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71U -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 Google Patents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71U
KR20170001571U KR2020150006960U KR20150006960U KR20170001571U KR 20170001571 U KR20170001571 U KR 20170001571U KR 2020150006960 U KR2020150006960 U KR 2020150006960U KR 20150006960 U KR20150006960 U KR 20150006960U KR 20170001571 U KR20170001571 U KR 20170001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transportation
barge
socket
s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929Y1 (ko
Inventor
남붕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2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서 반목을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운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 일정 간격으로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매입 형성되는 복수의 소켓; 및 상기 반목의 밑면에 상기 소켓으로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 돌출부;를 포함하는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반목의 설치는 물론 제거 또한 단시간 내에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Keelblock device for transportation barge}
본 고안은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서 반목을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운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체 항해 기능이 없는 해양구조물, 예를 들어 Platform, Semi-Rig 등에 Accommodation, Block 등(이하 '운송물'이라 한다)을 운송하고자 할 때 운송 바지선에 탑재하여 운송한다.
이렇게, 운송 바지선을 이용하여 운송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송 바지선의 갑판과 운송물 사이에 안전하게 운송이 이루어지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운송 바지선과 운송물 사이에 반목을 배치한다. 이때, 반목은 운송 바지선의 구조 강도를 고려하여 횡갑판보(Deck Trans. Web Frame)과 갑판종늑골(Deck Longitudinal Girder)이 위치하는 부분이나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운송 바지선과 운송물 사이에 배치되는 반목은 그 운송하고자 하는 운송물의 중량이나 크기에 따라 매번 위치가 변경되는 데, 종래 운송 바지선에 배치되는 반목의 경우 용접에 의해 갑판에 고정설치된 후 운송물의 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다시 제거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운송 바지선의 갑판이 심하게 손상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갑판 설계시 상기한 사항을 감안하여 필요 이상의 두꺼운 두께로 갑판을 제작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렇게, 갑판을 두껍게 제작하더라도 여러 번의 용접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갑판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아울러, 반복의 용접과 제거작업의 반복으로 인한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도 큰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반복에 대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05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의 선체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보다 종강도가 강화된 구조를 가지는 바지선과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164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선체블록에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선체블록의 바닥에 기 마련되어 있는 소켓의 플러그구멍을 이용하여, 선체블록과 고박장치 간 용접 없이 상호 고정시킬 수 있는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276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반목들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야간에도 정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체 지지용 반목 구조물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0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164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2764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용접에 의해 고정 및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운송물과의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나, 운송 바지의 갑판으로의 고정은 용접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용접으로 인한 고정 및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짐은 물론 운송물을 체결하기 위한 셋팅 과정 또한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셋팅작업에 따른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정렬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 설치되는 반목 구조물로, 운송 바지선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 하고자 하는 주된 기술적 과제는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서 반목을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운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 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목이 유동성 없도록 고정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 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목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소켓을 사용하지 않은 때는 패킹을 이용하여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반목으로 운송물을 거치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 배치되는 반목장치로서, 상기 반목장치는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 일정 간격으로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매입 형성되는 복수의 소켓; 및 상기 반목의 밑면에 상기 소켓으로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소켓은 횡갑판보(Deck Trans. Web Frame) 또는 갑판종늑골(Deck Longitudinal Girder)의 상부 또는 그 횡갑판보와 갑판종늑골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 돌출부는 복수의 소켓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삽입되어 반목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 돌출부는 반목의 밑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반목의 밑반목에는 운반을 위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이 더 형성된다.
상기 소켓에는 반목을 설치하지 않을 때는 메워지는 패킹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은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서 반목을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운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목의 설치는 물론 제거 또한 단시간 내에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운송 바지선의 갑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 그로 인한 경제성도 높은 효과도 수반된다.
또, 반목이 유동성 없도록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운송물을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반목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소켓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패킹을 결합시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반목을 설치시 빗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패킹만을 제거하여 소켓으로의 설치가 조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이 운송 바지선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운송 바지선에 설치되는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이 운송 바지선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이 운송 바지선에 설치되는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항해 기능이 없는 해양구조물에 반목(110)으로 운송물을 거치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운송 바지선(100)의 갑판(102) 상에 배치되는 반목장치(1)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서 반목을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운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반목장치(1)는 운송 바지선(100)의 갑판(102) 상에 일정 간격으로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매입 형성되는 복수의 소켓(10); 및 상기 반목(110)의 밑면에 상기 소켓(10)으로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 돌출부(20);를 포함한다.
소켓(10)은 통상적인 원통형이나 다각형 형태로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측면과 밑면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며, 운송 바지선의 갑판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브래킷이나 프레임 등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소켓의 상단을 갑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 소켓(10)은 운송 바지선(100)의 구조 강도를 고려하여 횡갑판보(Deck Trans. Web Frame, 104) 또는 갑판종늑골(Deck Longitudinal Girder, 106)의 상부 또는 그 횡갑판보(104)와 갑판종늑골(106)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운송 바지선의 구조 강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조건을 가진다.
삽입 돌출부(20)는 상기 소켓(1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소켓(10)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 돌출부(20)는 복수의 소켓(10)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삽입되어 반목(1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송 바지선에 운송물이 반목으로 거치되어 운항하는 과정에서 파랑 등에 의해 반목 자체가 어느 일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소켓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돌출부(20)는 반목(110)의 밑면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공지된 방식인 돌기와 홈 또는 나사 결합방식이나 핀 결합 방식, 브래킷 고정방식 등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목 또는 삽입 돌출부의 손상 시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운송 바지선의 갑판에 형성된 복수의 소켓으로 그 운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위치의 소켓으로 반목의 밑면으로 형성된 삽입 돌출부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삽입 돌출부는 복수 개로 형성하여 각 소켓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삽입함에 따라 반목이 유동성 없도록 고정한다.
더욱이, 반목은 운송물의 크기에 따라 운송 바지선의 갑판으로 형성된 소켓으로 적정하게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최단시간 내에서 반목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종래와 같이 반목을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고 운송이 완료된 시점에서 다시 제거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반목을 용접하고 제거함으로 인한 운송 바지선의 갑판의 두께 또한 상당히 두께게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도 해소한다.
또한, 운송물의 운송이 완료된 시점에서도 반목을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거 또한 최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이로써, 본 고안은 운송 바지선의 갑판에 운송물을 운송하기 위해 배치되는 반목을 용접 고정식이 아닌 갑판으로부터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설치시간은 물론 제거시간 또한 최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운송하고자 하는 운송물의 크기에 적정한 위치에 신속하게 설치함으로써, 운송 효율성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갑판을 두껍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 그로 인한 경제적인 효율성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반목은 작게는 수십 미터에서 크게는 수 미터 이상의 높이와 무게를 가지는 관계로, 비교적 크고 무거운 반목을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반목(110)은 통상적으로 상부로부터 침목(110a), 웨지반목(110b), 중간반목(110c) 및 밑반목(110d)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고안은 반목(110)의 밑반목(110d)에 운반을 위한 지게차(도시하지 않음)의 포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30)을 더 형성한다.
그에 따라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서 지게차를 사용하여 반목을 필요로 하는 소켓의 위치로 보다 손쉽고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운반하여 설치는 물론 제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소켓을 사용하지 않을 때, 그 소켓으로 물이 고이거나 각종 이물질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소켓(10)에는 반목(110)을 설치하지 않을 때는 메워지는 통상적인 연질의 고무 등과 같은 패킹(40)을 더 포함한다.
즉, 평상시 반목을 설치하지 않을 때의 소켓은 하나의 홈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물이 고이거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일 수 있는 관계로, 패킹을 삽입시켜 놓으므로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물질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그로 인해 반목을 설치하고자 할 때 소켓으로 삽입되어 있는 패킹을 분리시켜 조속히 반목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반목을 분리시킨 후에는 패킹을 다시 소켓으로 삽입함에 따라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반목을 설치시에도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 : 반목장치
10 : 소켓 20 : 삽입 돌출부
30 : 삽입공 40 : 패킹
100 : 운송 바지선 102 : 갑판
104 : 횡갑판보 106 : 갑판종늑골
110 : 반목 110a : 침목
110b : 웨지반목 110c : 중간반목
110d : 밑반목

Claims (6)

  1. 반목으로 운송물을 거치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 배치되는 반목장치로서,
    상기 반목장치는 운송 바지선의 갑판 상에 일정 간격으로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매입 형성되는 복수의 소켓; 및
    상기 반목의 밑면에 상기 소켓으로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켓은 횡갑판보 또는 갑판종늑골의 상부 또는 그 횡갑판보와 갑판종늑골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출부는 복수의 소켓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삽입되어 반목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출부는 반목의 밑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목의 밑반목에는 운반을 위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반목을 설치하지 않을 때는 메워지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KR2020150006960U 2015-10-27 2015-10-27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KR200483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60U KR200483929Y1 (ko) 2015-10-27 2015-10-27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60U KR200483929Y1 (ko) 2015-10-27 2015-10-27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71U true KR20170001571U (ko) 2017-05-10
KR200483929Y1 KR200483929Y1 (ko) 2017-07-11

Family

ID=5871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60U KR200483929Y1 (ko) 2015-10-27 2015-10-27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2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3550B2 (en) * 2003-03-12 2006-08-22 Lynden Incorporated Barge construction and freight hauling system
KR100932050B1 (ko) 2007-07-25 2009-12-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종강도가 보강된 바지선
KR101281644B1 (ko) 2011-05-23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20140028237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 커버
KR20140002764U (ko) 2012-11-0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지지용 반목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3550B2 (en) * 2003-03-12 2006-08-22 Lynden Incorporated Barge construction and freight hauling system
KR100932050B1 (ko) 2007-07-25 2009-12-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종강도가 보강된 바지선
KR101281644B1 (ko) 2011-05-23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20140028237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 커버
KR20140002764U (ko) 2012-11-0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지지용 반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929Y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97B1 (ko) 컨테이너 고박용 아이플레이트가 구비된 선박
US10611292B2 (en) Cargo restraint method
CN101171172B (zh) 船上货物的锚定装置
JP6176580B2 (ja) 貨物専用ラッシングブリッジ
US10647504B2 (en) Cargo restraint assembly
US10611558B2 (en) Cargo restraint assembly
CN104284851B (zh) 用于贮存和/或运输大尺寸玻璃板的支架
KR101311221B1 (ko) 콘크리트 부유체 고정구 및 콘크리트 부유체
US201201893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straining cargo
CN104619919A (zh) 船用碰垫及相关维护方法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200483929Y1 (ko) 운송 바지선용 반목장치
US20080187422A1 (en) Transporting platform and transporting module
TWI688518B (zh) 用於支撐在貨船的甲板上待運輸之貨櫃的設備
TW201433524A (zh) 用來將待運送的貨櫃支撐在貨船上的支撐件,用來在貨船上載運貨物的貨櫃,支撐貨櫃的方法及用來支撐貨櫃的繫橋
KR20130110467A (ko)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KR101313164B1 (ko) 선박 건조용 계선주
KR20130062784A (ko) 해상에서 선박을 접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연결블록
CN112027378A (zh) 一种组合框架箱
KR101459618B1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KR101483552B1 (ko)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릿지
FR2540821A1 (fr) Vaisseau avec un systeme de conduites dispose en son fond
US10245996B1 (en) Boat trailer
KR20110080777A (ko) 핸드레일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CN203211789U (zh) 运输平台及具有该运输平台的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