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762A -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8762A KR20160148762A KR1020150084998A KR20150084998A KR20160148762A KR 20160148762 A KR20160148762 A KR 20160148762A KR 1020150084998 A KR1020150084998 A KR 1020150084998A KR 20150084998 A KR20150084998 A KR 20150084998A KR 20160148762 A KR20160148762 A KR 201601487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ssel
- wall
- ship
- quay
- s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 B63B9/04—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Abstract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은, 노후한 선박을 수리 및 개조하여 안벽선박을 형성하고, 안벽선박을 가라 앉힌 후, 육지에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연결 결합한다. 그러므로, 계획에서부터 설치완료까지 상대적으로 단시간이 소요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노후한 선박으로 안벽선박을 형성하므로, 안벽선박의 양측에 선박을 계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도크를 이용하여 선박을 건조, 개조, 수리 및 검사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도크의 수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도크 안에서 하여야 할 필수 작업을 수행한 후, 선박을 신속하게 도크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도크(Dock)란, 내부의 물을 빼거나 내부로 물을 넣어서 선박을 바닥에 앉히거나 띄울 수 있는 시설이다.
한편, 도크의 외부로 이동된 선박 중, 추가의 작업이 필요한 선박은 안벽(岸壁)에 접안된다. 그런데, 안벽 또한 도크와 마찬가지로 수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많은 수량의 안벽이 필요한 실정이다.
안벽이란, 선박이 안전하게 접안하여 화물 및 여객을 처리할 수 있는 벽면을 가진 선박 계류시설을 말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벽은 계획에서부터 설치완료까지 최소 5년이라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안벽의 구조상, 양측벽에 선박을 계류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벽은, 육지에 형성되어 바다측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 가라 앉아 하면은 해저면에 접촉 고정되고, 상면은 해수면의 상측에 위치되어 크레인이 탑재 설치되며, 자신의 길이방향 일단부측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측과 연결된 안벽선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벽 제조방법은, 노후 선박을 입수하여 안벽선박으로 수리 및 개조하는 단계; 육지에 형성되어 바다측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측으로 상기 안벽선박을 이동한 후, 상기 안벽선박의 발라스트 탱크에 물을 주입하여 상기 안벽선박을 가라 앉혀 상기 안벽선박의 하면을 해저면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안벽선박을 해저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은, 노후한 선박을 수리 및 개조하여 안벽선박을 형성하고, 안벽선박을 가라 앉힌 후, 육지에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연결 결합한다. 그러므로, 계획에서부터 설치완료까지 상대적으로 단시간이 소요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노후한 선박으로 안벽선박을 형성하므로, 안벽선박의 양측에 선박을 계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벽선박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벽선박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벽선박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벽(100)은 육지에 형성되어 바다측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110)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다측을 향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단부측에는 안벽선박(130)의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안벽선박(130)은 노후한 선박을 입수하여 수리 및 개조한 것으로, 입수한 노후한 선박의 갑판에 설치된 선각과 의장품을 철거하고, 갑판에 크레인용 레일(131)과 크레인(133) 등을 설치하며, 외판을 도장할 수 있다.
노후한 선박을 수리 및 개조하여 형성한 안벽선박(130)은 가라 앉혀져 하면이 해저면에 접촉 고정될 수 있고, 상면인 갑판은 해면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측이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혀, 안벽선박(130)의 하면을 해저면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안벽선박(130)의 발라스트 탱크(135)에는 물이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안벽선박(130)에는 밸브(137)가 설치될 수 있고, 밸브(137)는 안벽선박(130)이 가라 앉혀질 때, 발라스트 탱크(135)로 해수가 더욱 신속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힐 때, 평형수 주입유닛(미도시) 및 밸브(137)를 통하여 물이 발라스트 탱크(135)로 유입되므로, 안벽선박(130)이 신속하게 가라 앉혀질 수 있다.
가라 앉아서 하면이 해저면과 접촉하는 안벽선박(130)이 안정되게 가라 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벽선박(130)은 로프나 체인 등에 의하여 해저면에 래싱(Lashing)될 수 있다. 그리고, 안벽선박(130)을 더욱 안정되게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발라스트 탱크(135) 또는 안벽선박(130)의 빈 공간에 웨이트를 넣을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경화된 시멘트, 경화된 젤 또는 고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웨이트의 중량에 의하여 안벽선박(130)이 더욱 안정되게 해저면에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110)과 안벽선박(130) 사이에는 연결부(120)가 설치될 수 있고, 해저면에는 안벽선박(130)의 하면 일측 부위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안벽선박(13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벽(100)은, 노후한 선박을 수리 및 개조하여 안벽선박(130)을 형성하고,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힌 후,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연결 결합한다. 그러므로, 계획에서부터 설치완료까지 상대적으로 단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노후한 선박으로 안벽선박(130)을 형성하므로, 안벽선박(130)의 양측에 선박(50)을 계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벽의 제조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는 초대형 원유 운반선 등과 같은 노후한 선박을 입수할 수 있고, 단계(S120)에서는 입수한 노후한 선박을 수리 및 개조하여 안벽선박(130)으로 형성할 수 있다. 노후한 선박의 수리 및 개조 작업은 노후한 선박의 갑판에 설치된 선각과 의장품을 철거하고, 갑판에 크레인용 레일(131)과 크레인(133) 등을 설치하며, 외판을 도장하는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수리 및 개조에 의하여 형성된 안벽선박(130)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안벽선박(130)은 육지에 형성되어 바다측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11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후,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혀 안벽선박(130)의 하면을 해저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히기 위하여 안벽선박(130)의 발라스트 탱크(135)에 물을 주입하는 단계(S14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안벽선박(130)을 더욱 신속하게 가라 앉히고자 할 경우에는, 안벽선박(130)에 설치된 밸브(137)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면, 안벽선박(130)이 가라 앉을때, 해수가 밸브(137)를 통하여도 발라스트 탱크(135)로 주입되므로, 안벽선박(130)이 신속하게 가라 앉을 수 있다.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히기 전에, 해저면에 지지부재(140)를 설치할 수 있고, 지지부재(140)에는 안벽선박(130)의 하면 일측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안벽선박(13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S150)에서는 가라 앉은 안벽선박(130)을 해저면에 고정할 수 있고, 안벽선박(130)은 로프(139) 등에 의하여 래싱(Lashing)되어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안벽선박(130)을 해저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발라스트 탱크(135)에 물을 주입하여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히고(S140), 발라스트 탱크(135)에 웨이트를 넣는 단계(S145)를 수행한 다음, 안벽선박(130)을 해저면에 고정(S150)할 수 있다. 그러면, 웨이트의 중량에 의하여 안벽선박(130)이 더욱 안정되게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60)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단부측과 안벽선박(130)의 길이방향 일단부 사이에 연결부(120)를 설치할 수 있고, 단계(S170)에서는 필요한 후작업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제조방법은, 노후한 선박을 수리 및 개조하여 안벽선박(130)을 형성하고, 안벽선박(130)을 가라 앉힌 후, 육지에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연결 결합한다. 그러므로, 계획에서부터 설치완료까지 상대적으로 단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노후한 선박으로 안벽선박(130)을 형성하므로, 안벽선박(130)의 양측에 선박을 계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콘크리트 구조물
130: 안벽선박
130: 안벽선박
Claims (9)
- 육지에 형성되어 바다측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
가라 앉아 하면은 해저면에 접촉 고정되고, 상면은 해수면의 상측에 위치되어 크레인이 탑재 설치되며, 자신의 길이방향 일단부측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측과 연결된 안벽선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선박의 발라스트 탱크에는 상기 안벽선박을 해저면에 가라 앉혀 상기 안벽선박의 하면을 해저면와 접촉시키기 위한 물이 유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선박에는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탱크 또는 상기 안벽선박의 빈 공간에는 상기 안벽선박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웨이트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안벽선박 사이에는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해저면에는 상기 안벽선박의 하면 일측 부위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안벽선박은 상기 해저면에 래싱(Lashing)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 노후 선박을 입수하여 안벽선박으로 수리 및 개조하는 단계;
육지에 형성되어 바다측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측으로 상기 안벽선박을 이동한 후, 상기 안벽선박의 발라스트 탱크에 물을 주입하여 상기 안벽선박을 가라 앉혀 상기 안벽선박의 하면을 해저면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안벽선박을 해저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선박의 발라스트 탱크에 물을 주입할 때, 상기 안벽선박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하여 해수가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 주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물이 주입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 또는 상기 안벽선박의 빈 공간에 웨이트를 넣어서 상기 안벽선박을 해저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선박을 가라 앉히기 전에 상기 해저면에 상기 안벽선박의 하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안벽선박을 해저면에 래싱(Lashing)하여 고정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안벽선박 사이에 연결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998A KR20160148762A (ko) | 2015-06-16 | 2015-06-16 |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998A KR20160148762A (ko) | 2015-06-16 | 2015-06-16 |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8762A true KR20160148762A (ko) | 2016-12-27 |
Family
ID=5773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4998A KR20160148762A (ko) | 2015-06-16 | 2015-06-16 |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876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1151A1 (en) | 2016-11-09 | 2018-05-16 | LS Automotive Corp | Steering angle detecting apparatus |
KR20210113109A (ko) | 2021-08-19 | 2021-09-15 | 임춘만 | 노후된 선박에 위치한 빌딩로봇으로; 펄 위에 떠있는 공공임대아파트 |
KR102312883B1 (ko) * | 2021-04-06 | 2021-10-13 |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
-
2015
- 2015-06-16 KR KR1020150084998A patent/KR20160148762A/ko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1151A1 (en) | 2016-11-09 | 2018-05-16 | LS Automotive Corp | Steering angle detecting apparatus |
KR102312883B1 (ko) * | 2021-04-06 | 2021-10-13 |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
KR20210113109A (ko) | 2021-08-19 | 2021-09-15 | 임춘만 | 노후된 선박에 위치한 빌딩로봇으로; 펄 위에 떠있는 공공임대아파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ang et al. | Latest progress in floatover technologies for offshore installations and decommissioning | |
KR20080080194A (ko) | 계류 시스템 | |
KR101771360B1 (ko) | 플로터 고정형 연안 생산 저장 하역 설비 | |
JP2008030702A (ja) | 浮体間係留方法および装置 | |
CA3011226A1 (en) | A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 |
KR101206759B1 (ko) | 소형 선박 부양장치 | |
CN105129047A (zh) | 一种船用o型舷外橡胶护舷的固定装置及固定方法 | |
KR20160148762A (ko) |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 |
US9061749B2 (en) | Method for dry-docking a floating unit | |
KR20140035588A (ko) | 불연속 선저부를 가지는 부양식 선체 및 그 조립방법 | |
KR100907680B1 (ko) | 건조 공법 및 건조 공법용 구조물 | |
WO2015136086A1 (en) |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 |
US20140072371A1 (en) | Platform deck installation and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 |
RU2309221C2 (ru) | Комплекс для монтажа морской ледостойкой переставной платформы и способ е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монтажа посредством комплекса для монтажа | |
KR101948639B1 (ko) | 부력 장치 | |
RU2719650C1 (ru) |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амоподъемной плавучей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 |
RU2224680C1 (ru) |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плавучей полупогружной буровой платформы | |
KR20150137353A (ko) |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추가 부력탱크 탈착구조 | |
KR100923404B1 (ko) | 플로팅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공법을 적용한시스템 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 |
RU2603340C1 (ru) |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 |
van Diemen et al. | Displacing 10,000 t of water to install 2,500 t of steel buoy at 250m below sea level | |
KR101707412B1 (ko) | 해저 브리지 시스템 | |
KR20150049808A (ko) |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구조물 진수공법 | |
KR20170124714A (ko) | 플로팅 도크에서의 선박 또는 해양 부유체 건조 공법 | |
KR101964835B1 (ko) | 해양구조물 진수 설비 및 해양구조물 진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