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980B1 -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980B1
KR101378980B1 KR1020120006699A KR20120006699A KR101378980B1 KR 101378980 B1 KR101378980 B1 KR 101378980B1 KR 1020120006699 A KR1020120006699 A KR 1020120006699A KR 20120006699 A KR20120006699 A KR 20120006699A KR 101378980 B1 KR101378980 B1 KR 10137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nnecting plate
pipe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710A (ko
Inventor
배준홍
서종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shoulder not being formed from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는 배관의 파이프에 결합된 플랜지의 상이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상기 플랜지가 밀착되기 위한 평판 형상의 판체를 갖되, 상기 판체의 중심에는 판체 두께 방향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판체의 외곽 위치에는 판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2개 이상으로 쌍을 이루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판부와, 상기 연결판부의 체결구멍에 관통하게 결합된 관체부와, 상기 연결판부에 밀착되게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몸체를 갖되,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판부의 장공에 대응되는 결합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플랜지고정부와, 상기 플랜지가 상기 연결판부와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연결판부의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조임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FLANGE OF PIPING}
본 발명은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정유, 화학, 발전 플랜트 등 산업현장에서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유체를 공급받는 장치에 사용되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건축물의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배관(piping)의 용도와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배관 부속품(pipe fitting)이 마련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선박, 정유, 화학, 발전 플랜트 등 산업현장에서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유체를 공급 받는 장치에서 배관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배관 부속품은 그 용도에 따라, 배관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엘보(elbow)와, 기존배관에서 새로운 배관을 분기시키는 티(tee)와, 배관과 다른 배관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유니온 이음(union joint)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배관 부속품과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배관과 배관 부속품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나사 이음(screw joint), 용접 이음(welding joint), 플랜지 이음(flange joint), 그루브 이음(grooved joint) 등이 있다.
특히, 플랜지를 이용한 배관 연결은 질소나 산소 혹은 정유, 가스 등을 실은 탱커(tanker)가 유연관(flexible hose)이나 배관을 이용하여 지상 또는 선박의 저장탱크나 기타 저장고 등 필요한 곳에 유체를 공급을 할 때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유체 화물을 공급 받는 탱크나 유체 화물을 공급하는 선박, 예컨대 탱커(tanker) 등의 배관 사이즈(혹은 플랜지 사이즈)가 서로 상이한 경우가 많기에, 탱커는 레듀서(reducer, 혹은 레듀샤)라는 부품을 가지고 다니면서, 공급받는 배관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하게 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데 레듀서를 이용하고 있다.
예컨대, 발명의 배경이 되는 하기의 특허문헌에는 파이프 레듀샤 연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연결 장치는 파이프(1a, 2a)의 직경 또는 플랜지(1b, 2b)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배관(1, 2)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관통하게 체결된 레듀서(3)일 수 있다.
레듀서(3)는 각각 대응되는 파이프(1a, 2a)의 플랜지(1b, 2b)의 규격에 맞는 레듀서 플랜지(3a, 3c)를 양단에 마련하고 있고, 레듀서 플랜지(3a, 3c)의 사이에 확장관 또는 축소관 구조의 중공형 몸체(3b)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탱커의 유체 화물을 공급처로 공급하기 위해 탱커와 공급처간 배관 연결을 할 때, 배관 직경 또는 플랜지 사이즈가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다양한 종류 또는 크기의 레듀서를 탱커 또는 공급처에 배관 규격별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산업현장의 레듀서는 그의 부피가 크고, 무게도 무겁고, 특히, 레듀서를 배관과 배관 사이에 연결할 때 적지 않은 노동력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065080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듀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파이프의 직경 또는 플랜지의 사이즈가 상이한 배관의 플랜지에 범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의 파이프에 결합된 플랜지의 상이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상기 플랜지가 밀착되기 위한 평판 형상의 판체를 갖되, 상기 판체의 중심에는 판체 두께 방향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판체의 외곽 위치에는 판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2개 이상으로 쌍을 이루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판부와, 상기 연결판부의 체결구멍에 관통하게 결합된 관체부와, 상기 연결판부에 밀착되게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몸체를 갖되,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판부의 장공에 대응되는 결합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플랜지고정부와, 상기 플랜지가 상기 연결판부와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연결판부의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고정부는, 상기 조임수단이 체결되지 않는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몸체의 중간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연결판부의 상기 장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공은, 상기 연결판부의 가로 방향, 세로 방향, 경사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상을 형성하되, 상기 장공간 평행하고 이격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부는, 상기 체결구멍과 결합되고, 상기 관체부의 반대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공형의 가이드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부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평판 형상, 모서리가 각진 사각형의 평판 형상, 원형의 평판 형상, 다각형의 평판 형상, 타원의 평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의 직경 또는 플랜지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상황에서 레듀서가 필요 없는 새로운 형태의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의 관체부와, 관체부의 끝단에 관통하게 결합된 연결판부와,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에 연결하려는 배관의 플랜지 사이즈에 대응하게 연결판부의 복수개의 장공을 따라 볼트 고정 위치를 조정한 후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랜지고정부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관의 플랜지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bar) 또는 빔(beam) 형상의 플랜지고정부의 몸체의 중간부위에 접촉돌기부를 더 구비하여, 볼트 및 너트 결합시 플랜지고정부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면서, 플랜지고정부에 굽힘 또는 벤딩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연결하려는 배관의 플랜지와의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상의 연결판부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관의 플랜지에 적합하게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관용 레듀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랜지고정부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랜지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판부에서 장공을 변형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전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후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에 연결하려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플랜지를 갖는 배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에 연결하려는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플랜지를 갖는 배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예간 유사구성이나 동일구성에 있어서는 유사하거나 도면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는 산업현장에서 앞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레듀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 플랜지(210) 및 파이프(220)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배관(200)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는 관체부(110), 연결판부(120), 플랜지고정부(130), 조임수단(140)인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관체부(110)는 산업현장에서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유체를 공급받는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 튜브, 연결관, 유연관 등이 될 수 있다.
만일, 관체부(110)가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 쪽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가 연결하려는 배관(200)은 유체를 공급받는 장치 쪽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판부(120)는 관체부(11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판부(120)는 관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의 판체를 갖되, 판체의 중심에서 판체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관체부(110)의 끝단부에 관통하고 기밀하게 결합되는 체결구멍(121)과, 체결구멍(121)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판체의 외곽 위치에서 평판 두께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게 형성되고, 복수개 또는 2개 이상으로 쌍을 이루는 장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멍(121)과 관체부(110)의 기밀한 결합은 용접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구멍(121)과 장공(122)은 기계 가공을 통해서 연결판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장공(122)은 연결판부(120)의 가로 방향, 세로 방향, 경사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상을 형성하되, 장공(122)간 평행하고 이격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판부(120)는 그의 체결구멍(121)과 관통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체부(110)의 반대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공형의 가이드돌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부(123)와 체결구멍(121)과의 결합도 용접 및 표면 가공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부(123)는 연결하려는 배관(200)의 플랜지(210)의 중심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질 수 있고, 플랜지(210)를 통해 유체가 유동하는 중심구멍과 대략적으로 일치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플랜지고정부(130)는 배관(200)의 플랜지(210)를 연결판부(120) 쪽으로 밀어 밀착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랜지고정부(130)는 플랜지(210) 사이즈에 대응하게 연결판부(120)의 복수개의 장공(122)을 따라 볼트 고정 위치를 조정한 후 조임수단(140)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210)와 연결판부(120)가 밀착될 경우, 관체부(110) 및 파이프(220)의 유체가 상호 유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수밀 또는 액밀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 플랜지(210)와 연결판부(120)의 사이에는 개스킷(G)(도 6 참조)이 더 개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조임수단(140)은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고, 일반적인 기계식 조임 수단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본 실시예에서 조임수단(140)이 볼트 및 너트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플랜지(210)가 연결판부(120)와 플랜지고정부(13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조임수단(140)은 플랜지고정부(130)의 결합구멍(131)과 연결판부(120)의 장공(122)에 결합됨으로써, 플랜지고정부(130)를 통해 플랜지(210)를 연결판부(120) 쪽으로 밀어 밀착시키는 지지력 또는 체결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랜지고정부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랜지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플랜지고정부(130)는 바(bar) 또는 빔(beam) 형상의 몸체와,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의 양단부에서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 각각 천공된 결합구멍(131)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에 대해서 살펴보면, 결합구멍(131)이 형성된 곳을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의 양단부라 지칭하고,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의 양단부의 사이를 몸체의 중간부위라 지칭할 수 있다.
즉,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의 양단부는 볼트와 같은 조임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고,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의 중간부위는 조임수단이 체결되지 않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런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의 중간부위에는 접촉돌기부(132)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고정부(130)의 결합구멍(131)의 천공 위치는 연결판부(120)의 장공(122)의 위치 및 크기를 고려하되, 볼트가 상호 일치된 결합구멍(131) 및 장공(122)을 통해 체결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부(132)는 기본적으로 플랜지고정부(13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랜지고정부(130)는 조임수단(140)인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려는 배관(200)의 플랜지(210)의 일측(예: 상부)과 타측(예: 하부)을 연결판부(120) 쪽으로 가압하도록, 플랜지(210)의 뒤쪽으로 배관(200)의 일측(예: 상부)과 타측(예: 하부)에서 상호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연결판부(12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조임수단(140)인 볼트 및 너트는 연결판부(120)의 해당 장공(122) 및 그에 대응하는 플랜지고정부(130)의 결합구멍(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 및 너트를 조임에 따라 플랜지고정부(130)의 접촉돌기부(132)는 플랜지(210)의 일측 표면과 타측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 결과, 배관(200)의 플랜지(210)는 접촉돌기부(132)를 갖는 플랜지고정부(130)에 의해 연결판부(120)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고정부(130)의 양측의 결합구멍(131)을 통해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F)이 플랜지고정부(130)의 양단부에 작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플랜지고정부(130)의 몸체의 중간부위에는 굽힘 또는 벤딩 현상(B)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촉돌기부(132)가 없는 경우, 상기와 같은 굽힘 또는 벤딩 현상에 의해 플랜지고정부(130)의 중간 부위가 플랜지(21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플랜지고정부(130)와 플랜지(210)간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접촉돌기부(132)가 플랜지고정부(13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굽힘 또는 벤딩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접촉돌기부(132)가 플랜지(210)의 표면에 먼저 밀착된 후, 플랜지고정부(130)의 양단부가 접촉돌기부(132)의 돌출된 높이에 대응한 간격 범위 내에서 플랜지(210)의 외곽 쪽으로 굽혀져 밀착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접촉돌기부(132)가 없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플랜지고정부(130)와 플랜지(210)간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판부에서 장공을 변형한 평면도이다.
연결판부(120a)는 2개 이상, 예컨대 4개로서 도 2의 장공(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장공(122a)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길이가 짧은 장공(122a)은 연결판부(120a)에서 천공 위치 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공(122)을 정밀하게 기계 가공하는데 비하여 상대적으로 기계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와 일반적인 배관의 플랜지간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전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후 측면도이다.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플랜지(210)와 파이프(220)를 갖는 배관(200)을 본 실시예에 따라 관체부(110)에 관통하게 연결된 연결판부(120)를 갖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에 상호 관통하게 연결시키도록,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와 배관(200)을 파이프(220)와 관체부(110)를 지나는 가상의 일직 선상에 배치한다. 이때, 연결판부(120)의 정면과 플랜지(210)의 정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면시킨다.
통상적으로 연결판부(120)의 정면과 플랜지(210)의 정면 사이에는 개스킷(G)이 더 개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플랜지고정부(130)의 접촉돌기부(132)가 플랜지(210)의 배면을 향하도록 한 후, 플랜지(210)의 배면의 일측(예: 상부)과 타측(예: 하부)에 각각 플랜지고정부(130)를 배치한다.
이후, 작업자의 인력 또는 볼트 체결 공구 등에 의해, 플랜지(210)의 배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조임수단(140)인 볼트의 나사부는 플랜지고정부(130)의 결합구멍(131)을 통과하고, 플랜지(210)의 외측 테두리를 지나고, 연결판부(120)의 장공(122)을 관통한 후, 연결판부(120)의 배면쪽에 배치된 너트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트 및 너트의 나사결합 도중, 가이드돌기부(123)는 연결하려는 배관(200)의 플랜지(210)의 중심구멍(211)에 삽입될 수 있다.
계속된 볼트 및 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플랜지고정부(130)의 접촉돌기부(132)가 플랜지(210)의 배면의 밀착되고, 결과적으로 플랜지고정부(130)가 배관(200)의 플랜지(210)를 연결판부(1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연결판부(120)의 면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배관(200)의 플랜지(210)의 사이즈가 연결판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거나 또는 크더라도, 플랜지(210)를 연결판부(120)에 밀착시켜, 결과적으로 유체가 관체부(210)로부터 파이프(110)까지, 또는 파이프(110)로부터 관체부(210)까지 유동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에 연결하려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플랜지를 갖는 배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에 연결하려는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플랜지를 갖는 배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는 플랜지(210, 210a)의 사이즈가 상이하더라도, 조임수단(140)인 볼트 및 너트를 풀어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상태가 결합구멍(131)과 장공(122)에서 느슨하게 한 후, 한 쌍의 플랜지고정부(130)를 연결판부(120)의 복수개의 장공(122)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또는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조임수단(140)인 볼트 및 너트를 다시 체결하여 플랜지(210, 210a)가 연결판부(120)에 밀착 및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과정 가운데, 작업자가 플랜지(210, 210a)와 연결판부(120) 밀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플랜지(210, 210a)의 파이프(220, 220a)와 연결판부(120)의 관체(110)가 상호 관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는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관(200)의 플랜지(210, 210a)에 범용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100)의 연결판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평판 형상뿐만 아니라, 모서리가 각진 사각형의 평판 형상, 원형의 평판 형상, 다각형의 평판 형상, 타원의 평판 형상 등을 갖도록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연결판부의 평판 형상은 본 실시예가 사용되려는 선박 또는 기타 사용 위치의 구조적 환경에 적합하게 선택되어, 기존 구조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거나, 형상별 차이에 따라 장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단순 설계 변경이 아닌 형상적 특징에 의한 작용 효과를 더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아울러, 장공(122)의 위치, 개수, 장공(122)의 구멍 연장 방향도 장공(122)을 통해 체결하려는 플랜지고정부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 내에서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기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관체부 120 : 연결판부
122 : 장공 123 : 가이드돌기부
130 : 플랜지고정부 131 : 결합구멍
132 : 접촉돌기부 140 : 조임수단

Claims (6)

  1. 배관의 파이프에 결합된 플랜지의 상이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상기 플랜지가 밀착되기 위한 평판 형상의 판체를 갖되, 상기 판체의 중심에는 판체 두께 방향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판체의 외곽 위치에는 판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2개 이상으로 쌍을 이루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판부와,
    상기 연결판부의 체결구멍에 관통하게 결합된 관체부와,
    상기 연결판부에 밀착되는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몸체를 갖되,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판부의 장공에 대응되는 결합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중간부위에는 굽힘 또는 벤딩 현상 발생시 상기 몸체의 중간부위가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접촉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플랜지고정부와,
    상기 플랜지가 상기 연결판부와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연결판부의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플랜지고정부의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연결판부의 상기 장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상기 연결판부의 가로 방향, 세로 방향, 경사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상을 형성하되, 상기 장공간 평행하고 이격된 배치 구조를 갖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부는,
    상기 체결구멍과 결합되고, 상기 관체부의 반대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공형의 가이드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부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평판 형상, 모서리가 각진 사각형의 평판 형상, 원형의 평판 형상, 다각형의 평판 형상, 타원의 평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갖는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KR1020120006699A 2012-01-20 2012-01-20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KR10137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99A KR101378980B1 (ko) 2012-01-20 2012-01-20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99A KR101378980B1 (ko) 2012-01-20 2012-01-20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10A KR20130085710A (ko) 2013-07-30
KR101378980B1 true KR101378980B1 (ko) 2014-04-02

Family

ID=4899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699A KR101378980B1 (ko) 2012-01-20 2012-01-20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847B1 (ko) * 2014-12-30 2022-05-13 세메스 주식회사 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644889B1 (ko) * 2015-12-21 2016-08-04 일월테크 주식회사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888U (ja) * 1992-12-28 1994-07-22 株式会社西原衛生工業所 管材の接続構造及び管継手
JP2008095814A (ja) 2006-10-11 2008-04-24 Calsonic Kansei Corp パイプ接続構造
KR20110024375A (ko) * 2009-09-02 2011-03-09 이건민 방진형 파이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888U (ja) * 1992-12-28 1994-07-22 株式会社西原衛生工業所 管材の接続構造及び管継手
JP2008095814A (ja) 2006-10-11 2008-04-24 Calsonic Kansei Corp パイプ接続構造
KR20110024375A (ko) * 2009-09-02 2011-03-09 이건민 방진형 파이프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10A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514B1 (ko) 지지 구조안에 통합된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US8186723B2 (en)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OA10870A (en) Pipeline branch arrangement
KR101378980B1 (ko)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KR20140008933A (ko) 배관 얼라인 장치
CN101147024B (zh) 安装或移除构件时使用的临时支撑结构
KR101004010B1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KR101762591B1 (ko) 코너패널 가압장치
KR20140043011A (ko) 파이프 연결용 엘보
US20230002200A1 (en) Spreader Structures for Lifting Loads
CN211821155U (zh) 一种石油化工管道安装用对接结构
CN214054244U (zh) 法兰连接管道工厂模块化预制的焊缝对口工具
CN216887892U (zh) 一种便于穿墙保护管运输的固定装置
CN206436152U (zh) 一种相邻管对接夹具
KR101994212B1 (ko) 파이프 연결구용 로드 및 이러한 로드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구
KR101475504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200470184Y1 (ko) 듀얼 플랜지 클램프
CN210231115U (zh) 一种机械生产制造用的管件快速折弯设备
CN215323169U (zh) 一种支撑装置
CN215981305U (zh) 一种可用于不同连接法兰镀锌风管
CN220761548U (zh) 一种管道焊接固定夹具
CN211059477U (zh) 一种管道安装支架
CN217272571U (zh) 一种用于管道对接的定位装置
CN104986288A (zh) 船舷边能源管线支架
CN205745774U (zh) 一种过桥弯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