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721B1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721B1
KR102549721B1 KR1020180083043A KR20180083043A KR102549721B1 KR 102549721 B1 KR102549721 B1 KR 102549721B1 KR 1020180083043 A KR1020180083043 A KR 1020180083043A KR 20180083043 A KR20180083043 A KR 20180083043A KR 102549721 B1 KR102549721 B1 KR 102549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ce
hull
container ship
bow
resistanc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859A (ko
Inventor
황태건
강영섭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7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859A/ko
Priority to KR1020220118316A priority patent/KR2022013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2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using aerodynamic elements, e.g. aerofoils producing a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상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중유 탱크(30); 상기 선체(10)의 상기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저항 저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는 라운드 형상 또는 너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거주구와 선박 연료용 중유 탱크를 선수에 배치하여 컨테이너를 최대한 적재하면서도 전방 시야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컨테이너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 선체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Torsional moment)이 증가한다. 이러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1002) 내에 컨테이너 선박의 중심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측부가 양쪽 선박 이중 쉘(1003.1, 1003.2)과 각각 연결되고 하측이 선박 이중 바닥(1003.3)과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1005)가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비틀림 강성의 증대에 효과적인 위치로 화물창(1004) 길이의 절반 영역에 안정화 장치(1005)를 설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안정화 장치(1005)는 선박의 연료 탱크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정화 장치(1005)의 상부에는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와 연료 탱크를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비틀림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과도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선체의 과도한 비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선창 덮개가 선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선체가 항복 또는 피로 파괴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경우 컨테이너 선박의 거주구가 배치되는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고, 거주구의 하측도 연료 탱크가 배치되므로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컨테이너 선박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거주구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지만, 선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거주구의 전방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게 되는 경우 컨테이너가 거주구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게 되므로, 컨테이너를 거주구의 전방에 충분히 적재할 수는 없는 추가의 문제점도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57003호 (2006. 05. 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를 최대한 적재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함과 아울러 공기저항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거주구의 전방 시야도 확보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상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중유 탱크(30), 상기 선체(10)의 상기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저항 저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는 라운드 형상 또는 너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주구(20)와 상기 중유 탱크(30) 사이에 위치하는 횡 동요 감쇄 탱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유 탱크(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추진 보조 장치 룸(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진 보조 장치 룸(110)에서 상기 선미 방향으로 위치하는 유지 보수 룸(120) 및 상기 유지 보수 룸(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해치(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보수 룸(120)의 상부는 카고 홀드의 하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선수에 설치된 불워크(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는 상기 불워크(14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의 높이는 상기 거주구(20)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워크(140)에 설치되는 무어링 초크(151) 및 상기 무어링 초크(151)를 덮는 초크 덮개(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워크(140)에 형성되는 관측구(141) 및 상기 관측구(141)를 덮는 관측구 덮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주구(20)의 측면으로 돌출된 브릿지 윙(21). 상기 거주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라이트(161) 및 상기 브릿지 윙(21)에 위치하는 제2 라이트(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윙(21)에 위치하는 제2 저항 저감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거주구를 선체의 선수에 최적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의 적재량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거주구의 전방 시야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를 선체의 선수에 위치시킴으로써, 포어 마스트(foremast)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선수에 제1 저항 저감부 및/또는 제2 저항 저감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불워크에 설치된 정박용 초크에 초크 덮개를 설치하고, 불워크에 설치된 관측구에 관측구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와 중유 탱크 사이에 횡 동요 감쇄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횡 동요(parametric roll)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선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선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선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불워크에 설치되는 초크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선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저항 저감부의 형상과 크기별 저항저감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경우 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선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복수개의 컨테이너(1)를 선적하는 선체(10),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그리고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중유 탱크(Heavy Fuel Oil tank, HFO tank)(3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최전방인 선수(11) 및 최후방인 선미를 가진다.
거주구(20)는 선수(11)에 설치된 선수 격벽(11a)의 후방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후방'은 선체(10)의 선수(11)에서 선미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거주구(20)는 선수 격벽(11a)으로부터 선미를 향하는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의 후측에 '근접'하는 것은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으로부터 선체(10)의 후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거주구(20)와 선수 격벽(11a) 사이에 컨테이너(1)가 적재되지 않는다.
한편, 선수(11)의 상측 영역 중에서, 거주구(20)의 전방에는 컨테이너(1)가 적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방'은 선체(10)의 선미에서 선수(1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거주구(20)로부터 선수(11)를 향하는 방향에는 컨테이너(1)가 적재되지 않으므로, 거주구(20) 내의 선원은 적재된 컨테이너(1)에 의해 전방 시야가 방해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거주구(20)를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시킴으로써, 선체(10)의 중앙부에 컨테이너(1)를 적재할 수 있고,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20)를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시킴으로써, 포어 마스트(foremast)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유 탱크(30)는 중유(Heavy Fuel Oil, HFO)를 담고 있는 탱크이다. 이러한 중유 탱크(30)는 선체(10)의 선수(11)에서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선체(10)의 중앙부의 하측 공간에도 컨테이너(1)를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주구(20)를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시키고, 거주구(20)의 아래에 중유 탱크(30)를 위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1)의 적재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즉, 거주구(20)가 선체(1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구조 대비하여 대략 3,800 ~ 4,000 TEU의 컨테이너(1)를 더 적재할 수 있다.
거주구(20)와 중유 탱크(30) 사이에는 횡 동요 감쇄 탱크(5, Anti Rolling Tank)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갑판 위로 컨테이너(1)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선박(2)은 무게 중심이 높게 형성되므로, 횡 동요에 의해 전복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U자형 등의 유체 탱크(water tank)인 횡 동요 감쇄 탱크(5)를 거주구(20)와 중유 탱크(3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횡 동요 감쇄 탱크(5) 내부의 유체의 유동에 따른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횡 동요를 감쇄 시킬 수 있다.
횡 동요 감쇄 탱크(5)와 중유 탱크(30) 사이에는 빈 공간(P)이 위치할 수 있다. 중유 탱크(30)에는 긴급 상황을 대비하여 선원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접근 박스(Access trunk)(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박스(31)는 빈 공간(P)과 연결될 수 있다.
중유 탱크(30)의 하부에는 추진 보조 장치(Thruster)가 설치되는 추진 보조 장치 룸(Thruster room)(11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추진 보조 장치 룸(110)에서 선미 방향으로 인접하여 유지 보수 룸(120)이 위치할 수 있다. 유지 보수 룸(120)을 통해서 추진 보조 장치 룸(110)으로 직접 이동하여 추진 보조 장치를 정비할 수 있다.
이 때, 선원의 이동을 위해 유지 보수 룸(120)의 상부에 해치(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 보수 룸(120)의 상부는 카고 홀드(cargo hold)의 하부(130)일 수 있다.
한편, 거주구(20)가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함으로써,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0)의 선수(11)에 제1 저항 저감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저항 저감부(50)는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항 저감부(50)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각각 연결되어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저항 저감부(50)의 형상은 라운드(round) 형상이거나 너클(knuckle) 타입이며, 제1 저항 저감부(50)의 높이(h1)는 후방에 위치하는 거주구(20)의 높이(h2)보다 낮을 수 있다.
도 7에는 제1 저항 저감부(50)의 형상과 크기에 따른 저항감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파란색의 막대는 BF(Beaufort) 4, 바람의 입사각 0~30도 경우의 평균을 의미하고, 적색의 막대는 BF(Beaufort) 5, 바람의 입사각 0~30도 경우의 평균을 의미하며, 녹색의 막대는 BF(Beaufort) 6, 바람의 입사각 0~30도 경우의 평균을 의미한다. 총 4가지의 경우를 나누어 테스트 한 결과이며, 제1 저항 저감부(50)의 형상을 너클형 또는 라운드형으로 하는 경우와 제1 저항 저감부(50)의 후방에 위치하는 거주구(20)를 전체적으로 덮을 것인가 또는 부분적으로 덮을 것인가를 나누어 테스트한 결과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항 저감부(50)의 형상이 너클형인 경우보다는 라운드형일 경우와, 제1 저항 저감부(50)의 후방에 위치하는 거주구(20)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 보다는 전체적으로 덮을 경우가 전체 저항의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항감소 측면에서만 살펴볼 경우 제1 저항 저감부(50)의 후방에 위치하는 거주구(20)를 전체적으로 덮는 경우가 가장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이 경우 제1 저항 저감부(50)의 크기가 커짐과 아울러 중량의 증가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실선 건조의 측면에서 크기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건조비용과 이에 따른 중량을 고려할 때 제1 저항 저감부(50)는 그 후방에 위치하는 거주구(50)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항 저감부(50)는 컨테이너 선박의 항주 중 공기, 물, 바람에 의한 저항을 막거나 감소시켜서 컨테이너 선박의 연비를 증가시키고, 컨테이너 선박의 최고 속도 저하를 방지하거나, 컨테이너 선박의 조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저항 저감부(50)는 컨테이너(1)가 적재될 수 없는 빈 공간인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체(10)의 선수(11)에는 선원의 갑판 위 안전한 통행을 위해 충분한 수직 공간을 마련하는 불워크(Bulwark)(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불워크(140)는 후술하는 무어링 장비를 설치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2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제1 저항 저감부(50)를 불워크(140)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파도가 갑판 위로 직접 올라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의 저항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선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불워크에 설치되는 초크 덮개의 사시도이다.
선체(10)에는 선박이 항구에 계류할 수 있도록  무어링  로프(Mooring rope)(154)를 감기 위한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155), 무어링 초크(Mooring chock)(151) 등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워크(140)에는 무어링 로프(154)가 감겨지는 무어링 초크(Mooring chock)(1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무어링 초크(151)는 공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어링 초크(151)를 덮는 초크 덮개(152)를 설치할 수 있다. 초크 덮개(152)는 무어링 초크(151)에 의한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불워크(140)에는 선원이 무어링 동작을 관측하기 위한 관측구(Watching hole)(1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측구(141)도 공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관측구(141)에 의한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측구(141)를 덮는 관측구 덮개(142)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주구(20)는 그 측면으로 돌출된 브릿지 윙(bridge wing)(21)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 윙(21)은 승무원들이 이 곳을 통하여 거주구(20)의 측방으로 걸어나가 컨테이너 선박(2)의 측면부와 안벽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브리지 윙(21)은 컨테이너 선박(2)의 도킹과 입항을 비롯하여 운항이 어려운 지역에서 선원의 적정 시야를 확보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선박에 대한 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브릿지 윙(21)에는 제2 저항 저감부(6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저항 저감부(60)의 측면은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저항 저감부(60)는 컨테이너 선박(2)의 운항 시 공기의 저항을 강하게 받는 브릿지 윙(21)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선수(11)에서 포어 마스트(foremast)가 제거됨으로써, 선수(11)의 조명이 어두워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거주구(20)의 상부에 제1 라이트(16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의 조명을 보완하기 위해 브릿지 윙(21)에는 제2 라이트(162)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저항 저감부(50)의 높이(h1)는 거주구(20)의 높이(h2)보다 낮았으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저항 저감부(50)의 높이(h1)가 거주구(20)의 높이(h2)보다 높은 다른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항 저감부(50)의 형상은 라운드 형상이거나 너클 타입이며, 제1 저항 저감부(50)의 높이(h1)는 후방에 위치하는 거주구(20)의 높이(h2)와 같거나 그보다 높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선체 20: 거주구
30: 중유 탱크 50: 제1 저항 저감부
60: 제2 저항 저감부 110: 추진 보조 장치 룸
120: 유지 보수 룸 140: 불워크
141: 관측구 142: 관측구 덮개
151: 무어링 초크 152: 초크 덮개
161: 제1 라이트 162: 제2 라이트

Claims (10)

  1.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상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중유 탱크(30); 및
    상기 선체(10)의 상기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저항 저감부(5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는 라운드 형상 또는 너클 타입이고,
    상기 거주구(20) 및 상기 중유 탱크(30)는 상기 선체(10)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선수(11)로 이동 배치시켜 컨테이너의 추가 적재량을 확보하되,
    상기 선체(10)의 횡동요 감쇄를 위해, 상기 거주구(20)와 상기 중유 탱크(30) 사이에는 횡 동요 감쇄 탱크(5)를 설치하고,
    상기 거주구(20)의 전방에는 상기 컨테이너 및 포어마스트가 설치되지 않으며,
    상기 거주구(20)의 전방에 상기 포어마스트가 설치되지 않아 어두워진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거주구(20)의 상부에 제1 라이트(16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유 탱크(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추진 보조 장치 룸(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보조 장치 룸(110)에서 선미 방향으로 위치하는 유지 보수 룸(120); 및
    상기 유지 보수 룸(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해치(131);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보수 룸(120)의 상부는 카고 홀드의 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수에 설치된 불워크(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는 상기 불워크(140)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의 높이는 상기 거주구(20)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워크(140)에 설치되는 무어링 초크(151); 및
    상기 무어링 초크(151)를 덮는 초크 덮개(15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워크(140)에 형성되는 관측구(141); 및
    상기 관측구(141)를 덮는 관측구 덮개(14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20)의 측면으로 돌출된 브릿지 윙(21); 및
    상기 브릿지 윙(21)에 위치하는 제2 라이트(16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윙(21)에 위치하는 제2 저항 저감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20180083043A 2018-07-17 2018-07-17 컨테이너 선박 KR102549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43A KR102549721B1 (ko) 2018-07-17 2018-07-17 컨테이너 선박
KR1020220118316A KR20220132502A (ko) 2018-07-17 2022-09-20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43A KR102549721B1 (ko) 2018-07-17 2018-07-17 컨테이너 선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316A Division KR20220132502A (ko) 2018-07-17 2022-09-20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59A KR20200008859A (ko) 2020-01-29
KR102549721B1 true KR102549721B1 (ko) 2023-06-30

Family

ID=693224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43A KR102549721B1 (ko) 2018-07-17 2018-07-17 컨테이너 선박
KR1020220118316A KR20220132502A (ko) 2018-07-17 2022-09-20 컨테이너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316A KR20220132502A (ko) 2018-07-17 2022-09-20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9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5153A (zh) * 2022-09-23 2022-12-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拆卸式集装箱船减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90A (ja) * 1997-07-14 1999-02-02 Nkk Corp 船舶の居住区形状
DE10340715A1 (de) 2003-09-04 2005-04-14 Aker Mtw Werft Gmbh Stabilisierungseinrichtung für PanMax Containerschiffe
KR20140106110A (ko) * 2013-02-26 2014-09-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선수 커버유닛
KR102612424B1 (ko) * 2016-07-21 2023-12-12 한화오션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2651088B1 (ko) * 2016-12-28 2024-03-26 한화오션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선박의 배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59A (ko) 2020-01-29
KR20220132502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785B2 (en) Ship
CN111572701B (zh) 双体型船舶
KR102609251B1 (ko) 컨테이너 선박
US9463848B2 (en)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CN101519112B (zh) 高速高海况工作、救助两用艇
KR20220131211A (ko) 컨테이너 선박
CN1465500A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KR2023005835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220132502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00092876A (ko) 선박
KR20060057003A (ko) 컨테이너선
KR101757274B1 (ko) 로우어 카고 홀드 침수 방지용 수밀 장치를 구비한 선박
CN2574992Y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CN110949611A (zh) 一种系泊装置、船舶及该系泊装置的布置方法
WO2015140823A2 (en) A modified deck cell-guide system for deck stowage of containers
CN211943655U (zh) 一种系泊装置及船舶
WO2018099906A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FI124857B (fi) Vesialus
CN210116622U (zh) 一种可伸缩式减摇装置
CN109803882A (zh) 具有水密壁的船舶
CN210116623U (zh) 一种可伸缩式减摇设备
US10822060B1 (en) Multi hull vessel with mechanical systems to facilitate safe transfer of cargo by crane to and from vessel in high waves
DK179427B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