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84Y1 - 듀얼 플랜지 클램프 - Google Patents

듀얼 플랜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84Y1
KR200470184Y1 KR2020110010557U KR20110010557U KR200470184Y1 KR 200470184 Y1 KR200470184 Y1 KR 200470184Y1 KR 2020110010557 U KR2020110010557 U KR 2020110010557U KR 20110010557 U KR20110010557 U KR 20110010557U KR 200470184 Y1 KR200470184 Y1 KR 200470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dy
pipe
clamp
flanges
p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339U (ko
Inventor
정종혁
이융
이우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8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듀얼 플랜지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는, 양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된 제1 클램프 몸체; 및 상기 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 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제2 클램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양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클램프 몸체 또는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에 마련되는 2쌍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2쌍의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지지 대상체인 파이프에 2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에 대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듀얼 플랜지 클램프{DUAL FLANGE CLAMP}
본 고안은, 듀얼 플랜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지지 대상체인 파이프에 2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에 대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듀얼 플랜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클램프는 두 개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거나 하나의 파이프를 클램핑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램프(10)는, 파이프(20)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되며 서로 간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 몸체(11,12)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프는 도면에 도시된 힘(F)의 방향과 같이, 파이프(20)에 일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구속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해상의 선박은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갖게 되며, 이러한 조건에 의해 선박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파이프에는 마찬가지로 최소 2방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 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2개 이상의 클램프를 설치해야 했으며, 따라서 설치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지지 대상체인 파이프에 2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에 대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듀얼 플랜지 클램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에 2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러한 외력에 의해 클램프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듀얼 플랜지 클램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양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된 제1 클램프 몸체; 및 상기 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 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제2 클램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양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클램프 몸체 또는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에 마련되는 2쌍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듀얼 플랜지 클램프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2쌍의 플랜지의 각각은, 상기 제1 클램프 몸체 또는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 몸체와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에는 상호 간에 나사결합되도록 각각 나사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2쌍의 플랜지 사이, 및 상기 2쌍의 플랜지와 상기 제1 클램프 몸체 또는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의 나사결합 플랜지 사이에는 거싯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쌍의 플랜지는, 상기 제1 클램프 몸체의 원호면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나사결합 플랜지에 수직하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2쌍의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지지 대상체인 파이프에 2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에 대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제1 클램프 몸체에 거싯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파이프에 2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러한 외력에 의해 클램프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에서 제1 클램프 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에서 제1 클램프 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플랜지 클램프(이하, '클램프'라 한다)는, 지지하고자 하는 대상체인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에 양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프는, 일 예로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하역설비(FPSO)의 라이저(riser)를 지지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이저는 해저에서부터 선체 또는 선체에 구비되는 일련의 파이프를 말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램프는 전술한 대상 이외의 모든 선박 및 이동체에 탑재되는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설치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100)에는, 파이프(200) 측으로 작용하는 양 방향의 외력에 대해 파이프(200)를 지지하도록, 구체적으로 파이프(200)에 양 방향 외력이 가해져서 파이프(200)의 지지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파이프(200)의 지지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100)가 파이프(200)를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며,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와 설치면 바닥 사이에는 통상의 턴버클(300) 등이 결합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해상에 설치된 장비는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 등과 같이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파이프(200)에는 마찬가지로 2방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파이프(200)에 가해지는 2 방향 이상의 외력 중 적어도 2방향의 외력에 대해 파이프(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본 고안은 1개의 구성체로 2 방향의 외력을 모두 지지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해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100)는, 파이프(200)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되며 외면으로부터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가 돌출 형성되는 제1 클램프 몸체(110), 파이프(200)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되며 제1 클램프 몸체(110)와 나사 결합하는 제2 클램프 몸체(12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는 제2 클램프 몸체(12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클램프 몸체(110)에 마련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클램프 몸체(110)는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200)의 외면과 대응하도록 원호면이 마련된다. 또한, 제1 클램프 몸체(110)에는 제2 클램프 몸체(120)와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결합 플랜지(130)가 양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1 클램프 몸체(110)에는, 파이프(200) 측으로 가해지는 양 방향의 외력에 대해 파이프(200)를 지지하도록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 클램프 몸체(120)는 마찬가지로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200)의 외면과 대응하도록 원호면이 마련된다. 또한, 제2 클램프 몸체(120)에는 제1 클램프 몸체(110)와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결합 플랜지(130)가 양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111,112,113,1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턴 버클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플랜지(111,112)가 제1 클램프 몸체(110)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한 쌍의 플랜지(113,114)가 제1 클램프 몸체(110)의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방향으로 파이프(200)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파이프(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클램핑하여 외력에 의해 파이프(20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 방향의 외력를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파이프(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쌍의 플랜지(111,112)와 나머지 한 쌍의 플랜지(113,114)의 사이 각도(α)는 대략 85 내지 95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사이 각도가 85도 미만인 경우, 파이프(20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외력에 대해 파이프(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힘들게 되며, 또한 사이 각도가 95도를 초과하는 경우, 파이프(200)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의 외력에 대해 파이프(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덧붙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는, 제1 클램프 몸체(110)의 원호면의 중심을 지나고 제1 클램프 몸체(110)의 나사결합 플랜지(130)에 수직하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파이프(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는 이러한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파이프(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100)의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에 각각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체적으로 파이프(200)와 클램프(100)의 접촉 부위를 고정 포인트로 정의한 상태에서 고정 포인트에 각각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응력의 세기에 따라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는 형상 변형이 발생하거나 심하게는 파손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 포인트에 압축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반대로, 상기 고정 포인트에 인장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이 장기간 반복하여 작용할 경우, 하중이 집중되는 제1 클램프 몸체(110)와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 간의 연결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여 결국에는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 사이(한 쌍의 플랜지와 나머지 한 쌍의 플랜지의 사이 영역), 및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와 제1 클램프 몸체(110)의 나사결합 플랜지(130) 사이에 거싯 플레이트(140, gusset plate)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거싯 플레이트(140)는 일종의 보강판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및 인장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클램프(100), 특히 2쌍의 플랜지(111,112,113,114)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여 파이프(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클램프 110: 제1 클램프 몸체
111,112,113,114: 플랜지 120: 제2 클램프 몸체
140: 거싯 플레이트

Claims (4)

  1. 양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된 제1 클램프 몸체; 및
    상기 파이프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 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제2 클램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양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클램프 몸체 또는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에 마련되는 2쌍의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2쌍의 플랜지 각각은 상기 제1 클램프 몸체 또는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 몸체와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에는 상호 간에 나사결합되도록 각각 나사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2쌍의 플랜지 사이, 및 상기 2쌍의 플랜지와 상기 제1 클램프 몸체 또는 상기 제2 클램프 몸체의 나사결합 플랜지 사이에는 거싯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듀얼 플랜지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쌍의 플랜지는, 상기 제1 클램프 몸체의 원호면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나사결합 플랜지에 수직하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듀얼 플랜지 클램프.
KR2020110010557U 2011-11-28 2011-11-28 듀얼 플랜지 클램프 KR200470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57U KR200470184Y1 (ko) 2011-11-28 2011-11-28 듀얼 플랜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57U KR200470184Y1 (ko) 2011-11-28 2011-11-28 듀얼 플랜지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39U KR20130003339U (ko) 2013-06-05
KR200470184Y1 true KR200470184Y1 (ko) 2013-12-02

Family

ID=5074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557U KR200470184Y1 (ko) 2011-11-28 2011-11-28 듀얼 플랜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23A (ko) 2018-04-13 2019-10-23 김광태 배관 버팀대용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8379A1 (de) * 1999-06-21 2000-12-28 Peter Kroll Abstandshalter für Rohrbündel
KR200264316Y1 (ko) 2001-10-22 2002-02-19 이호철 오수관 고정구
KR200395023Y1 (ko) 2005-06-02 2005-09-07 황병석 싱크대용 압착고정식 배수전
JP2011208778A (ja) 2010-03-30 2011-10-20 Sanwa Tekki Corp 配管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8379A1 (de) * 1999-06-21 2000-12-28 Peter Kroll Abstandshalter für Rohrbündel
KR200264316Y1 (ko) 2001-10-22 2002-02-19 이호철 오수관 고정구
KR200395023Y1 (ko) 2005-06-02 2005-09-07 황병석 싱크대용 압착고정식 배수전
JP2011208778A (ja) 2010-03-30 2011-10-20 Sanwa Tekki Corp 配管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23A (ko) 2018-04-13 2019-10-23 김광태 배관 버팀대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39U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84Y1 (ko) 듀얼 플랜지 클램프
KR20120130363A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101589196B1 (ko)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CN205678275U (zh) 一种乙二醇锑原料输送管道的墙壁减震装置
US11623581B2 (en) Side pack with channels
KR20130000141U (ko) 선박 블록의 리프팅 러그
CN204548404U (zh) 锚链止链结构
KR102521171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다단 분리 조립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101273923B1 (ko) Lng 저장탱크 조립체
CN104802934A (zh) 锚链止链结构
KR20150058676A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랙 및 그 설치 방법
KR20140107159A (ko) 해양구조물의 파이프 랙
CN110104549B (zh) 一种可调式平衡梁
KR101378980B1 (ko)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CN109914819B (zh) 用于建筑模块的运输支腿和建筑模块装置
KR20180000860U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펌프 타워의 지지구조
KR20150001713U (ko)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버티컬 베슬 지지 구조
KR20130099376A (ko) Lng선 탱크내부 작업용 사다리 고정 지그
CN209889064U (zh) 一种绑扎装置及具有其的工程船组、工程船运输系统
KR101444352B1 (ko) 선박의 구조물 결합방법
KR20180000309U (ko)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KR102490346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분리 구조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JP5096236B2 (ja) 配設体の支持具
KR20140006209U (ko) 펌프 설치용 더미 장치
KR20170000803U (ko) 배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