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196B1 -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196B1
KR101589196B1 KR1020140061065A KR20140061065A KR101589196B1 KR 101589196 B1 KR101589196 B1 KR 101589196B1 KR 1020140061065 A KR1020140061065 A KR 1020140061065A KR 20140061065 A KR20140061065 A KR 20140061065A KR 101589196 B1 KR101589196 B1 KR 10158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ide module
module
topside
fluid handl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122A (ko
Inventor
장흥수
김홍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1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은 선체와, 선체의 갑판 상에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1 탑사이드모듈과, 갑판과 제1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제1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1 기둥부와, 선체의 갑판 상에 제1 탑사이드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2 탑사이드모듈과, 갑판과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제2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2 기둥부와, 제1 탑사이드모듈과 제2 탑사이드모듈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되 제1 탑사이드모듈과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로 연장되어 자유단 구조를 형성하는 외팔지지부, 및 외팔지지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와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로 각각 유체화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Offshore structure having treatment system of fluid cargo}
본 발명은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갑판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탑사이드모듈 사이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 설비)나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LNG 생산 설비)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상부 갑판 상에 유체화물 처리시설이 구비된다. 유체화물 처리시설은 해상에서 원유의 정재 또는 천연가스의 생산 및 액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각종 설비들로, 예를 들어, 정재설비, 액화설비, 발전설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화물 처리시설은 상부 갑판 상에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된 프레임에 안착되어 탑사이드모듈(topside module)을 형성한다.
한편, 상부 갑판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탑사이드모듈 사이에는 파이프 랙(pipe rack)이 배치된다. 파이프 랙은 각종 설비들을 연결하여 유체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와 케이블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탑사이드모듈 사이를 연결하여 자재 운반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랙은 상당한 양의 파이프와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파이프 랙을 지지하는 기둥부의 크기가 확장 형성되며, 이로 인해,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기둥부와의 간격이 좁게 배치되어 용접 및 검사 등의 각종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9319호 2012. 10. 3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부 갑판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탑사이드모듈 사이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갑판과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1 기둥부와,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2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갑판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2 기둥부와,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로 연장되어 자유단 구조를 형성하는 외팔지지부, 및 상기 외팔지지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와 상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로 각각 유체화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은 각각, 상기 갑판 상에 평행하게 서로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 또는 상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가 안착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과 교차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기둥부 또는 상기 제2 기둥부에 지지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팔지지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교차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팔지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팔지지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외팔지지부는 이격되어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외팔지지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3 탑사이드모듈, 및 상기 갑판과 상기 제3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3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3 기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탑사이드모듈은 상기 외팔지지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둥부는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탑사이드모듈과 제2 탑사이드모듈에 각각 외팔지지부를 결합하고, 그 위에 파이프와 케이블을 안착시킴으로써, 종래의 파이프 랙이 감당해야 하는 하중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랙을 지지하는 기둥부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기둥부와의 간격이 넓게 배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랙은 자재 운반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높이가 전체적으로 낮아져 구조적으로 안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1)은 해상에 부유하며 원유의 정재 또는 천연가스의 생산 및 액화 등의 처리를 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예를 들어,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 설비)나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LNG 생산 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1)은 선체(10)의 갑판(11) 상에 배치되는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에 각각 외팔지지부(도 2의 60 참조)를 결합하고 외팔지지부(60)의 상측에 이송파이프(70)를 안착시킴으로써, 제3 탑사이드모듈(도 2의 80 참조)이 감당해야 하는 하중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탑사이드모듈(80)을 지지하는 제3 기둥부(도 2의 90 참조)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3 기둥부(90)와 제1 기둥부(도 2의 30 참조) 사이의 간격 및 제3 기둥부(90)와 제2 기둥부(도 2의 50 참조) 사이의 간격이 넓게 배치되어 갑판(11)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된다. 또한, 제3 탑사이드모듈(8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1)은 선체(10)와,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설치되는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1 탑사이드모듈(20)을 지지하는 제1 기둥부(30)와, 갑판(11) 상에 설치되는 제2 탑사이드모듈(4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을 지지하는 제2 기둥부(50)와,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에 각각 결합되는 외팔지지부(60), 및 외팔지지부(60)의 상측에 안착되는 이송파이프(7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1)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상에 부유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선체(10)는 외측 형상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운항 시 해수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갑판(11)에 의해 다층 구조를 형성한다. 복수의 갑판(11) 중 최상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갑판(11) 상에는 제1 탑사이드모듈(20)이 배치된다.
제1 탑사이드모듈(20)은 유체화물의 생산, 액화, 정재 등의 처리를 하는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를 포함하는 것으로,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선체(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1 탑사이드모듈(20)은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 탑사이드모듈(20)의 하부에는 제1 기둥부(30)가 결합된다.
제1 기둥부(30)는 갑판(11)과 제1 탑사이드모듈(2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탑사이드모듈(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갑판(11) 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탑사이드모듈(20)에 결합된다. 제1 기둥부(3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되, 하부가 상부에 비해 확장 형성되어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둥부(30)는 제1 탑사이드모듈(20)의 모서리 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탑사이드모듈(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나, 제1 기둥부(30)의 형상 및 배치 위치는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둥부(30)는 하부가 상부로부터 일정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탑사이드모듈(20)의 중앙 및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탑사이드모듈(20)의 일 측에는 제2 탑사이드모듈(40)이 배치된다. 제2 탑사이드모듈(40)은 유체화물의 생산, 액화, 정재 등의 처리를 하는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를 포함하는 것으로, 선체(10)의 갑판 상에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렬로 배치된다. 이 때,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를 통해 처리가 이루어지는 유체화물과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를 통해 처리가 이루어지는 유체화물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이루어지는 작업 또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에서는 액체화물의 생산 및 액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에서는 기체화물의 생산 및 정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하부에는 제2 기둥부(50)가 결합된다.
제2 기둥부(50)는 갑판(11)과 제2 탑사이드모듈(40) 사이에 개재되어 제2 탑사이드모듈(4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갑판(11) 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탑사이드모듈(40)에 결합된다. 제2 기둥부(50)는 제1 기둥부(30)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부에 비해 확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기둥부(50)는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모서리 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2 탑사이드모듈(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나, 제2 기둥부(50)의 형상 및 배치 위치는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기둥부(30)와 같이 하부가 상부로부터 일정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중앙 및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은 각각 수평프레임(22)과 수직프레임(23)을 포함한다.
수평프레임(22)은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 또는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판이 갑판(11)과 평행하게 서로 중첩 배치되어 형성된다. 즉, 수평프레임(22)은 복수 개의 판이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로, 각각의 판 상측에는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 또는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가 안착된다. 도면 상에는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 및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를 원통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22)은 수직프레임(23)에 의해 이격된다.
수직프레임(23)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수평프레임(22)과 교차되어 배치된다. 수직프레임(23)은 수평프레임(22)의 각 모서리 측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수평프레임(22)과 교차되며, 일단부가 제1 기둥부(30) 또는 제2 기둥부(50)에 지지된다. 즉, 수직프레임(23)은 수평프레임(22)과 교차되되, 일단부가 수평프레임(2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 기둥부(30) 또는 제2 기둥부(50)에 결합되어 수평프레임(22)을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러나, 수직프레임(23)이 수평프레임(22)의 모서리 측을 관통하거나 단부가 제1 기둥부(30) 또는 제2 기둥부(5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23)은 수평프레임(22)의 중앙이나 테두리 측을 관통하여 수평프레임(22)과 교차되되 양단부가 각각 수평프레임(22)에 결합되어 수평프레임(22)을 이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23)은 일단부가 제1 기둥부(30) 또는 제2 기둥부(50)의 내측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22)과 수직프레임(23)은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 적재될 유체화물의 총 중량을 고려하여 강성과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일 측에는 각각 외팔지지부(60)가 형성된다. 외팔지지부(60)는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와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에 각각 유체화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파이프(70)를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외팔지지부(60)는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에 각각 결합되며,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 사이로 연장되어 자유단 구조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외팔지지부(60)는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이격된 공간을 향하되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에 각각 자유단 구조로 결합되며, 상측에 이송파이프(70)가 안착된다. 이 때, 제1 탑사이드모듈(20)에 결합된 외팔지지부(60)와 제2 탑사이드모듈(40)에 결합된 외팔지지부(60)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외팔지지부(60)는 단부에 일정 높이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이송파이프(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외팔지지부(60)는 수평프레임(22)과 수직프레임(23)의 교차지점에 결합되어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팔지지부(60)가 수평프레임(22)과 수직프레임(23)의 교차지점에 결합됨으로써, 상측에 안착되는 복수의 이송파이프(70) 및 이송파이프(70)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의 하중이 수평프레임(22)과 수직프레임(23)에 각각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단부가 제1 기둥부(30) 및 제2 기둥부(50)에 지지되는 수직프레임(23)을 통해 제1 기둥부(30) 및 제2 기둥부(50)에도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외팔지지부(60) 및 외팔지지부(60)가 결합되는 단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팔지지부(60)는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그러나, 외팔지지부(60)가 수평프레임(22)과 수직프레임(23)의 교차지점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외팔지지부(60)는 수직프레임(23)에 결합되어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외팔지지부(60)가 수직프레임(23)의 일 측에 결합되는 경우, 외팔지지부(60) 및 외팔지지부(60)의 결합 단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수직프레임(23)과 제1 기둥부(30) 및 제2 기둥부(50)에 분산되며,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될 수 있도록 외팔지지부(60)와 수직프레임(23)의 결합 부위에 별도의 보조지지부(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팔지지부(60)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외팔지지부(60)는 이격되어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즉, 외팔지지부(60)는 제1 탑사이드모듈(20) 및 제2 탑사이드모듈(40)에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로 결합된다. 외팔지지부(60)가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이송파이프(70)를 분산시켜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외팔지지부(6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전술한 이송파이프(70)는 외팔지지부(60)의 상측에 안착되되 여러 갈래로 분지되어 복수 개의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 및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에 각각 연결된다. 이 때, 이송파이프(70)는 수평프레임(22)을 관통하여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 및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이송파이프(70)가 단단한 재질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송파이프(70)는 굴절 가능한 호스(hose)나 튜브(tube), 케이블(cable)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송파이프(70)는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21) 및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41)에 유체화물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완료된 유체화물을 별도의 저장시설(도시되지 않음)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 사이에는 제3 탑사이드모듈(80)이 개재된다. 제3 탑사이드모듈(80)은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을 연결하여 자재 운반 및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부재로 형성된다. 제3 탑사이드모듈(80)은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 사이에 개재되되, 외팔지지부(60)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3 탑사이드모듈(80)은 제1 탑사이드모듈(20)의 최하측 수평프레임(22a)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최하측 수평프레임(22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탑사이드모듈(20)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을 연결하며, 외팔지지부(60)의 하방에 위치한다. 제3 탑사이드모듈(80)이 이송파이프(70)를 지탱하는 외팔지지부(60)의 하방에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종래의 파이프 랙보다 높이가 전체적으로 낮아져 구조체의 하중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이송파이프(70)의 하중을 감당하지 않아도 되므로 갑판(11) 하부의 보강 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갑판(11)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제1 기둥부(30)와 제2 기둥부(50)로 집중하여 갑판(11) 하부의 보강 구조물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갑판(11) 하부 구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3 탑사이드모듈(80)의 하부에는 제3 기둥부(90)가 결합된다.
제3 기둥부(90)는 갑판(11)과 제3 탑사이드모듈(80) 사이에 개재되어 제3 탑사이드모듈(8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갑판(11) 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3 탑사이드모듈(80)에 결합된다. 제3 기둥부(90)는 제1 기둥부(30) 및 제2 기둥부(5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1 탑사이드모듈(20)의 최하측 수평프레임(22a)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최하측 수평프레임(22b), 및 제3 탑사이드모듈(80)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제1 탑사이드모듈(20)의 최하측 수평프레임(22a)과, 제2 탑사이드모듈(40)의 최하측 수평프레임(22b), 및 제3 탑사이드모듈(80)이 동일 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자재 운반 및 작업자의 이동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기둥부(90)는 제3 탑사이드모듈(80)의 모서리 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3 탑사이드모듈(8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나, 제3 기둥부(90)가 제3 탑사이드모듈(80)의 모서리 측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3 기둥부(90)는 제3 탑사이드모듈(80)의 중앙 및 테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기둥부(90)는 제1 기둥부(30)와 제2 기둥부(5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기둥부(30)와 제2 기둥부(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3 기둥부(90)의 직경이 제1 기둥부(30) 및 제2 기둥부(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3 기둥부(90)와 제1 기둥부(30) 사이의 간격 및 제3 기둥부(90)와 제2 기둥부(50) 사이의 간격이 넓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갑판(11)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하게 되며, 작업자는 보다 넓은 공간에서 원활하게 용접 및 검사 등의 각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이 증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10: 선체 11: 갑판
20: 제1 탑사이드모듈 21: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
22: 수평프레임 23: 수직프레임
30: 제1 기둥부 40: 제2 탑사이드모듈
41: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 50: 제2 기둥부
60: 외팔지지부 70: 이송파이프
80: 제3 탑사이드모듈 90: 제3 기둥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선체;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1 탑사이드모듈;
    상기 갑판과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1 기둥부;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2 탑사이드모듈;
    상기 갑판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로 연장되어 자유단 구조를 형성하는 외팔지지부; 및
    상기 외팔지지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와 상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로 각각 유체화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은 각각,
    상기 갑판 상에 평행하게 서로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 또는 상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가 안착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과 교차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기둥부 또는 상기 제2 기둥부에 지지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팔지지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교차지점,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지지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외팔지지부는 이격되어 서로 적층되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5. 선체;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1 탑사이드모듈;
    상기 갑판과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1 기둥부;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를 포함하는 제2 탑사이드모듈;
    상기 갑판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로 연장되어 자유단 구조를 형성하는 외팔지지부;
    상기 외팔지지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유체화물 처리설비와 상기 제2 유체화물 처리설비로 각각 유체화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파이프;
    상기 제1 탑사이드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외팔지지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3 탑사이드모듈; 및
    상기 갑판과 상기 제3 탑사이드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3 탑사이드모듈을 지지하는 제3 기둥부를 포함하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탑사이드모듈은 상기 외팔지지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둥부는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KR1020140061065A 2014-05-21 2014-05-21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KR101589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065A KR101589196B1 (ko) 2014-05-21 2014-05-21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065A KR101589196B1 (ko) 2014-05-21 2014-05-21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122A KR20150134122A (ko) 2015-12-01
KR101589196B1 true KR101589196B1 (ko) 2016-01-27

Family

ID=5488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065A KR101589196B1 (ko) 2014-05-21 2014-05-21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7117B2 (ja) * 2018-04-27 2022-10-05 三井E&S造船株式会社 浮体式生産設備のユーティリティライン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102461904B1 (ko) * 2018-10-12 2022-11-01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천연 가스 액화 장치의 설계 방법 및 천연 가스 액화 장치
CN110329428A (zh) * 2019-04-12 2019-10-15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船用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605B1 (ko) 2011-04-21 2018-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갑판의 지지구조
KR20150058676A (ko) * 2013-11-20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랙 및 그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122A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196B1 (ko)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US10648241B2 (en) Marine riser section for subsea wellbore related operations
JP2020033009A (ja) 浮体式炭化水素貯蔵プラントおよび/または浮体式炭化水素処理プラントの外殻として用いる船体、同船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同船体を備える船舶、ならびに同船体を有する同船舶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101300707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의 지지구조
CN203767033U (zh) 海工模块绑扎运输的支护装置
KR101503280B1 (ko) 해양구조물의 파이프 랙
KR20160001236U (ko) 걸이 형 모노레일 직렬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WO2014202706A1 (en) Topside module frame and floating hull comprising such a topside module frame
KR200482095Y1 (ko)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WO2018087730A1 (en) A box shaped bilge keel
JP7147117B2 (ja) 浮体式生産設備のユーティリティライン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20150058676A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랙 및 그 설치 방법
KR102386136B1 (ko) 가스 저장 및 수송용 장치
KR101778809B1 (ko) 부유식 가스 처리 설비
KR102461904B1 (ko) 천연 가스 액화 장치의 설계 방법 및 천연 가스 액화 장치
KR200481701Y1 (ko) 파이프 랙 모듈의 칼럼 서포트 구조
KR200470184Y1 (ko) 듀얼 플랜지 클램프
KR20170033053A (ko) 라이저 파이프 밸브구조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1259077B1 (ko) 중량물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19043525A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KR101488940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및 그것의 건조 방법
KR20130003076U (ko) 해양 호선의 배관 운송용 고정장치
KR20140000660U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사용되는 모노레일 연결 구조물
KR20160002183U (ko) 파이프 랙 모듈의 칼럼 서포트 구조, 그 칼럼 스툴 구조물, 및 그 칼럼 서포트 구조를 갖는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