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397A -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397A KR20130002397A KR1020110063337A KR20110063337A KR20130002397A KR 20130002397 A KR20130002397 A KR 20130002397A KR 1020110063337 A KR1020110063337 A KR 1020110063337A KR 20110063337 A KR20110063337 A KR 20110063337A KR 20130002397 A KR20130002397 A KR 20130002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hull
- painting
- ship
- bloc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4—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permanently-connected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28—Frames of transverse type; Str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4—Frames of longitudinal type; Bulkhead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은 바닥블록,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횡방향 벌크헤드블록 및 사이드 벌크헤드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중단위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중단위블록을 도장공장으로 운반하여 도장작업하는 단계; 및 도장작업 된 중단위블록들을 도크로 운반하여 선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은 선체를 소규모 블록으로 90~120개의 단위 블록으로 나누고 제작된 단위블록을 도장하여 다수개의 블록을 하나의 블록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대형 블록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선박 블록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블록과 블록 간의 정확한 정합이 요구되며, 정합된 블록들은 용접을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대형 블록으로 결합되고, 최종적으로 전체적인 선박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이 적용된 선박의 단면도로서, 원유선(Crude oil tanker)의 내부구조가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닥블록(BOTTOM BLOCK)(1), 종방향 벌크헤드블록(LONGITUDINAL BULKHEAD BLOCK)(3), 횡방향 벌크헤드블록(TIGHT BULKHEAD BLOCK)(5) 및 사이드 벌크헤드블록(7) 등의 소단위 블럭들이 조립되어 선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각 소단위 블록(10)들은 아래보기 용접이 가능하도록 블록화되며, 도크(dock)장에서의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도크장으로 옮겨 사전 조립과정을 거친 후 탑재 작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래기술의 선박 건조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바닥블록(1), 종방향 벌크헤드블록(3), 횡방향 벌크헤드블록(5), 사이드 벌크헤드블록(7) 등의 소단위 블록(10)들을 조립한다.
조립된 소단위 블록(10)들은 개별적으로 도장공장으로 운반되어 도장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도장 작업 완료된 소단위 블록(10)들은 사전 조립과정을 거쳐 중단위 블록으로 조립된다.
상기 조립된 중단위 블록은 용접을 통한 조립과정에서 도장부위가 불에 타는 용접 데미지(Burn Demage)를 입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용접열에 의해 불에 탄 도장부위를 제거한 후, 재도장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에서는 수십 개의 소단위 블록(10)을 도장공장으로 매번 이동하여 도장 작업한 후, 다시 도크장으로 이동하여 하나의 중단위 블록으로 조립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고, 중단위 블록 조립 후에는 용접 데미지가 발생된 부위를 재도장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 만 아니라, 도장용 페인트의 낭비가 심하고 생산성이 매우 낮아 질뿐만 아니라, 전체 선박건조기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단위블록의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의 높이를 선체의 최상부 높이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보다 낮도록 설계함으로써, 중단위블록이 이동대차에 탑재된 상태로 도장공장에 진출입되어 적은 횟수로 도장작업을 마칠 수 있는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공장에서 도장공장으로 단위블록들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인적, 시간적으로 발생되는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도장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도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건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선 용접, 후 도장작업 됨에 따라, 도장된 소단위 블록(10)을 용접함으로써, 발생되는 용접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어, 재도장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용접품질을 높일 수 있는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블록,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횡방향 벌크헤드블록 및 사이드 벌크헤드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중단위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중단위블록을 도장공장으로 운반하여 도장작업하는 단계; 및 도장작업 된 중단위블록들을 도크로 운반하여 선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단위블록의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의 높이가 선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보다 낮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선체를 조립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설계된 소단위블록 및 중단위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블록은 2중 바닥블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단위블록의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의 높이를 선체의 최상부 높이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보다 낮도록 설계함으로써, 중단위블록이 이동대차에 탑재된 상태로 도장공장에 진출입되어 적은 횟수로 도장작업을 마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공장에서 도장공장으로 단위블록들을 이동시키는 작업에 따른 인적, 시간적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도장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도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건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선 용접, 후 도장작업 됨에 따라, 도장된 소단위 블록(10)을 용접함으로써, 발생되는 용접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어, 재도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용접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이 적용된 선박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이 적용된 선박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블록 조립공법이 적용된 선박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블록(BOTTOM BLOCK)(11)과 종방향 벌크헤드블록(LONGITUDINAL BULKHEAD BLOCK)(13), 횡방향 벌크헤드블록(TIGHT BULKHEAD BLOCK)(15) 및 사이드 벌크헤드블록(17)으로 이루어진 선박 내부구조가 도시된다.
상기 바닥블록(11)은 배 밑창을 형성하는 구조물로서, 2중 바닥블록으로 제작하여 다수의 격벽과 밀폐된 독립공간들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벌집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선박의 부력을 형성하는데 유리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불의의 사고 등으로 인해, 배 밑창이 파손 되었을 때에, 파손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대한 침수를 최소로 막아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바닥블록(11)의 일부 공간은 선박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미도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과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은 바닥블록(11)의 상부 공간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벽체 구조물이다.
상기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은 선박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의 형상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금속 벽체와, 상기 금속 벽체의 어느 일면에 설치되어 구조강도를 지탱하도록 된 격자형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 벽체는 평판의 금속판체일 수 있고, 상기 격자형 리브는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과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이 접하는 접지부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은 선박의 평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종방향)과 폭방향(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독립된 다수의 공간들을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화물선의 경우, 화물을 싣기 위한 화물창(cargo tank)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블록(11)과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은 조립공장 내에서 조립되어 중단위블록(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단위블록(20)은 용접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중단위블록(20)을 도장공장(30)으로 운반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장공장(30)은 입동 높이가 제한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도장공장에 입고되는 단위블록의 높이 또한 제한되게 된다.
일반적인 도장공장의 입동 높이는 선체의 최상부 높이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와 비슷한 높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중단위블록(20)은 종방향 벌크헤드블록(13)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15)의 높이를 선체의 최상부 높이에 위치하는 스트링거(sm.1)의 위치보다 낮도록 설계함으로써, 중단위블록(20)이 이동대차에 탑재된 상태로 도장공장에 진출입 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링거(Stringer)라 함은 선박 측의 수직벽체(종방향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 포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늑골간을 지지하며 선체 종강도와 비틀림 작용에 대응하는 골재로서,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단위 블록(10)으로 나누어 도장 작업하던 종래의 도장작업에 비해 적은 횟수로 도장작업을 마칠 수 있다.
이는, 조립공장에서 도장공장으로 단위블록들을 이동시키는 작업에 따른 인적, 시간적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도료의 낭비를 줄여 경제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립공정의 감축이 가능하며, 전체 선박제조공정을 단축시켜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이후, 도장작업 된 중단위블록(20)들을 도크(dock)로 운반하여 선체를 조립하게 된다.
이때, 도크는 선박을 건조 및 수리하기 위해서 조선소, 항만 등에 세워진 시설로서, 드라이 도크와 부양식 도크로 구분될 수 있다.
중단위블록(20)들을 도크(dock)로 운반하여 선체를 조립하는 단계 이후에, 선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설계된 소단위블록 및 중단위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선 용접, 후 도장작업 됨에 따라, 도장된 소단위 블록(10)을 용접함으로써, 발생되는 용접 데미지(BURN DEMAGE)를 방지할 수 있어, 재도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용접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 소단위블록
11: 바닥블록
13: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15: 횡방향 벌크헤드블록
20: 중단위블록
11: 바닥블록
13: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15: 횡방향 벌크헤드블록
20: 중단위블록
Claims (4)
- 바닥블록,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횡방향 벌크헤드블록 및 사이드 벌크헤드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중단위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중단위블록을 도장공장으로 운반하여 도장작업하는 단계; 및
도장작업 된 중단위블록들을 도크로 운반하여 선체를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위블록의 종방향 벌크헤드블록 및 횡방향 벌크헤드블록의 높이가 선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보다 낮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를 조립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스트링거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설계된 소단위블록 및 중단위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블록은 2중 바닥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337A KR20130002397A (ko) | 2011-06-29 | 2011-06-29 |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337A KR20130002397A (ko) | 2011-06-29 | 2011-06-29 |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397A true KR20130002397A (ko) | 2013-01-08 |
Family
ID=4783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337A KR20130002397A (ko) | 2011-06-29 | 2011-06-29 |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239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1305A1 (ja) * | 2021-03-12 | 2022-09-15 |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 船殻構造及び船舶 |
-
2011
- 2011-06-29 KR KR1020110063337A patent/KR201300023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1305A1 (ja) * | 2021-03-12 | 2022-09-15 |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 船殻構造及び船舶 |
JP2022140164A (ja) * | 2021-03-12 | 2022-09-26 |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 船殻構造及び船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544268A (zh) | 船舶建造中半宽型双跨总组搭载方法 | |
CN110182313B (zh) | 30万吨浮式生产储油轮艏货舱舷侧总段异地总组工艺 | |
CN104837725A (zh) | 平支架 | |
CN112977729B (zh) | 船舶及其建造方法 | |
KR20130072801A (ko) |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 |
CN112758276A (zh) | 一种超大型集装箱船舱口围与抗扭箱一体化建造方法 | |
CN202337344U (zh) | 一种散货船货舱内脚手架结构 | |
KR20130002397A (ko) | 선박의 단위블록 조립공법 | |
CN110937080B (zh) | 一种集装箱船横隔舱顶板组立的建造方法 | |
CN202072183U (zh) | 一种集装箱 | |
CN203846750U (zh) | 煤气柜安装专用可浮升及翻转式外部脚手架工装装置 | |
KR102055675B1 (ko) | 모듈러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잠수함 건조 및 진수방법 | |
KR101676649B1 (ko) | 카고 탱크 블록 및 그 조립방법 | |
KR200439986Y1 (ko) | 해치커버용 지지대인 베어링패드 설치 구조 | |
KR20140083463A (ko) | 운반수단을 이용한 컨테이너선 블록 조립 방법 | |
KR101122568B1 (ko) | 모듈형 화물창을 갖는 선박 건조방법 | |
KR102055674B1 (ko) | 모듈러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잠수함 건조 및 진수방법 | |
CN115123463B (zh) | 一种大型船舶上层建筑的临时海绑结构及其海绑方法 | |
KR101285181B1 (ko) | 벌크 선박용 새들 바텀의 발판 조립체 | |
KR20140115622A (ko) | 선박의 호퍼부 조립구조 | |
CN116280087A (zh) | 一种艏部总段在门架上总组冲砂的建造方法 | |
CN116620506A (zh) | 一种船舶大线型台阶的分段正胎建造方法 | |
KR101313548B1 (ko) | 메가블록공법 | |
KR20120134772A (ko) | 덕트 킬을 포함하는 선박의 탱크 탑 베이스 중조립 블록 제작방법 | |
CN115555809B (zh) | 一种钢结构甲板的换板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