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75B1 -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75B1
KR101246075B1 KR1020100061194A KR20100061194A KR101246075B1 KR 101246075 B1 KR101246075 B1 KR 101246075B1 KR 1020100061194 A KR1020100061194 A KR 1020100061194A KR 20100061194 A KR20100061194 A KR 20100061194A KR 101246075 B1 KR101246075 B1 KR 10124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vessel
vessel
fixing device
natural gas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752A (ko
Inventor
박지순
박상도
임재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부유식 선박을 고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유식 선박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해저면에 안착시키거나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해저면에 안착시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부유식 선박 간에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고, 부유식 선박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깊은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수중 지지 부재를 갖는 선박 고정 장치에 고정시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부유식 선박 간에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VESSEL FIXING DEVICE AND LNG OFFLOADING TES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LNG)의 하역 테스트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 생산 설비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FLNG)을 포함하는 대형 선박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선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석유, 가스는 그간 연안에서 비교적 쉽게 개발했지만 이제는 점차 심해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석유업계에는 해상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 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가 새로이 등장했고, 천연가스부문에서는 액화천연가스 생산 설비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FLNG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이하 'FLNG'라 함)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FLNG 개발 이전 천연가스는 가스전에서 뽑아 올린 후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육상 LNG 플랜트에 저장해 두었다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 :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에 선적, 운송하여 왔으나, 경제성이 점차 떨어지면서 해상 공간에서의 생산, 저장, 하역을 수행할 수 있는 FLNG가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액화천연가스(LNG)를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선박 형태의 구조물은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운용에 앞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해야만 하는데,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가스 트라이얼(gas trial)이라고 하며, 이러한 가스 트라이얼은 일반적으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102, LNGC)의 경우 하역 터미널(101)에 입항한 후,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103)를 통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102, LNGC)과 하역 터미널(101)을 연결하여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역 터미널(101)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102, LNGC)이 입항하여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지만,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FLNG(104)와 같은 부유식 선박의 경우 그 크기가 하역 터미널(101)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그 선박 길이, 폭, 수심 등을 고려할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역 터미널(101)에 입항한다는 것이 사실상 어렵고, 이러한 이유로 FLNG(104)와 같은 부유식 선박에 대한 가스 트라이얼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FLNG 선박을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의 해저면에 가라 앉힌 후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를 통해 연결하여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선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FLNG 선박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해저면에 고정시키고,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를 통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연결하여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선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사각형판 형태를 가지며,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 상기 부유식 선박을 안착시키는 지지판 부재와, 상기 지지판 부재에 체결되어 나사 방식 또는 용접 방식으로 상기 부유식 선박을 상기 지지판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박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부유식 선박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이 선정되면, 상기 부유식 선박의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부유식 선박을 가라앉히는 단계와, 가라앉힌 상기 부유식 선박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접근시켜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를 통해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하역 테스트가 완료되면, 상기 부유식 선박을 부양시켜 다음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부유식 선박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해저면에 안착시키거나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해저면에 안착시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부유식 선박 간에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고, 부유식 선박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깊은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수중 지지 부재를 갖는 선박 고정 장치에 고정시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부유식 선박 간에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외부 해양 환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켜 안정적으로 선박 대 선박 간의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에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해저면에 선박을 가라 앉혀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선박을 고정시켜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의 지지판 부재와 고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의 지지판 부재와 고박 부재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의 지지판 부재와 고박 부재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선박을 고정시켜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부유식 선박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해저면에 안착시키거나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해저면에 안착시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부유식 선박 간에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고, 부유식 선박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깊은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수중 지지 부재를 갖는 선박 고정 장치에 고정시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부유식 선박 간에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해저면에 선박을 가라 앉혀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유식 선박(202)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을 선정한 후에, 선정된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의 해저면을 평탄화하고, 예를 들면, FLNG 등을 포함하는 부유식 선박(202)을 자체 중량(예를 들면, 밸러스트수, 추가 중량 부재 등)을 이용하여 해저면에 가라앉힌다. 이때, 밸러스트수 또는 추가 중량 부재를 이용하여 자체 중량을 너무 많이 증가시킬 경우 다시 부양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자체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을 해저면에 가라앉힌 부유식 선박(202)의 근접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203)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과 부유식 선박(202)을 연결시킨 후에, 액화천연가스를 이송시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액화천연가스의 이송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에서 부유식 선박(202)으로 진행되거나 부유식 선박(202)에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후,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가 완료되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과 부유식 선박(202)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시키며, 부유식 선박(202)은 예를 들면, 밸러스트수 배출, 추가 중량 부재 제거 등의 방식으로 자체 중량을 감소시켜 부양시키고, 부양된 부유식 선박(202)은 다음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지역(예를 들면, 조선소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선박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해저면에 가라앉혀 외부 해양 환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선박 대 선박 간의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FLNG 등을 포함하는 부유식 선박을 해저면에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고정시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선박을 고정시켜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유식 선박(202)의 높이보다 더 깊은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을 선정한 후에, 선정된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의 해저면을 평탄화하고, 예를 들면, FLNG 등을 포함하는 부유식 선박(202)을 선박 고정 장치(300)에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선박 고정 장치(300)는 예를 들면, 지지판 부재(310), 고박 부재(320), 수중 지지 부재(330)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판 부재(310)는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부유식 선박(202)의 길이, 폭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사각형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박 부재(320)는 지지판 부재(310)와 연결되어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나사 방식(즉, 볼트 및 너트 형태), 용접 방식 등의 구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 방식의 경우 지지판 부재(310)를 관통하여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통해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고, 용접 방식의 경우 지지판 부재(310)에 판 형태의 고박 부재(320)를 직접 용접하여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수중 지지 부재(330)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의 수심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판 부재(31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예를 들면, 사다리꼴 모양, 직사각형 모양 등과 같은 사각형 모양의 격자 형태를 갖는 다수의 사항(斜杭) 또는 다수의 수직항(vertical pile)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을 해저면에 가라앉힌 부유식 선박(202)의 근접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203)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과 부유식 선박(202)을 연결시킨 후에, 액화천연가스를 이송시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액화천연가스의 이송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에서 부유식 선박(202)으로 진행되거나 부유식 선박(202)에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후,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가 완료되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과 부유식 선박(202)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시키며, 부유식 선박(202)은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체결 해제, 용접 분리 등의 방식으로 선박 고정 장치(300)와 부유식 선박(202)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부유식 선박(202)은 다음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지역(예를 들면, 조선소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심이 상대적으로 깊은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선박 고정 장치에 고정시켜 외부 해양 환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선박 대 선박 간의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선박 고정 장치에서 부유식 선박을 지지하는 지지판 부재와, 지지판 부재에 연결되어 부유식 선박을 지지판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박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의 지지판 부재와 고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의 지지판 부재와 고박 부재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판 부재(310)는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부유식 선박(202)의 길이, 폭 등을 고려하여 직사각형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고박 부재(320)를 통해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박 부재(320)를 구성하는 고박 로드(322)의 이동을 위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이동홈(3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홈(311)을 구비하는 이유는 부유식 선박(202)의 안착 위치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고박 부재(32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박 부재(320)는 지지판 부재(310)와 연결되어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나사 방식(즉, 볼트 및 너트 형태), 용접 방식 등의 구성 부재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박 헤드(321), 고박 로드(322), 고박 너트(323), 고박판(3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 방식의 경우 고박판(324)에 구비된 체결홈과 지지판 부재(310)에 구비된 이동홈(311)을 관통하여 고박 로드(322)를 고박 너트(323)에 체결함으로써, 고박판(324)을 이용하여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고, 용접 방식의 경우 지지판 부재(310)와 고박 부재(320)를 나사 방식 또는 용접 방식으로 체결한 후, 고박 부재(320)를 구성하는 판 형태의 고박판(324)을 직접 용접하여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박판(324)은 그 수직 측면이 부유식 선박(202)에 밀착되어 부유식 선박(202)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지지함으로써, 부유식 선박(202)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 방식의 경우 고박 로드(322)와 고박 너트(323)가 체결되는 부분을 용접하고, 고박판(324)이 부유식 선박(202)과 밀착되는 그 수직 측면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부유식 선박(202)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접 방식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박 로드(322)와 고박 너트(323)가 체결되며 지지판 부재(310)와 밀착되는 하부 수평면(③)을 용접하여 지지판 부재(310)와 고박 부재(320)를 연결시킬 수 있고, 부유식 선박(202)과 밀착되는 수직 측면(①)을 용접하여 부유식 선박(202)을 고박 부재(302)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박 헤드(321)와 고박판(324)이 접촉되는 수평면(②)을 추가로 용접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부유식 선박(202)의 전체 하중에 따라 지지판 부재(310)에 수평 방향으로 가중되는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판 부재(310)에 구비된 직사각형 형태의 이동홈(311)의 전체 영역(a)에서 고박 로드(322)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b)에 예를 들면, 합성 수지, 금속 계열의 충진재 등을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 부재의 상부에 안착된 부유식 선박을 고박 헤드, 고박 로드, 고박 너트, 고박판을 포함하는 고박 부재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액화천연가스의 가스 트라이얼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 고정 장치가 부유식 선박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해 이를 구성하는 고박 부재와 연결되는 지지판 부재가 갖는 다양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의 지지판 부재와 고박 부재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해 고박 부재(320)와 연결되는 지지판 부재(3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하는 각각의 고박 부재(320a)와 체결되어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하는 지지판 부재(310a)는 부유식 선박(202)의 폭, 길이 등에 대응하여 하나의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하는 각각의 고박 부재(320b)와 체결되어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하는 지지판 부재(310b)는 부유식 선박(202)의 폭, 길이 등에 대응하여 부유식 선박(202)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의 사각형 형태(즉, 두 개의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하는 각각의 고박 부재(320c)와 체결되어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하는 지지판 부재(310c)는 부유식 선박(202)의 폭, 길이 등에 대응하여 부유식 선박(202)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하는 각각의 고박 부재(320d)와 체결되어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하는 지지판 부재(310d)는 부유식 선박(202)의 폭, 길이 등에 대응하여 부유식 선박(202)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지지판 부재를 가질 수 있어 해저 구조물의 크기 및 자재량을 경감시킴으로써, 선박 고정 장치의 제작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FLNG 등을 포함하는 부유식 선박을 해저면에 안착시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선박을 고정시켜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유식 선박(202)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을 선정한 후에, 선정된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의 해저면을 평탄화하고, 예를 들면, FLNG 등을 포함하는 부유식 선박(202)을 자체 중량(예를 들면, 밸러스트수, 추가 중량 부재 등)을 이용하여 해저면을 향해 가라앉혀 그 해저면에 위치하는 해저 선박 고정 장치(300a)에 안착시킨 후에, 안착된 부유식 선박(202)을 해저 선박 고정 장치(300a)에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해저 선박 고정 장치(300a)는 예를 들면, 지지판 부재(310), 고박 부재(320)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판 부재(310)는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부유식 선박(202)의 길이, 폭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사각형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박 부재(320)는 지지판 부재(310)와 연결되어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나사 방식(즉, 볼트 및 너트 형태), 용접 방식 등의 구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 방식의 경우 지지판 부재(310)를 관통하여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통해 지지판 부재(310)와 체결한 후, 고박 부재(320)의 수직 측면을 부유식 선박(202)에 밀착시킴으로써, 부유식 선박(202)을 지지판 부재(3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용접 방식의 경우 지지판 부재(310)에 판 형태의 고박 부재(320)의 수직 측면을 부유식 선박(202)에 밀착시키고, 밀착된 수직 측면을 직접 용접하여 지지판 부재(310)에 부유식 선박(202)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을 해저면에 위치하는 해저 선박 고정 장치(300a)를 통해 고정시킨 부유식 선박(202)의 근접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203)를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과 부유식 선박(202)을 연결시킨 후에, 액화천연가스를 이송시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액화천연가스의 이송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에서 부유식 선박(202)으로 진행되거나 부유식 선박(202)에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후,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가 완료되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201)을 부유식 선박(202)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예를 들면, 밸러스트수 배출, 추가 중량 부재 제거 등의 방식으로 자체 중량을 감소시켜 부양시키고, 부양된 부유식 선박(202)을 다음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지역(예를 들면, 조선소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부유식 선박(202)은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체결 해제, 용접 분리 등의 방식으로 해저 선박 고정 장치(300a)와 부유식 선박(202)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선박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을 갖는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는 부유식 선박을 선박 고정 장치에 고정시켜 해저면에 안착시킴으로써, 외부 해양 환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켜 안정적으로 선박 대 선박 간의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01 :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202 : 부유식 선박
203 :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 300 : 선박 고정 장치
300a : 해저 선박 고정 장치 310 : 지지판 부재
311 : 이동홈 320 : 고박 부재
321 : 고박 헤드 322 : 고박 로드
323 : 고박 너트 324 : 고박판
330 : 수중 지지 부재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이 선정되면, 부유식 선박의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부유식 선박을 가라앉히는 단계와,
    상기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에서 가라앉힌 상기 부유식 선박을 지지판 부재를 이용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지지판 부재에 체결되는 고박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나사방식 또는 용접방식으로 상기 부유식 선박을 상기 지지판 부재에 고정시키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접근시켜 액화천연가스 이송 장치를 통해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하역 테스트가 완료되면, 상기 부유식 선박을 부양시켜 다음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역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이 상기 부유식 선박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심이면, 상기 부유식 선박을 해저면에 가라앉히거나 상기 해저면에 지지되는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상기 부유식 선박을 고정시키는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선박은, 상기 선박 고정 장치에 안착되는 위치가 가변함에 따라 고박되는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선박 고정 장치에 고정되는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선박은, 상기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의 수심에 따라 상기 선박 고정 장치에 구비된 수중 지지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선박 고정 장치를 통해 상기 해저면에 지지되는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선박을 가라앉히는 단계는, 상기 가스 트라이얼 작업 해역이 선정되면, 그 해역 해저면을 평탄화한 후에 상기 부유식 선박을 가라앉히는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밸러스트수 배출 및 추가 중량물 제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부유식 선박을 부양시키는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KR1020100061194A 2010-06-28 2010-06-28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KR10124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94A KR101246075B1 (ko) 2010-06-28 2010-06-28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94A KR101246075B1 (ko) 2010-06-28 2010-06-28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52A KR20120000752A (ko) 2012-01-04
KR101246075B1 true KR101246075B1 (ko) 2013-04-01

Family

ID=4560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194A KR101246075B1 (ko) 2010-06-28 2010-06-28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386B1 (ko) * 2013-12-06 2020-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KR102170043B1 (ko) * 2018-08-24 2020-10-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KR102170045B1 (ko) * 2018-08-24 2020-10-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KR102175552B1 (ko) * 2018-10-30 2020-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296A (ja) 1983-08-08 1984-03-27 Hitachi Zosen Corp プラント台船の固定方法
JPS59228515A (ja) * 1983-06-10 1984-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上作業台の固定方法
JPH06179393A (ja) * 1992-12-14 1994-06-28 Mitsubishi Heavy Ind Ltd 接岸船舶の船体固定装置
KR200412610Y1 (ko) * 2005-12-30 2006-03-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8515A (ja) * 1983-06-10 1984-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上作業台の固定方法
JPS5953296A (ja) 1983-08-08 1984-03-27 Hitachi Zosen Corp プラント台船の固定方法
JPH06179393A (ja) * 1992-12-14 1994-06-28 Mitsubishi Heavy Ind Ltd 接岸船舶の船体固定装置
KR200412610Y1 (ko) * 2005-12-30 2006-03-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52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10247B2 (en) Ring wing floating platform
US6652192B1 (en) Heave suppressed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and method of installation
CA2407139C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6666624B2 (en) Floating, modular deepwater platform and method of deployment
US8616806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AU2017269088B2 (en) A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KR101246075B1 (ko)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Wang et al. Latest progress in floatover technologies for offshore installations and decommissioning
US20050120935A1 (en) Central pontoon semisubmersible floating platform
NO321609B1 (no) Fremgangsmate for montering av et dekk pa en fast eller flytende offshore-baerekonstruksjon og pongtong for bruk ved slik montering
AU2015203127B1 (en) An lng production plant and a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lng production plant
US7270071B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movable offshore structure
CN105539750A (zh) 浮式生产储卸油系统单点采油平台
AU4084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k installation on an offshore substructure
KR101300707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의 지지구조
AU2010216206B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US20070224000A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floating structure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KR20160148762A (ko)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KR101715061B1 (ko) 선택 부유형 레그드 플랫폼 설비와 이의 건조방법 및 운용방법
KR20170026001A (ko) 부유식 해양플랜트
KR20150001825U (ko) 해양구조물용 슬라이드형 고정부재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20140133706A (ko) 엘엔지 저장 부유식 구조물의 가스 트라이얼용 계류 시스템
KR101964217B1 (ko)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20160118793A (ko) 캔틸레버 로드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