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251B1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251B1
KR102609251B1 KR1020220117567A KR20220117567A KR102609251B1 KR 102609251 B1 KR102609251 B1 KR 102609251B1 KR 1020220117567 A KR1020220117567 A KR 1020220117567A KR 20220117567 A KR20220117567 A KR 20220117567A KR 102609251 B1 KR102609251 B1 KR 10260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tank
container ship
accommodation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150A (ko
Inventor
육순민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2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using aerodynamic elements, e.g. aerofoils producing a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선체(10),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연료탱크, 선체(10)의 선미(12)에 위치하는 엔진룸(70), 엔진룸(70)에 위치하는 엔진(71), 및 엔진룸(7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연료탱크를 포함하고, 거주구(20) 및 제1 연료탱크는 선체(10)의 중앙부로부터 선수(11)로 이동 배치시켜 컨테이너의 추가 적재량을 확보하되, 거주구(20) 및 제1 연료탱크가 선수(11)로 이동 배치됨에 따라 선체(10)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거주구(20)와 선체(10)의 중앙부 사이에는 토션박스로 기능하는 제3 연료탱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거주구와 선박 연료용 중유 탱크를 선수에 배치하여 컨테이너를 최대한 적재하면서도 전방 시야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컨테이너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 선체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Torsional moment)이 증가한다. 이러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1002) 내에 컨테이너 선박의 중심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측부가 양쪽 선박 이중 쉘(1003.1, 1003.2)과 각각 연결되고 하측이 선박 이중 바닥(1003.3)과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1005)가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비틀림 강성의 증대와 캠버링의 방지에 효과적인 위치로 화물창(1004) 길이의 절반 영역에 안정화 장치(1005)를 설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안정화 장치(1005)는 선박의 연료 탱크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정화 장치(1005)의 상부에는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와 연료 탱크를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비틀림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과도한 선체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선체의 과도한 비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선창 덮개가 선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선체가 항복 또는 피로 파괴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경우 컨테이너 선박의 거주구가 배치되는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고, 거주구의 하측도 연료 탱크가 배치되므로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컨테이너 선박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거주구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지만, 선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거주구의 전방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게 되는 경우 컨테이너가 거주구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게 되므로, 컨테이너를 거주구의 전방에 충분히 적재할 수는 없는 추가의 문제점도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57003호 (2006. 05. 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를 최대한 적재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함과 아울러 공기저항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거주구의 전방 시야도 확보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화 천연 가스를 연료로 하여 추진할 수 있는 친환경적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상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연료탱크; 상기 선체(10)의 선미(12)에 위치하는 엔진룸(70); 상기 엔진룸(70)에 위치하는 엔진(71); 및 상기 엔진룸(7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연료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거주구(20) 및 상기 제1 연료탱크는 상기 선체(10)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선수(11)로 이동 배치시켜 컨테이너의 추가 적재량을 확보하되, 상기 거주구(20) 및 상기 제1 연료탱크가 상기 선수(11)로 이동 배치됨에 따라 상기 선체(10)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주구(20)와 상기 선체(10)의 중앙부 사이에는 토션박스로 기능하는 제3 연료탱크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료탱크는 중유 탱크(30)이고, 상기 제2 연료탱크는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이며, 상기 엔진(71)은 중유와 액화 천연 가스를 모두 사용하는 이원 연료 엔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료탱크는 상기 선체(10)의 길이의 3/4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료탱크는 보조 중유 탱크(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룸(6), 건조 파우더 룸(7), 질소 룸(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와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 룸(6), 건조 파우더 룸(7), 질소 룸(8) 사이에 위치하는 코퍼댐(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주구(20)와 상기 제1 연료탱크 사이에 위치하는 제4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탱크는 횡 동요 감쇄 탱크(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제1 저항 저감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는 상기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주구(20)의 측면으로 돌출된 브릿지 윙(21), 및 상기 브릿지 윙(21)에 위치하는 제2 저항 저감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저항 저감부(60)의 측면은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거주구를 선체의 선수에 최적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의 적재량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거주구의 전방 시야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선수에 제1 저항 저감부 및/또는 제2 저항 저감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중앙부에서 거주구 사이에 보조 중유 탱크를 위치시킴으로써 선체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액화 천연 가스 연료 공급시스템을 적용하여 친환경적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와 중유 탱크 사이에 횡 동요 감쇄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횡 동요(parametric roll)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선수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거주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보조 중유 탱크의 설치위치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보조 중유 탱크의 설치위치에 따른 해치커버 움직임(Hatch cover movement)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경우 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복수개의 컨테이너(1)를 선적하는 선체(10),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그리고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중유 탱크(Heavy Fuel Oil tank, HFO tank)(3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최전방인 선수(11) 및 최후방인 선미(12)를 가진다.
거주구(20)는 선수(11)에 설치된 선수 격벽(11a)의 후방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여기서,‘후방’은 선체(10)의 선수(11)에서 선미(12)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거주구(20)는 선수 격벽(11a)으로부터 선미(12)를 향하는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의 후측에 ‘근접’하는 것은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으로부터 선체(10)의 후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주구(20)가 선수 격벽(11a)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거주구(20)와 선수 격벽(11a) 사이에 컨테이너(1)가 적재되지 않는다.
한편, 선수(11)의 상측 영역 중에서, 거주구(20)의 전방에는 컨테이너(1)가 적재되지 않는다. 여기서,‘전방’은 선체(10)의 선미(12)에서 선수(1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거주구(20)로부터 선수(11)를 향하는 방향에는 컨테이너(1)가 적재되지 않으므로, 거주구(20) 내의 선원은 적재된 컨테이너(1)에 의해 전방 시야가 방해 받지 않는다.
또한, 거주구(20)를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시킴으로써, 항해등 등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포어마스트(foremast)를 삭제할 수 있어 작업자의 통행과 작업 시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종래 포어마스트 배치에 따른 진동 보강이나 타 의장품 배치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주구(20)를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시킴으로써, 선체(10)의 중앙부에 컨테이너(1)를 적재할 수 있고,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중유 탱크(30)는 중유(Heavy Fuel Oil, HFO)를 담고 있는 탱크이다. 이러한 중유 탱크(30)는 선체(10)의 선수(11)에서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선체(10)의 중앙부의 하측 공간에도 컨테이너(1)를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주구(20)를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시키고, 거주구(20)의 아래에 중유 탱크(30)를 위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1)의 적재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즉, 거주구(20)가 선체(1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구조 대비하여 대략 3,800 ~ 4,000 TEU의 컨테이너(1)를 더 적재할 수 있다.
한편, 거주구(20)가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함으로써,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0)의 선수(11)에 제1 저항 저감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저항 저감부(50)는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항 저감부(50)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각각 연결되어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항 저감부(50)는 컨테이너 선박(2)의 항주 중 공기, 물, 바람에 의한 저항을 막거나 감소시켜서 컨테이너 선박(2)의 연비를 증가시키고, 컨테이너 선박(2)의 최고 속도 저하를 방지하거나, 컨테이너 선박(2)의 조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저항 저감부(50)는 컨테이너(1)가 적재될 수 없는 빈 공간인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주구(20)는 그 측면으로 돌출된 브릿지 윙(bridge wing)(21)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 윙(21)은 승무원들이 이 곳을 통하여 거주구(20)의 측방으로 걸어 나가 컨테이너 선박(2)의 측면부와 안벽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브리지 윙(21)은 컨테이너 선박(2)의 도킹과 입항을 비롯하여 운항이 어려운 지역에서 선원의 적정 시야를 확보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선박에 대한 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브릿지 윙(21)에는 제2 저항 저감부(6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저항 저감부(60)의 측면은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저항 저감부(60)는 컨테이너 선박(2)의 운항 시 공기의 저항을 강하게 받는 브릿지 윙(21)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선체(10)의 선미(12)에는 엔진룸(70)이 위치하고, 엔진룸(70)과 거주구(20) 사이에는 보조 중유 탱크(80)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중유 탱크(80)는 선체(10) 중앙부에서 선수 격벽(1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체(10)의 길이의 3/4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를 통해, 선체(10)의 비틀림(Torsion)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거주구가 선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거주구와 그 하부의 중유 탱크가 선체의 비틀림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거주구(20)가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선체(10)의 비틀림(Torsion)에 취약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체(10)의 길이의 3/4 위치에 보조 중유 탱크(80)를 설치함으로써, 선체(10)의 비틀림을 일부 보상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보조 중유 탱크(80)는 선체(10)의 길이의 3/4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선체의 대략 중앙부에 거주구와 중유 탱크가 위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10)의 선수(11)에 거주구(20)가 위치하며, 거주구(20) 아래에는 중유 탱크가(30) 위치하고, 선체(10) 길이의 대략 3/4 위치에 보조 중유 탱크(80)가 위치하게 된다.
선박의 룰에 따라 해치커버 움직임(Hatch cover movement)의 허용 가능한 범위(allowable H/C Pad Movement)는 최대 120 mm인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경우 변형값(deformation)이 120 mm 미만의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박의 룰을 만족하는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 대비 대략 3,800 ~ 4,000 TEU의 컨테이너를 더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비교예의 경우 카고 홀드(Cargo Hold) 사이에 HFO 탱크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국부적으로 스캔틀링(scantling)을 추가적으로 증가시켜 선체(10)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거주구(20)가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경우에, 선체(10)의 중앙부의 피로 수명(Fatigue life)은 약 20%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2)은 엣지 트리트먼트(edge treatment)를 통해 피로 수명을 보상할 수 있다.
한편, 엔진룸(70)의 전방에는 액화 천연 가스 탱크(LNG tank)(9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룸(70)에는 이원 원료 엔진(71)이 위치할 수 있다. 이원 원료 엔진은 중유(Heavy Fuel Oil, HFO)와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2)은 중유와 액화 천연 가스를 모두 연료로 하여 운행할 수 있어,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배출가스 규제를 만족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다.
이러한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의 상부에는 엔진(71)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Fuel Gas Supply System) 룸(6), 소화물질을 보관하는 건조 파우더(Dry Powder) 룸(7), 연료 탱크 또는 공급 배관의 가스 제거 시 사용되는 질소 가스를 보관하는 질소(N2) 룸(8)이 위치할 수 있다.
건조 파우더 룸(7)에는 소화 물질인 건조 파우더를 보관하는 별도 공간으로, 컨테이너 선박은 건조 화물을 운반하므로, 일반 액화유 운송선과 달리 드라이 파우더를 적재할 공간이 따로 없으므로, 액화 천연 가스 탱크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질소 룸(8)은 불연성 가스인 질소 가스를 보관하는 공간으로, 질소 가스는 연료 탱크나 공급 배관에 잔존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 배기 단계(purging) 나 비활성 가스로 채워지는 단계(inerting)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와 연료 공급 시스템 룸(6), 건조 파우더 룸(7), 질소 룸(8) 사이에는 코퍼댐(Cofferdam)(9)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공급 시스템 룸(6), 건조 파우더 룸(7), 질소 룸(8)을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공급 시스템 룸, 건조 파우더 룸, 그리고 질소 룸 만을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룸(Room)이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거주구(20)와 중유 탱크(30) 사이에는 위치하는 횡 동요 감쇄 탱크(5, Anti Rolling Tank)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갑판 위로 컨테이너(1)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선박(2)은 무게 중심이 높게 형성되므로, 횡 동요에 의해 전복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U자형 등의 유체 탱크(water tank)인 횡 동요 감쇄 탱크(5)를 거주구(20)와 중유 탱크(3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횡 동요 감쇄 탱크(5) 내부의 유체의 유동에 따른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횡 동요를 감쇄 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선체 20: 거주구
30: 중유 탱크 50: 제1 저항 저감부
60: 제2 저항 저감부 70: 엔진룸
80: 보조 중유 탱크 90: 액화 천연 가스 탱크

Claims (12)

  1.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거주구(20);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며 상기 거주구(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연료탱크;
    상기 선체(10)의 선미(12)에 위치하는 엔진룸(70);
    상기 엔진룸(70)에 위치하는 엔진(71); 및
    상기 엔진룸(7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연료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거주구(20) 및 상기 제1 연료탱크는 상기 선체(10)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선수(11)로 이동 배치시켜 컨테이너의 추가 적재량을 확보하되,
    상기 거주구(20) 및 상기 제1 연료탱크가 상기 선수(11)로 이동 배치됨에 따라 상기 선체(10)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주구(20)와 상기 선체(10)의 중앙부 사이에는 토션박스로 기능하는 제3 연료탱크를 설치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탱크는 중유 탱크(30)이고,
    상기 제2 연료탱크는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이며,
    상기 엔진(71)은 중유와 액화 천연 가스를 모두 사용하는 이원 연료 엔진인 컨테이너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료탱크는 상기 선체(10)의 길이의 3/4 지점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료탱크는 보조 중유 탱크(80)인 컨테이너 선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룸(6), 건조 파우더 룸(7), 질소 룸(8)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탱크(90)와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 룸(6), 건조 파우더 룸(7), 질소 룸(8) 사이에 위치하는 코퍼댐(9)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20)와 상기 제1 연료탱크 사이에 위치하는 제4 탱크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탱크는 횡 동요 감쇄 탱크(5)인 컨테이너 선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0)의 선수(11)에 위치하는 제1 저항 저감부(50)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저감부(50)는 상기 거주구(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유선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20)의 측면으로 돌출된 브릿지 윙(21), 및
    상기 브릿지 윙(21)에 위치하는 제2 저항 저감부(60)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 저감부(60)의 측면은 유선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
KR1020220117567A 2018-06-08 2022-09-19 컨테이너 선박 KR10260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67A KR102609251B1 (ko) 2018-06-08 2022-09-19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67A KR102524979B1 (ko) 2018-06-08 2018-06-08 컨테이너 선박
KR1020220117567A KR102609251B1 (ko) 2018-06-08 2022-09-19 컨테이너 선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67A Division KR102524979B1 (ko) 2018-06-08 2018-06-08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50A KR20220133150A (ko) 2022-10-04
KR102609251B1 true KR102609251B1 (ko) 2023-12-01

Family

ID=690524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67A KR102524979B1 (ko) 2018-06-08 2018-06-08 컨테이너 선박
KR1020220117567A KR102609251B1 (ko) 2018-06-08 2022-09-19 컨테이너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67A KR102524979B1 (ko) 2018-06-08 2018-06-08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4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39B1 (ko) * 2020-08-24 2021-12-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13200126A (zh) * 2021-06-18 2021-08-03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438teu高能效江海直达集装箱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0715A1 (de) 2003-09-04 2005-04-14 Aker Mtw Werft Gmbh Stabilisierungseinrichtung für PanMax Containerschiffe
KR20160120177A (ko) * 2015-04-07 2016-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612424B1 (ko) * 2016-07-21 2023-12-12 한화오션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1858509B1 (ko) * 2016-07-22 2018-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및 그 배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50A (ko) 2022-10-04
KR102524979B1 (ko) 2023-04-24
KR20190139430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251B1 (ko) 컨테이너 선박
KR20220131211A (ko) 컨테이너 선박
JP7193250B2 (ja) 船舶
KR20100069982A (ko) 기관실 구역과 분리, 이격배치된 거주구를 가지는 컨테이너선박
KR20150082929A (ko) Lng 연료탱크가 구비된 벌크선
KR20130018333A (ko) 선박
KR2023005835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00092876A (ko) 선박
KR102139041B1 (ko) 선박의 거주 구역 구조 및 화물 운반선
KR20220132502A (ko) 컨테이너 선박
KR20060057003A (ko) 컨테이너선
JP2018134923A (ja) 車両運搬船
WO2014013584A1 (ja) 船舶
KR20060056947A (ko) 해양 선박용 가스 팽창 트렁크
JP2012153334A (ja) 船舶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KR102434966B1 (ko) 선박
KR101411494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KR20190058900A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JP2002316688A (ja) 貨物船
JP7355461B2 (ja) 液化ガス燃料船
WO2023199859A1 (ja) 船舶
JP5201804B2 (ja) トリマラン構造船
KR20120002214A (ko) 액화연료탱크를 갖는 컨테이너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