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300B1 - 선박용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300B1
KR101616300B1 KR1020140125487A KR20140125487A KR101616300B1 KR 101616300 B1 KR101616300 B1 KR 101616300B1 KR 1020140125487 A KR1020140125487 A KR 1020140125487A KR 20140125487 A KR20140125487 A KR 20140125487A KR 101616300 B1 KR101616300 B1 KR 10161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lamp
lamp unit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558A (ko
Inventor
김수환
김광호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3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용 램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 장치는 제1 데크 및 상기 제1 데크와 이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제2 데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제2 데크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 데크에 연결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항구의 램프시설과 연결되며, 화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램프장치{Ramp Apparatus for Ship}
선박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선박에서 항구로 차량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선은 하역방식에 따라 리프트온/리프트오프방식(Lift-on/lift-off: LO/LO), 로로방식(Roll-on/Roll-off: RO/RO)으로 분류될 수 있다.
리프트온/리프트오프방식(LO/LO)은 항구의 크레인 혹은 운반선의 크레인에 의해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것으로, 특히, 일정한 크기의 규격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운반선을 컨테이너선이라고 한다.
그리고, 로로방식(RO/RO)은 일반적으로 선미에 설치된 경사로(Ramp)를 통하여 트레일러 혹은 지게차로 화물을 운반하거나 차량이 직접 이동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차량만을 전용으로 운송하도록 설계된 운반선을 로로선이라고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로로선을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로선(10)은 제1 데크(11) 및 제2 데크(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데크(11) 및 제2 데크(12)에는 차량이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램프(21) 및 제2 램프(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항구(1)에는 제1 램프(21) 및 제2 램프(22)의 각각에 대응되는 램프시설(2)이 구비되어 제1 데크(11) 및 제2 데크(12)에 수용된 차량들은 각각의 제1 램프(21) 및 제2 램프(22)를 통해 항구로 이동한다.
그런데, 램프시설(2)이 구비되지 않은 항구에 경우, 제2 램프(22)는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제1 데크(11)와 제2 데크(12)를 연결하는 다른 경사로를 구비할 경우, 차량을 수용하는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5963호
본 출원은 선박에 구비된 램프 장치를 활용하면서 선박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에서 항구로 화물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램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데크 및 상기 제1 데크와 이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제2 데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제2 데크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 데크에 연결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항구의 램프시설과 연결되며, 화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램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2 데크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램프플레이트, 상기 램프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램프플레이트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연장부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2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2 데크의 상측에 설치된 윈치, 상기 램프부의 타단과 상기 윈치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윈치를 탑재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은 상기 제2 데크와 이격된 제3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데크는 상기 대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부의 타단에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는 항구의 램프시설이 구비된 경우, 제2 데크에 설치된 램프부를 항구의 램프시설에 연결함에 따라 제2 데크의 수용된 화물이 신속하게 항구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항구의 램프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램프부를 이용하여 제1 데크와 제2 데크를 연결함에 따라 제2 데크의 수용된 화물이 제1 데크를 통하여 항구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데크에 설치된 램프부는 기존의 제1 데크와 제2 데크를 연결하는 고정식 경사로에 비하여 선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로선을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가 항구의 램프시설에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램프부가 제1 데크와 제2 데크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가 항구의 램프시설에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사시도이고, 도 3의 (a)는 도 2의 (a)의 램프부가 제1 데크와 제2 데크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100)는 제1 데크(110), 제2 데크(120) 및 제3 데크(130)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램프부(200) 및 제1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박은 차량을 운반하는 로로선(RO/RO Ferry)으로 예시하였으나, 로로방식(Roll-on/Roll-off: RO/RO)으로 화물을 하역하는 선박은 모두 가능하다. 제1 데크(110), 제2 데크(120)는 차량(V)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데크(120)는 제1 데크(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 데크(110)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데크(120)에는 후술할 램프부(200)가 회전하여 관통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데크(130)는 제2 데크(1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 데크(1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3 데크(130)는 제2 데크(120)에 수용된 차량을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수행하며, 차량(V)을 수용할 수도 있다.
램프부(200)는 제2 데크(120)의 개구부(12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선박 운항 중에는 개구부(122)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구부(122)를 폐쇄하고, 차량(V) 하역 시에는 램프시설(2)을 향해 회전하여 차량(V)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램프부(2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방향으로 회전 시 항구의 램프시설(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2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1 데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제1 데크(110)에 설치되며, 램프부(20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제2 데크(120)에 설치되어 램프부(200)를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300)는 램프부(200)와 제2 데크(120)와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램프부(20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1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구의 램프시설(2)이 구비된 경우 램프부(20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항구의 램프시설(2)에 연결함에 따라, 제2 데크(120)에 수용된 차량(V)이 램프부(200)를 따라 항구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항구의 램프시설(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램프부(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데크(110)에 연결함에 따라, 제2 데크(120)에 수용된 차량(V)이 램프부(200)를 따라 제1 데크(110)로 이동한 후, 제1 데크(110)의 램프(115)를 경유하여 항구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100)는 제1 데크(110)와 제2 데크(120)를 연결하는 기존의 고정식 램프가 필요없게 되어 기존의 고정식 램프의 공간만큼 차량을 더 수용할 수 있다.
램프부(200)는 램프플레이트(210), 연장부(230) 및 제2 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플레이트(210)는 제2 데크(120)의 개구부(12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램프플레이트(210)의 길이(L)는 제2 데크(120)에서 제3 데크(130)의 높이(H)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플레이트(21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3 데크(130)의 하단부에 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데크(120)의 개구부(122)의 길이(W)는 램프플레이트(210)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플레이트(21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램프플레이트(210)가 개구부(122)에 걸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개구부(122)는 제2 데크(120)의 끝단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플레이트(210)가 타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램프플레이트(210)의 일부가 제2 데크(120)에 안착됨에 따라, 램프부(200)가 제2 데크(1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데크(120)에 수용된 차량(V)은 개구부(122)를 우회하여 램프플레이트(210)를 통해 항구로 이동될 수 있다.
연장부(230)는 램프플레이트(2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230)의 폭은 램프플레이트(210)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구동부(250)는 램프플레이트(210)의 타단을 중심으로 연장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250)는 램프플레이트(210)에 설치되어 연장부(230)를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30)와 램프플레이트(210)가 결합되는 힌지축(235)에 기어가 형성되고, 제2 구동부(250)는 힌지축(235)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부(255) 및 기어부(255)가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60)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동부(250)의 구동에 따라 연장부(230)가 램프플레이트(21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부(250)는 연장부(230)를 회전시켜 연장부(230)를 램프플레이트(210)에 맞닿게 하거나 램프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램프플레이트(210)에서 연장시킬 수 있다.
연장부(230)의 일면은 램프플레이트(210)의 일면에 맞닿게 되어 램프부(200)가 개구부(122)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램프부(200)가 개구부(122)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램프부(200)는 램프플레이트(210)와 연장부(230)가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제2 데크(120)와 제3 데크(13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개구부(122)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연장부(230)의 일면은 램프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운항 중에 연장부(230)가 연장되어 램프플레이트(210)와 함께 개구부(122)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항구의 램프시설(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차량(V)이 제2 데크(120)로부터 제1 데크(1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부(230)는 램프플레이트(210)에 맞닿도록 접힌 상태에서 개구부(122)를 통과하고, 개구부(122)를 통과한 후에 램프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램프플레이트(210)와 연장부(23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제2 데크(120)에 수용된 차량(V)이 제1 데크(11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101)는 제1 구동부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 구동부(301)는 윈치(310), 와이어(330) 및 대차(350)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310)는 제2 데크(1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윈치(310)는 제3 데크(130)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330)는 램프부(200)의 타단과 윈치(3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330)는 윈치(310)의 작동에 의해 권취되거나 권양될 수 있다.
대차(350)는 윈치(310)를 탑재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데크(130)는 대차(3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데크(130)의 내측에는 대차(350)의 바퀴를 수용하면서 대차(350)의 바퀴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37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370)는 램프부(200)와 제2 데크(120)가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S)과 제3 데크(130)가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37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짐에 따라 대차(350)는 일정한 길이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200)의 타단에는 와이어(330)와 연결되는 연결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램프부(200)의 타단에는 램프부(200)의 타단에 타측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202)가 형성되고, 연결부(335)는 개구부(202)에 설치된 로드(33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35)는 와이어(330)와 매듭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30)의 끝단이 고리로 형성될 경우, 연결부(335)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램프장치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항구의 램프시설(2)이 구비된 경우, 먼저, 대차(350)를 제3 데크(130)의 끝단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윈치(310)를 작동시켜 와이어(330)를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램프부(200)의 타단은 제2 데크(120)를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을 이루게 된다. 즉, 램프부(200)는 제2 데크(120)와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램프부(200)의 타단이 제2 데크(120)를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을 넘어 회전하게 된 경우, 윈치(310)를 작동시켜 와이어(330)를 풀어준다. 즉, 램프부(200)는 램프부(20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제2 데크(120)와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램프부(200)는 항구의 램프시설(2)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항구의 램프시설(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대차(350)를 제3 데크(130)의 끝단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윈치(310)를 작동시켜 와이어(330)를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램프부(200)의 타단은 제2 데크(120)를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을 이루게 된다. 즉, 램프부(200)는 제2 데크(120)와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램프부(200)의 타단이 제2 데크(120)를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을 넘어 회전하게 된 경우, 윈치(310)를 작동시켜 와이어(330)를 풀어준다. 즉, 램프부(200)는 램프부(20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제2 데크(120)와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램프부(200)는 제1 데크(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제1 데크 115: 제1 데크의 램프
120: 제2 데크 122,202: 개구부
130: 제3 데크 200: 램프부
210: 램프플레이트 230: 연장부
235: 힌지축 250: 제2 구동부
255: 기어부 260: 구동모터
300,301: 제1 구동부 310: 윈치
330: 와이어 335: 연결부
350: 대차 370: 가이드레일

Claims (6)

  1. 제1 데크 및 상기 제1 데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데크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제2 데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펼쳐지면 상기 제2 데크의 개구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데크의 개구부의 일측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면 상기 제1 데크에 연결되고,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데크의 상측에 안착되어 항구의 램프시설과 연결되며, 화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가 상기 일방향 또는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램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2 데크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램프플레이트;
    상기 램프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램프플레이트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연장부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램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2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인 선박용 램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2 데크의 상측에 설치된 윈치;
    상기 램프부의 타단과 상기 윈치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윈치를 탑재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대차를 포함하는 선박용 램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상기 제2 데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데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데크는 상기 대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선박용 램프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의 타단에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선박용 램프 장치.
KR1020140125487A 2014-09-22 2014-09-22 선박용 램프장치 KR10161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487A KR101616300B1 (ko) 2014-09-22 2014-09-22 선박용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487A KR101616300B1 (ko) 2014-09-22 2014-09-22 선박용 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58A KR20160034558A (ko) 2016-03-30
KR101616300B1 true KR101616300B1 (ko) 2016-04-28

Family

ID=5566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487A KR101616300B1 (ko) 2014-09-22 2014-09-22 선박용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517B1 (ko) * 2020-01-16 2022-08-02 (주)토탈소프트뱅크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26B1 (ko) * 2007-01-16 2007-11-08 김규완 해양 수송용 운반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823B2 (ja) * 1991-12-09 2001-04-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2層同時荷役式フェリー
KR20130045963A (ko) 2011-10-27 2013-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램프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26B1 (ko) * 2007-01-16 2007-11-08 김규완 해양 수송용 운반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58A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460B2 (en) Ship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KR101616300B1 (ko) 선박용 램프장치
KR101315154B1 (ko) 선측에 구비되는 접이식 헬리데크
WO2016140347A1 (ja) 追加プロペラを装備する船
KR101372278B1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리지 진동 저감장치
JP2016527144A (ja) 貨物船の甲板に積載されて輸送される複数のコンテナを支えるための設備
JP2016159824A5 (ko)
KR200492529Y1 (ko) 선박의 공기 저항 저감 장치
JPS5941435B2 (ja) 船舶による乗客、貨物等の輸送方法およびその輸送設備
JP5975091B2 (ja) 荷物積載船舶及び荷物積載方法
KR102146745B1 (ko) 컨테이너 선박용 공기 저항 감소 장치
JP4410518B2 (ja) 自動車専用船
KR20090007779U (ko) 접이식 돛을 가지는 선박
KR101984910B1 (ko) 롤링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531294B2 (ja) 揚陸用の船舶および揚陸用の船舶の設計方法
KR200492623Y1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릿지에 설치되는 가변식 마스트
KR101600773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67572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262085B1 (ko) 차량 수송선
KR20190054726A (ko)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5996049B1 (ja) 2層甲板船のポンツーンハッチカバー格納構造
KR101644335B1 (ko)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RU2384455C2 (ru) Способ выгрузки с судна на несамоходн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о берега различных грузов "поплавок"
CN207450190U (zh) 一种洗舱机支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