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952B1 - 컨테이너선의 선창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의 선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15952B1 KR100215952B1 KR1019910701803A KR910701803A KR100215952B1 KR 100215952 B1 KR100215952 B1 KR 100215952B1 KR 1019910701803 A KR1019910701803 A KR 1019910701803A KR 910701803 A KR910701803 A KR 910701803A KR 100215952 B1 KR100215952 B1 KR 1002159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p
- transverse bulkheads
- container
- bulkheads
- transver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palletis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컨테이너선은 배의 종방향으로 횡격벽들(8,9,10 및 11) 에 의해 형성되는 선창들(1-5)을 가진다. 상기 횡격벽들은 상대적으로 넒은, 종래형 격벽(8)(9)들 및 상대적으로 좁은 격벽(10)(11)들로 구성되고, 상기 좁은 격벽들은 배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장력 흡수부재(12)들에 의해 양측애서 상기 넓은 횡격벽(8)(9)들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도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어 일부를 생략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 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 2 도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수직 보강 부재와 컨테이너 안내 부재를 생략한 제1도의 선체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컨테이너선의 일부분은 선박의 종방향을 따라 관찰되는 다섯 개의 연속된 선창들(1,2,3,4,5)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선창들은 선박의 선곽(hull)(6) 및 선저부(7)에 의해 형성된다. 선창들 사이로는 상대적으로 넓은 2개의 종래형 횡격벽(8,9)과, 그 사이로 상대적으로 좁은 2개의 횡격벽(10,11)이 존재한다. 상기 횡격벽 사이로는 용접둥과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인접 힁격벽에 고겅되는 다수의 인장 로드(rod)(12)와 같은 인장력 흡수 수단이 선박의 종방향에 나란하게 연장한다.
상대적으로 넓은 횡격벽(8,9)은 대개 선박의 종방향으로 약 2m의 폭을 가진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횡격벽은 수직판(13)과, 거기에 용접된 횡방향 방요재판(防撓材板:transverse stiffening plates)(14)과, 상부에서 서로 접하는 상자형 단면체(15)와 U형 단면체(16)을 구비하고 있다. 힁방향 방요재판(14)의 자유단에는 하향 웨브(17)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횡격벽도 역시 수직판(18)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수직판의 측면으로 산형(angular)의 횡방향 방요재 프로파일(transverse stiffening profile)(19)이 용접되어 있다(특히 제2도 참조). 모든 횡격벽(8,9,10,11)의 양면에는 컨테이너가 선창내에서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 컨테이너의 코너부를 안내하는 수직 컨테이너 안내 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건테이너 안내 부재는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공지된 형태의 것이다. 제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안내 부재는 산형 방요재 프로파일(19)과 동일 측면상에 T형으로 위치하며, 반면에 다른 측면상으로는 단지 좁은 판의 컨테이너 안내 부재가 용접된 형태로 존재한다.
산형 방요재 프로파일(19)돌의 사이에는 수직 방요재판 또는 스트림(strip: 길고 가느다란 조각)들이 부가적으로 용접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인장 로드(tersion rod)(12)는 중간의 연결판(21)을 통하여 컨테이너 안내 부재에 직접 용접되며, 상기 연결판은 그 자체가 인장 로드(12)보다 연직 방향으로 더많이 연장하는 판의 조각이며, 또한 상기 연결판은 인장 로드(12)가 접속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도시되지 않은 오목부를 가진다.
인장 로드(12)는 사용되는 컨테이너 안내 부재 및 문제의 격벽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횡격벽(8,9,10,11)에 고정될 수 있다.
인장 로드(12)는 폭이 감소된, 따라서 강성이 감소된 즙은 힁걱벽(10,11)을 보상할 수 있다는 점은 대단히 중요하다. 인장 로드의 수는 변경 가능하며, 많은 수의 인장 로드를 연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여 인장 로드가 선창내에 위치된 컨테이너의 각각의 종방향 단부의 반대쪽에 제공되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치(hatch) 및 그 하중물로부터의 하중을 흉수하기 위해 선창의 상부에는 인장 로드가 보다 근접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넓은 종래형 횡격벽(8,9)과 좁은 횡격벽(10,11)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컨테이너는 종방향으로 더 밀접하게 선적될 수 있고, 따라서 각 격벽은 여전히 환기와 선창내로의 출입을 허용하면서도 선행기술에 비해 컨테이너 선적 능력이 5 내지 10%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둘어, 인장 로드는 많은 다른 방법으로 고졍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와이어일 수 있고 여러가지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좁은 횡격벽들은 또한, 예룰 둘어 좁은 횡격벽과 그보다 넓은 종래형 횡격벽을 종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즙은 막대의 형태를 하고 있는 인장력 및 응력 흠수 구조체에 의해 안정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는 컨테이너 더미들 사이로 더 많은 공간을 요구하나, 한편으로는 종방향으로 넓은 횡격벽의 양면 모두에 연결되지 않은 좁은 횡격벽이 두개의 연속된 넓은 횡격벽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종방향으로 횡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선창(hold)들을 가진 컨테이너 선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의 구조에 있어 기본적인 목적은 외부 치수와 관련하여 컨테이너 선적 능력을 가능한한 최대한으로 크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선창내에 컨테이너들을 가능한 한 서로 밀접하게 적하함으로써 달성된다. 선박의 종방향으로의 선적능력은 많은 것들 중에서도.특히, 선박의 종방향을 따라 측정된 횡격벽의 폭에 의해 결졍된다. 대개 횡격벽은 종방향을 따라 선창을 구획하고, 따라서 두개의 횡격벽 사이에 40 피이트(feet; 약 12.192 m) 컨테이너 또는 그보다 더 큰 컨테이너용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들은 그것의 가장 큰 영역이 선박의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대개 횡격벽은 주갑판(main deck)가까이에 상자형 비임(beam)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비임은 선박의 비틀림 강성에 기여하며, 선곽(hull) 및 해치 커버(hatch cover)의 측면으로 부터 압축력을 받을 때 변형에 대한 횡격벽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횡격벽은 해상에서의 정상적인 운항과 항해 도중에 유체정역학적인 힘을 받는 선박의 측면 및 선저부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필요한 강도를 얻겨 위해, 횡격벽은 대개 약 2m의 폭으로 된다. 횡격벽은 개방될 수도 또는 폐쇄될 수도 있으나, 다만 하나 걸러 하나씩의 횡격벽은 통상적으로 방수성을 지녀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적 능력이 향상된 컨테이너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비교적 넓은 종래형 횡격벽과 비교적 좁은 횡격벽으로 구성되는 횡격벽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의 좁은 횡격벽의 양측면은 선박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장력 흠수 수단(tension absorbing means)에 의해 넓은 횡격벽에 연결된다.
그 결과, 컨테이너선의 선적 능력은 넓은 횡격벽들중의 일부가 좁은 횡격벽들로 대체됨에 의해 향상되는데, 이는 좁은 횡격벽들이 인장력 흡수 수단들에 의해 선박의 종방향으로 안정화되는데 기인하여 선박의 측면과 선저부 및 해치 커버로부터의 힙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횡격벽들이 0.1 에서 0.2m 정도로만 되어도, 컨테이너의 용량은 5에서 10% 증가될 수 있다. 인장력 흡수수단들은 적절한 방법으로 넓은 횡격벽 및 좁은 횡격벽에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그들은 격벽에 구비된 연직으로 연장된 컨테이너용 안내 부재에 직접 적절하게 고겅되어서 선창내의 컨테이너 더미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선창의 단부에서 좁은 횡격벽은 넓은 종래형 격벽 대신에 기관실 격벽과 같은 다른 안정한 격벽(stablebulkhead)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방향을 따른 총 선체 길이(Loa)가 대략 125-400m에 이르는 컨테이너선에 적용될 수 있으며, 넓은 폭의 종래형 횡격벽의 폭은 대략 5×Loa/1000 보다 넓으며, 한편, 좁은 폭의 횡격벽은 대략 4×Loa/1000 보다 좁은폭을 갖는다.
본 발명애 따르면, 인장력 흡수 수단들을 연결하는 더많은, 바랍직하게는 두개의 좁은 횡격벽이 연속된 넓은 종래형 횡격벽들 사이에 위치하고, 이것은 본 발명의 특히 양호한 실시예가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력 흡수 수단들은 특히 인장 로드(tension rod)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Claims (4)
- 선박의 종방향을 따라 횡격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선창들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에 있어서, 상기 횡격벽둘은, 선박의 비틀렴 강성 및 선박의 측면 및 선저부의 지지에 기 여하며, 총 선체 길이를 Loa라 할 때,5×Loa/1000 보다 넓은 폭을 갖는 횡격벽들(8,9)과, 선박의 측면 및 선저부로부터의 하중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4×Loa/1000 보다 좁은 폭을 갖는 횡격벽들(10,11)로 구성되고, 상기 좁은 횡격벽들(10,11)은 선박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장력 흡수 수단에 의해 상기 넓은 횡격벽들(8,9)에 연결되는 것을 특깅으로 하는 컨테어너 선의 선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격벽들(8,9) 사이로는 상기 인장력 흡수 수단들애 의해 연결된 두 개 이상의 다른 횡격벽들(10,1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의 선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홉수 수단은 인창 로드(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의 선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흡수 수단은 압축력을 횹수할 수 있는 비임(be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의 선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K89-2812 | 1989-06-08 | ||
DK281289A DK163651C (da) | 1989-06-08 | 1989-06-08 | Containerskib |
PCT/DK1990/000143 WO1990014985A1 (en) | 1989-06-08 | 1990-06-08 | A container shi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700992A KR920700992A (ko) | 1992-08-10 |
KR100215952B1 true KR100215952B1 (ko) | 1999-08-16 |
Family
ID=811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701803A KR100215952B1 (ko) | 1989-06-08 | 1990-06-08 | 컨테이너선의 선창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0476036B1 (ko) |
JP (1) | JP3087764B2 (ko) |
KR (1) | KR100215952B1 (ko) |
AU (1) | AU5849190A (ko) |
DE (1) | DE69012120T2 (ko) |
DK (1) | DK163651C (ko) |
ES (1) | ES2060181T3 (ko) |
WO (1) | WO1990014985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7442A (ko) * | 2009-09-10 | 2011-03-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
KR101027232B1 (ko) | 2005-12-01 | 2011-04-0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콘테이너 운반선의 화물창에 설치되는 횡격벽 구조 |
KR101185517B1 (ko) | 2010-11-11 | 2012-09-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
KR20140046589A (ko) * | 2012-10-08 | 2014-04-2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
KR101426535B1 (ko) | 2012-12-20 | 2014-08-05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축 운반선의 사이드오프닝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09619A (zh) * | 2015-09-28 | 2015-12-02 | 上海船舶研究设计院 | 一种超大型矿砂船的货舱支撑结构 |
DK178972B1 (en) | 2016-06-21 | 2017-07-17 | Maersk Line As | Container ship with increased capacity for reefers |
CN113978605A (zh) * | 2021-12-01 | 2022-01-28 |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 适用于冷藏集装箱船的组合式舱壁平台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37414A (en) * | 1968-10-02 | 1970-11-03 | Jerome L Goldman | Shipboard cargo stowage construction |
US3583350A (en) * | 1969-09-22 | 1971-06-08 | Jerome L Goldman | Shipboard cargo stowage construction |
DE3305761A1 (de) * | 1983-02-19 | 1984-10-31 | Heinrichs Ingenieur-Technik GmbH & Co KG, 2800 Bremen | Zellgeruest sowie verriegel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ein zellgeruest |
DK155275C (da) * | 1984-01-16 | 1989-08-07 | Dampskibsselskabet Af 1912 | Containeroplagringsanlaeg til brug ombord paa containerskibe |
-
1989
- 1989-06-08 DK DK281289A patent/DK163651C/da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
- 1990-06-08 DE DE69012120T patent/DE69012120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6-08 WO PCT/DK1990/000143 patent/WO1990014985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0-06-08 ES ES90909641T patent/ES2060181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6-08 EP EP90909641A patent/EP047603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6-08 JP JP02509150A patent/JP308776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6-08 KR KR1019910701803A patent/KR1002159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6-08 AU AU58491/90A patent/AU5849190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7232B1 (ko) | 2005-12-01 | 2011-04-0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콘테이너 운반선의 화물창에 설치되는 횡격벽 구조 |
KR20110027442A (ko) * | 2009-09-10 | 2011-03-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
KR101185517B1 (ko) | 2010-11-11 | 2012-09-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
KR20140046589A (ko) * | 2012-10-08 | 2014-04-2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로로선의 상부 파트 블록의 운송방법과 이를 이용한 블록의 탑재 공법 |
KR101426535B1 (ko) | 2012-12-20 | 2014-08-05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축 운반선의 사이드오프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K281289D0 (da) | 1989-06-08 |
DK281289A (da) | 1990-12-09 |
EP0476036B1 (en) | 1994-08-31 |
ES2060181T3 (es) | 1994-11-16 |
DK163651C (da) | 1997-07-07 |
DE69012120D1 (de) | 1994-10-06 |
JPH04506050A (ja) | 1992-10-22 |
DE69012120T2 (de) | 1995-04-06 |
AU5849190A (en) | 1991-01-07 |
EP0476036A1 (en) | 1992-03-25 |
DK163651B (da) | 1992-03-23 |
WO1990014985A1 (en) | 1990-12-13 |
KR920700992A (ko) | 1992-08-10 |
JP3087764B2 (ja) | 2000-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46755B2 (ja) | 巨大石油タンカー用の石油タンク部構造 | |
KR100215952B1 (ko) | 컨테이너선의 선창 | |
SE444302B (sv) | Behallare som tal att utsettas for ett inre tryck och avsedd for lagring och transport av medier i vetskeform under tryck | |
KR100588380B1 (ko) | 래싱 브리지 | |
US4638754A (en) | Vessel hull and bulkheads construction employing curved plating | |
FI79269C (fi) | Fartyg utan tvaerbalk. | |
KR20210072891A (ko) | 래싱 브리지 | |
JP3295427B2 (ja) | 複胴船の上部構造 | |
KR100650607B1 (ko) | 부분 수평 종재 및 부분 종방향 형재를 구비한 이중 선체선박 | |
NL8402188A (nl) | Schip zonder dwarsspanten. | |
JP3927157B2 (ja) | 貨物船のクロスデッキ構造 | |
KR0176274B1 (ko) | 유조선의 이중 선각구조 | |
JP2528990B2 (ja) | コンテナ船の船体 | |
JP3885064B2 (ja) | ケミカル・プロダクトタンカーの立式波形隔壁構造 | |
RU2826533C1 (ru) | Корпус судна | |
KR102720963B1 (ko) |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적재 극대화를 위한 선미 구조 | |
KR20210072892A (ko) | 래싱 브리지 | |
KR20130041541A (ko) |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 |
KR840002451Y1 (ko) | 상갑판위에 복수개의 액상 화학제품 수납용 탱크를 구비한 운반선 | |
KR102605681B1 (ko) | 래싱 브리지 | |
JP4446902B2 (ja) | バラ積み貨物船の点検用固定足場 | |
JPS61132485A (ja) | 船舶における桁の横倒れ防止構造 | |
KR20240063408A (ko) | 컨테이너 선박의 전용 벤치 구조 | |
WO1998016420A1 (en) | Hatch cover panel for cargo ship | |
SE462280B (sv) | Konstruktion av enkelbottnade containerfarty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