너 선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해치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8. 삭제
  9. 삭제
KR1020100136452A 2010-12-28 2010-12-28 컨테이너 선박 KR101258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52A KR101258924B1 (ko) 2010-12-28 2010-12-28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52A KR101258924B1 (ko) 2010-12-28 2010-12-28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73A KR20120074573A (ko) 2012-07-06
KR101258924B1 true KR101258924B1 (ko) 2013-04-29

Family

ID=4670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452A KR101258924B1 (ko) 2010-12-28 2010-12-28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1527A1 (en) * 2018-08-22 2020-02-27 Trent Zimmer Automated cargo transfe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414A (ko) * 2013-07-10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선박의 상부구조물 및 이를 갖는 부유식 선박
KR20170019991A (ko) 2015-08-13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의 라싱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3172A (ja) * 1988-02-10 1989-08-25 Toshiba Corp 運搬用容器
WO1998037002A1 (en) * 1997-02-19 1998-08-27 Coste Lee A Cargo transport electromagnet positioning system for containers
JP2001010671A (ja) 1999-06-28 2001-01-16 Shunnan Kasei Kk 包装容器
JP2009161032A (ja) * 2007-12-28 2009-07-23 Shinyo Industries Co Ltd 船舶搭載の自然エネルギー及び既存動力利用の混合発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3172A (ja) * 1988-02-10 1989-08-25 Toshiba Corp 運搬用容器
WO1998037002A1 (en) * 1997-02-19 1998-08-27 Coste Lee A Cargo transport electromagnet positioning system for containers
JP2001010671A (ja) 1999-06-28 2001-01-16 Shunnan Kasei Kk 包装容器
JP2009161032A (ja) * 2007-12-28 2009-07-23 Shinyo Industries Co Ltd 船舶搭載の自然エネルギー及び既存動力利用の混合発電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1527A1 (en) * 2018-08-22 2020-02-27 Trent Zimmer Automated cargo transfer system
US11021348B2 (en) 2018-08-22 2021-06-01 Trent Zimmer Automated cargo transf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73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EA001289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 с агрегатом тележки на палубе
CN102395507A (zh) 船舶
KR101258924B1 (ko) 컨테이너 선박
GB2463098A (en) Shipping container with photovoltaic panel
JP2012001152A (ja) 太陽光発電パネル及びコンテナ船
CN104010938B (zh) 带有用于集装箱的堆装装置的船舶
CN105644723B (zh) 集装箱船
TWI688518B (zh) 用於支撐在貨船的甲板上待運輸之貨櫃的設備
KR102525152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130084446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KR102432768B1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KR20130090561A (ko) 적재량 증대형 컨테이너선
KR2015001151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30000742A (ko) 박막형 액화천연가스선의 너클형 강력갑판
US874705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cean freight transportation
KR20210072892A (ko) 래싱 브리지
KR20120002214A (ko) 액화연료탱크를 갖는 컨테이너선
KR102605680B1 (ko) 래싱 브리지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KR20100073587A (ko) 컨테이너 선박
KR102605873B1 (ko) 래싱 브리지
KR102605867B1 (ko) 래싱 브리지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WO2008007885A1 (en) Freight container for car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