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18B1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618B1
KR101459618B1 KR1020130036433A KR20130036433A KR101459618B1 KR 101459618 B1 KR101459618 B1 KR 101459618B1 KR 1020130036433 A KR1020130036433 A KR 1020130036433A KR 20130036433 A KR20130036433 A KR 20130036433A KR 101459618 B1 KR101459618 B1 KR 10145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casing
deck
buoyancy
rail assembly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538A (ko
Inventor
박민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B63B35/4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with adjustable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Abstract

본 발명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갑판 위에서 부력 케이싱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 형태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력 케이싱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있어서, 선실은 선체의 갑판 일측에 배치되되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부력 케이싱은 선체의 갑판 위에 복수로 설치되되, 부력 케이싱의 저면은 갑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장치;부력 케이싱에 대한 이동 경로를 갑판 위에 제공하는 레일 조립체;상기 레일 조립체를 따라 구름되며, 부력 케이싱이 안착되는 스키드 롤러;상기 레일 조립체에 설치되며, 스키드 롤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힘을 발생하는 동력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weight carrier}
본 발명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적하고자 하는 중량물 형태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무게, 형상, 크기 등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 화물선으로는 상기 화물에 대한 운송이 불가능한데, 이러한 화물(Project Cargo)을 운반할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건조된 운반선이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이다.
상기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종류로는 헤비 리프트 바셀(Heavy Lift Vessel), 도크 타입 바셀(Dock Type Vessel) 그리고 오픈 데크 바셀(Open Deck Vessel) 등이 있다.
이들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중량물의 안정적인 운반을 위하여,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선체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밸러스트 평형(Ballast balance)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는 밸러스트 평형 측정 장치 즉,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이 설치된다.
부력 케이싱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에서 추가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도 1과 같이 갑판(upper deck) 위 선미 부분에 설치되는 박스형 구조물이다.
이때, 부력 케이싱(10)은 선체의 양측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선미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부력 케이싱(10)은 용접을 통해 갑판 위에 고정이 되며, 부력 케이싱(10)의 저면 테두리 모두가 용접됨으로 인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이용한 중량물 선적 및 하적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10)을 구성하는 밸러스트 물탱크에 물을 주입하여 선체 갑판(20)을 수면 아래로 잠수시킨다.
다음으로, 중량물, 예컨대 반건조선, 해양구조물 등을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갑판 위에 선적시킨다.
이때, 중량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케이싱(10)과 선실(30) 사이에 확보된 공간에 선적된다.
이후, 중량물에 대한 선적 작업이 완료되면, 밸러스트 물탱크를 비워 반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갑판(20)을 바다위로 상승시킨다.
즉, 부력 케이싱(10)의 부력에 의해 잠수된 선체의 갑판(20)이 바다 위로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중량물에 대한 적재가 완료되면,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운항하여 목적지로 상기 중량물을 운반시킨다.
이후,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중량물을 하적하기 위하여 부력 케이싱(10)에 물을 채워 반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갑판(20)을 잠수시킨다.
이후, 반잠수된 중량물 운반선으로부터 중량물을 육상으로 하적시킴으로써 중량물에 대한 운반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선미에 부력 케이싱(10)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중량물을 적재하기 위한 갑판(20)의 공간 활용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중량물의 형태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바, 부력 케이싱(10)의 간섭으로 인해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중량물 적재가 필요한 경우에 중량물 적재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물론, 부력 케이싱(10)을 갑판으로부터 떼어내어 부력 케이싱(1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중량물 적재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으나, 부력 케이싱(10)은 저면 테두리 모두가 용접된 상태이므로 갑판(20)으로부터 부력 케이싱(10)을 떼어내는 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0-004588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 케이싱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갑판의 공간 활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력 케이싱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있어서, 선실은 선체의 갑판 일측에 배치되되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부력 케이싱은 선체의 갑판 위에 복수로 설치되되, 부력 케이싱의 저면은 갑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장치;부력 케이싱에 대한 이동 경로를 갑판 위에 제공하는 레일 조립체;상기 레일 조립체를 따라 구름되며, 부력 케이싱이 안착되는 스키드 롤러;상기 레일 조립체에 설치되며, 스키드 롤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힘을 발생하는 동력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스키드 롤러는, 몸체;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레일 조립체를 따라 구름되는 복수의 구름부재;상기 몸체의 상부에 축 결합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력 케이싱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갑판으로부터 부력 케이싱의 저면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고정 서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서포트는 갑판에 볼팅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잭 업(Jack-up)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회전판에는 상향 돌출된 복수의 결합핀이 형성되고, 부력 케이싱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기초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름부재는, 몸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레일 조립체의 양측면을 따라 구름되는 가이드 바퀴와,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 조립체의 상면을 따라 구름되는 주행 바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 실린더는 스키드 롤러 및 레일 조립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력 케이싱의 중량을 비교적 가볍게 설계하되, 복수로 제공함으로써 선체의 밸런스 유지를 위한 작업을 디테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갑판 위의 선실 배치를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중량물 적재에 대한 갑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력 케이싱이 고정 서포트에 의해 갑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갑판으로부터 부력 케이싱을 탈부착시키는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갑판에 대한 부력 케이싱의 고정 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부력 케이싱의 탈부착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력 케이싱이 갑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부력 케이싱의 하방에서의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부력 케이싱에 대한 승강 작업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잭업 등의 리프팅 장치를 부력 케이싱의 하방에 배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부력 케이싱에 대한 이동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넷째, 갑판 위에 레일을 설치하되, 레일 조립체를 통해 레일을 이용한 부력 케이싱의 이동 경로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갑판 위에서 상기 부력 케이싱을 다양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레일 위를 따라 이동되는 스키드 롤러에는 결합핀이 형성되고, 부력 케이싱의 저면에는 결합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레일을 따라 부력 케이싱의 이동시 부력 케이싱이 안정감 있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주요 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주요 장비 중 스키드 롤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 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가 부력 케이싱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 부력 케이싱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 부력 케이싱이 안착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선적되는 중량물에 따라 부력 케이싱이 이동되어 배치된 상태의 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부력 케이싱을 갑판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 확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와, 선실(30)과,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실(30)은 선원들의 공간 및 운항을 위한 조종실이 구비되며, 선체의 갑판(20)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갑판(20) 위에서의 선실 배치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갑판(20)의 적재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으로써, 길이가 긴 중량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은 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갑판(20) 위에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부력 케이싱(100)은 평형수를 저장하는 용량을 줄여 크기를 줄이되 복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며, 선체의 균형 유지를 디테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부력 케이싱(100)은 갑판(2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는, 부력 케이싱(100)의 저면 전체가 갑판(20)에 용접되었던 종래와는 달리, 부력 케이싱(100)을 갑판(20)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갑판(20)에 대한 고정 부위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갑판(20)과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리프팅 장치를 부력 케이싱의 하방에 배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부력 케이싱(100)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고정 서포트(11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서포트(110)의 높이는 부력 케이싱(100)의 하중 및 높이 등을 고려하여 대략 60 ~ 80cm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 서포트(110)는 갑판(2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거나 볼팅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력 케이싱(100)의 저면에는 부력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기초부재(120)가 설치된다.
기초부재(120)는 후술하는 스키드 롤러의 결합핀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상기 기초부재(120)에는 결합핀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비는 리프팅 장치(200)와, 레일 조립체(300)와, 스키드 롤러(400)와, 동력 실린더(500)로 구성된다.
리프팅 장치(200)는 부력 케이싱(100)을 갑판(20)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복수로 배치된다.
이때, 리프팅 장치(200)는 잭업(jack-up) 장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8개 정도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레일 조립체(300)는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갑판 (20)위에 설치되되 리프팅 장치(200)와는 간섭이 되지 않도록 리프팅 장치(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레일 조립체(300)는 복수의 레일 유닛이 결합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레일 유닛의 결합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키드 롤러(400)는 구름 작용을 통해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 레일 조립체(300)에 설치된다.
스키드 롤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0)와, 구름부재(420)와, 회전판(430)을 포함한다.
몸체(410)는 부력 케이싱(100)을 실어 나르는 부위이며, 레일 조립체(30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몸체(410)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동력 실린더(5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411)가 형성된다.
구름부재(420)는 레일 조립체(300)를 따라 몸체(4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름 역할을 하며, 몸체(41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름부재(420)는 레일 조립체(300)로부터 몸체(4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바퀴(421)와, 레일 조립체(300)를 따라 구름되면서 몸체(410)를 주행시키는 주행 바퀴(422)로 구성된다.
가이드 바퀴(421)는 몸체(410)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레일 조립체(300)의 측면을 따라 구름되도록 축 결합된다.
주행 바퀴(422)는 몸체(410)의 하부에 복수로 설치되며, 레일 조립체(300)의 상면을 따라 구름되도록 설치된다.
즉, 가이드 바퀴(421)는 레일 조립체(30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축 결합되며, 주행 바퀴(422)는 레일 조립체(3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축 결합되는 것이다.
회전판(430)은 부력 케이싱(100)이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부위이며, 몸체(4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판(430)에는 복수의 결합핀(431)이 형성된다.
결합핀(431)은 부력 케이싱(100)의 기초부재(120)에 형성된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구성이며, 회전판(4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을 향해 설치된다.
즉, 부력 케이싱(100)이 회전판(43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이 기초부재(120)의 삽입홈(121)에 삽입됨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시 안정감 있는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결합핀(431)은 회전판(4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판(430)은 몸체(410)의 상부에 축 결합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된다.
이는, 고정되어 있는 기초부재(120)에 대하여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된 기초부재(120)의 삽입홈(121)에 대하여 회전판(43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방향에 관계없이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이 삽입홈(121)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스키드 롤러(400)의 높이는 리프팅 장치(200) 높이보다 높은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즉, 부력 케이싱(100)이 안착되는 스키드 롤러(400)의 최고점이 리프팅 장치(20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스키드 롤러(400)를 따라 이동되는 부력 케이싱(100)은 리프팅 장치(200)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동력 실린더(500)는 레일 조립체(300) 상에서 스키드 롤러(400)를 밀거나 당기면서 스키드 롤러(400)에 안착된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의 일단부는 레일 조립체(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력 실린더(500)의 타단부는 스키드 롤러(400)의 결합부(4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의 타단부라 함은 피스톤 로드의 단부를 말한다.
즉,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몸체에 출입되면서 스키드 롤러(4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서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200) 및 레일 조립체(300) 등의 장비들을 보관장소로부터 이동하고자하는 부력 케이싱(100)의 일측으로 운반시킨다.
상기 장비들은 모두 각각 유닛들로 제공된 상태이므로, 평상시에는 별도의 보관 장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할 경우에만 부력 케이싱 (100)주위로 운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리프팅 장치(200) 즉, 잭업 장치를 배치시킨다.
이때, 부력 케이싱(100)은 고정 서포트(110)에 의해 갑판(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잭업 장치(200)의 배치는 큰 무리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갑판(20) 위에 고정된 고정서포트(110)를 갑판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는, 부력 케이싱(100)을 갑판(20)으로부터 리프팅 시키기 위함으로써, 볼트를 풀어내거나 용접부위를 해제시킴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갑판(20)에 고정된 부위의 면적이 적기 때문에, 부력 케이싱(100)에 대한 분리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유압장치(Hydraulic power unit)를 작동하여 복수의 잭업 장치(200)로 하여금 부력 케이싱(100)을 들어올린다.
이때, 부력 케이싱(100)의 하중이 각각의 잭업 장치(200)에 분산될 수 있도록, 잭업 장치(200)의 높이를 수시로 체크하여 유압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 갑판(20)에 레일 조립체(300)를 고정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미리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경로를 정하여 복수의 레일 유닛들을 이동 방향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레일 조립체(300)는 부력케이싱(100)의 하방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리프팅 장치(200)와는 간섭되지 않는 부위,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설치된 리프팅 장치(200)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조립체(300) 위에 복수의 스키드 롤러(4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스키드 롤러(400)는 레일 조립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8개 정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 롤러(400)의 가이드 바퀴(421)는 레일 조립체(300)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주행 바퀴(422)는 레일 조립체(300)의 상면에 밀착이 된다.
다음으로, 동력 실린더(500)를 레일 조립체(300)에 결합시킨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의 일단부는 레일 조립체(300)에 결합이 되고, 동력 실린더(500)의 타단부는 스키드 롤러(400)의 결합부(411)에 결합이 된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를 모든 스키드 롤러(400)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부력 케이싱(100)의 중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동력 실린더(5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정도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을 들어올리고 있던 잭업 장치(200)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100)을 서서히 하강시킨다.
이때 부력 케이싱(100)은 하방에 배치된 스키드 롤러(400)의 회전판(430)에 안착이 되는데,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재(120)의 삽입홈(121)에 삽입이 된다.
이에 따라, 부력 케이싱(100)은 스키드 롤러(400) 상에서 큰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배치된 잭업 장치(200)를 외측으로 빼낸다.
다음으로, 유압장치를 작동하여 동력 실린더(500)로 하여금 스키드 롤러(400)를 밀어낸다.
이에 따라, 스키드 롤러(400)는 레일 조립체(300)를 따라 구름되며, 스키드 롤러(400)에 안착된 부력 케이싱(100)은 동력 실린더(500)의 피스톤 로드의 인출 길이만큼 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레일 조립체(300)로부터 동력 실린더(500)를 분리시킨 후, 스키드 롤러(400)가 이동된 위치의 레일 조립체(300) 위에 재결합시킨다.
이때, 동력실린더(500)는 스키드 롤러(400)의 결합부(411) 및 레일 조립체(3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이므로,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무리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부력 케이싱(100)을 목적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목적하는 위치에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복수의 잭업 장치(200)를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배치시킨 후, 잭업 장치(200)로 하여금 부력 케이싱(100)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다음으로, 레일 조립체(300) 및 스키드 롤러(400) 등의 장비를 해체시킨다.
다음으로, 잭업 장치(200)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100)을 서서히 하강시킨다.
이후, 부력 케이싱(100)의 고정 서포트(110)가 갑판(20) 위에 닿으면,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갑판 위의 모든 부력 케이싱(100)은 다른 위치로 이동이 될 수 있으며, 그들의 배치는 갑판(20) 위에 선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부력 케이싱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선적되는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부력 케이싱 110 : 고정 서포트
120 : 기초부재 121 : 삽입홈
200 : 리프팅 장치 300 : 레일 조립체
400 : 스키드 롤러 410 : 몸체
411 : 결합부 420 : 구름부재
421 : 가이드 바퀴 422 : 주행바퀴
430 : 회전판 431 : 결합핀
500 : 동력 실린더

Claims (7)

  1. 부력 케이싱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있어서,
    선실은 선체의 갑판 일측에 배치되되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부력 케이싱은 선체의 갑판 위에 복수로 설치되되, 부력 케이싱의 저면은 갑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장치;
    부력 케이싱에 대한 이동 경로를 갑판 위에 제공하는 레일 조립체;
    상기 레일 조립체를 따라 구름되며, 부력 케이싱이 안착되는 스키드 롤러;
    상기 레일 조립체에 설치되며, 스키드 롤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힘을 발생하는 동력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스키드 롤러는, 몸체;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레일 조립체를 따라 구름되는 복수의 구름부재;상기 몸체의 상부에 축 결합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갑판으로부터 부력 케이싱의 저면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고정 서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서포트는 갑판에 볼팅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잭 업(Jack-up)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향 돌출된 복수의 결합핀이 형성되고, 부력 케이싱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기초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는,
    몸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레일 조립체의 양측면을 따라 구름되는 가이드 바퀴와,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 조립체의 상면을 따라 구름되는 주행 바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실린더는 스키드 롤러 및 레일 조립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KR1020130036433A 2013-04-03 2013-04-03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KR10145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33A KR101459618B1 (ko) 2013-04-03 2013-04-03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33A KR101459618B1 (ko) 2013-04-03 2013-04-03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38A KR20140120538A (ko) 2014-10-14
KR101459618B1 true KR101459618B1 (ko) 2014-11-07

Family

ID=5199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433A KR101459618B1 (ko) 2013-04-03 2013-04-03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730B1 (ko) * 2018-05-09 2019-11-1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고중량 가전 이동 및 회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7788A (en) 1977-09-14 1981-05-19 Blanco Manuel G Self-stabilized elevator-float for drydocking or floating any type of vessel
KR860000132B1 (ko) * 1981-06-26 1986-02-26 비스물러 비이·브이 운송선박
JPS61115797U (ko) * 1984-12-17 1986-07-22
KR20100051452A (ko) * 2008-11-07 2010-05-17 주식회사 에버텍 중량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7788A (en) 1977-09-14 1981-05-19 Blanco Manuel G Self-stabilized elevator-float for drydocking or floating any type of vessel
KR860000132B1 (ko) * 1981-06-26 1986-02-26 비스물러 비이·브이 운송선박
JPS61115797U (ko) * 1984-12-17 1986-07-22
KR20100051452A (ko) * 2008-11-07 2010-05-17 주식회사 에버텍 중량물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730B1 (ko) * 2018-05-09 2019-11-1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고중량 가전 이동 및 회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38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12350B (zh) 海上风轮机安装
JP6222644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方法および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バージ
SU1308189A3 (ru) Морское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е грузов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лавучестью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CN107416141A (zh) 海上钻探船
CN102356021B (zh) 用于装载和运输大结构的滑靴组件
EP2465764B1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AU2012100144A4 (en) Hyperbaric lifeboat recovery system
KR101459618B1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AU2010216206B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US10625991B2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KR101466888B1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KR20140005995U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용 모노레일장치
KR20120126999A (ko) 채광용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RU2377155C1 (ru) Морское грузовое судно для подъема, погрузки-вы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затонувших объектов в пункт приема
KR20140046624A (ko) 채광용 선박의 전자석 계류 시스템 및 채광용 선박의 계류 방법
KR101255683B1 (ko) 부유식 크레인
RU2479460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KR102022097B1 (ko) 일체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및 상기 선양장에서의 도킹방법
KR101598694B1 (ko) 계류 장치를 갖는 선미 구조 및 이를 갖는 드릴쉽
KR20190108877A (ko) 소형선박용 인양 크레인
KR101499162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KR20170041468A (ko) 해상도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