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610Y1 -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610Y1
KR200412610Y1 KR2020050037235U KR20050037235U KR200412610Y1 KR 200412610 Y1 KR200412610 Y1 KR 200412610Y1 KR 2020050037235 U KR2020050037235 U KR 2020050037235U KR 20050037235 U KR20050037235 U KR 20050037235U KR 200412610 Y1 KR200412610 Y1 KR 200412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hore structure
mooring force
improved
friction member
offsh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7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6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의 탐사와 채취, 그리고 그 에너지원의 운송에 따른 하역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는 해양구조물에 있어, 상기 해양구조물의 바닥면에 치마(Skirt)형상의 부가물을 장착시켜, 자중에 의해 가라앉는 구조물과 해저면의 마찰력을 증대되게 함으로써, 계류력을 증대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계류력 증대에 따라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형태를 이루도록 한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이 해저면에 착저되는 해양구조물에 있어;
상기, 해상구조물은 그 바닥 전면에 걸쳐 치마(skirt) 모양의 마찰부재를 일체로 장착 , 구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해상구조물, 계류력,

Description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Sea Bottom Fixed Type Marine Structure with Mooring Force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의 개략 설치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의 저면 사시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해상구조물 2 : 마찰부재
본 고안은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해저면으로 가라앉는 구조물에 있어,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에 마찰력 증대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부가물을 장착시켜 계류력을 향상되도록 한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한 경제성장과 고도의 산업화에 따라 각종 산업시설의 증설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나, 육상의 공간 부족, 지가 상승, 지역 주민들과의 마찰, 공해문제 등의 각종 난제로 인해 육상에서의 새로운 산업시설 입지확보가 크게 어려워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이에, 이러한 입지확보 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건설기간을 단축하고 건설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안이 해양공간을 이용한 해상구조물(BMP :Barge mounted plant)의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구조물은 통상 수심에 따라 고정식, 반잠수식, 부유식으로 분류되고, 이들은 주로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의 탐사와 채취, 그리고 그 에너지원의 하역 터미널로 이용되며, 기타 레져, 항만 및 환경 시설 등으로도 이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상구조물은 육상시설과 대비하여 볼 때 인구 밀집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므로 지역주민들과의 마찰이나 공해문제가 없고,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아울러 건조기간의 단축과 입지 구입비의 불필요로 인해 경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근래에 개발된 해상구조물의 기술동향을 살펴보면 부선 설치플랜트의 종류로서, 발전소, 엘엔지(LNG) 저장탱크, 메타놀 플랜트, 하수처리장, 해수처리시설 등이 있고, 이러한 설치방법에는 해안이나 강변에 접하는 부유형 또는 착저 식, 혹은 해안에서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형 또는 착저식 등이 있음을 알수 있다.
그러나, 향후의 발전될 기술에 있어서는, 엘엔지(LNG) 운송의 증가와 더불어 하역 터미널의 한 종류로서, 보다 진보된 형태의 해상구조물이 등장할 것이 예견되는바, 이에 해상구조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계류력을 향상되도록 한 해저고정식 해양구조물(GBS:Gravity Based Structure) 설치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또 다른 해결과제로 남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이용되고 있는 해상구조물 설치에 관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의 탐사와 채취, 그리고 그 에너지원의 운송에 따른 하역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는 해양구조물에 있어, 상기 해양구조물의 바닥면에 치마(Skirt)형상의 부가물을 장착시켜, 자중에 의해 가라앉는 구조물과 해저면의 마찰력을 증대되게 함으로써, 계류력을 증대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계류력 증대에 따라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형태를 이루도록 한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바닥면이 해저면에 착저되는 해양구조물에 있어;
상기, 해상구조물은 그 바닥 전면에 걸쳐 치마(skirt) 모양의 마찰부재를 일체로 장착 , 구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의 개략 설치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에,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은 크게 해상구조물(1)과 마찰부재(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상구조물(1)은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의 탐사와 채취, 그리고 그 에너지원의 하역 터미널에 이용됨은 물론, 기타 레져, 항만 및 환경 시설 등에 이용되는 통상의 구조물로서, 본 고안은 이러한 구조물의 용도나 형상 등에 구애받음 없이 바닥면이 해저면에 가라앉는 해상구조물에 대하여 어느 것에나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2)는 전술한 해상구조물(1)의 바닥면 크기와 형상에 따라 설치면적이 가변되며, 그 바닥면 전면에 걸쳐, 일체화된 형태로 장착, 구성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마찰부재(2)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마(Skirt) 형상을 취하며,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격자무늬 모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 하다.
이때, 전술한 마찰부재(2)는 해저면의 지질형태 내지 지질형상에 따라 그 설치규격이 결정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있어서의 그 규격은(길이)는 구조물 바닥으로부터 약 2~3m 정도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제한 구성토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 다르게 이와같이 형성되는 마찰부재는 해수접촉에 의한 부식방지를 위해 그 표면을 도장(도색) 처리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이 해저면에 가라앉는 해양구조물(1)의 바닥면 전면에 걸쳐 치마(skirt) 모양을 취하는 마찰부재(2)를 용접 등의 접합방식을 이용, 일체로 장착, 구성되게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을 구현하게 된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계류의 한 방법으로서, 먼저 해상구조물(1)의 자중에 의해 그 해상구조물(1)을 해저면 까지 가라앉도록 하고, 이어 상기 가라앉은 해상구조물(1)의 바닥면 구성, 즉 그 바닥 전면에 걸쳐 장착된 마찰부재(2)를 해저면에 안착시켜 마찰력을 증대토록 하는 방법을 통해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해상구조물의 설치에 있어, 마찰부재(2)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격자무늬 모양을 취함에 따라 마찰면적의 증대와 그 해상구조물(1)의 강도를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며, 이와 같은 마찰부재(2)는 그 설치 시 마찰력이 미 설치시 보다 약 1.3 ~ 2.0배의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고안고안른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은 그 해상구조물의 바닥면에 치마(Skirt)형상의 부가물을 장착시켜, 자중에 의해 가라앉는 구조물과 해저면의 마찰력을 증대되게 한 것으로, 이는 부가물(마찰부재)의 마찰력에 의한 계류력 증대에 따라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바닥면이 해저면에 가라앉는 해양구조물(1)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1)은 그 바닥 전면에 걸쳐 치마(skirt) 모양의 마찰부재(2)가 일체로 장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2)는 격자모양을 취하고;
    상기, 격자모양을 취하는 마찰부재(2)의 길이는 해양 구조물의 바닥으로부터 2~3m 범위로 제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2)는 해수접촉에 따른 부식방지를 위해 도장처리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KR2020050037235U 2005-12-30 2005-12-30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KR200412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35U KR200412610Y1 (ko) 2005-12-30 2005-12-30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35U KR200412610Y1 (ko) 2005-12-30 2005-12-30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610Y1 true KR200412610Y1 (ko) 2006-03-29

Family

ID=4176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235U KR200412610Y1 (ko) 2005-12-30 2005-12-30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6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75B1 (ko) * 2010-06-28 2013-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KR20150066233A (ko) 2013-12-06 2015-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75B1 (ko) * 2010-06-28 2013-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KR20150066233A (ko) 2013-12-06 2015-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KR102117386B1 (ko) * 2013-12-06 2020-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ddier et al. WindFloat: a floating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s—part I: design basis and qualification process
KR101697676B1 (ko) 수력 터빈 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771358B1 (ko) 플로터 고정형 연안 생산 저장 하역 설비
CN104040075A (zh) 一种用于安装海上塔的方法
TR200200765T2 (tr) İniş Köprüsü
CN104627331A (zh) 一种风力发电浮式基础
KR200412610Y1 (ko) 계류력을 향상시킨 해저 고정식 해상구조물
KR20140120154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의 트러스형 하부 구조물
CN103552659A (zh) 能够快速布设的轻型航道浮标
JP2001248535A (ja) 風力発電装置
Abanades Wind energy in the Mediterranean spanish ARC: the application of gravity based solutions
KR20130027837A (ko) 조립식구조의 다목적 부유식(浮游式) 소파제(消波提)
KR20150144981A (ko) 연근해에서의 해양플랜트 모듈 시스템 및 그 해양플랜트 모듈 설치방법
KR102098658B1 (ko) 권취장치탑재선을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부유식 구조물
KR20170026001A (ko) 부유식 해양플랜트
KR102117386B1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KR101370525B1 (ko) 준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준 고정식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30031032A (ko) 칼럼 타입 중력식 해양구조물의 해저면 침하방법
KR20170021143A (ko) 반잠수식 fpu를 재활용한 고정식 해양구조물, 설치방법 및 이를 가지는 해양플랜트
KR101606692B1 (ko) 연근해에서의 해양플랜트 시스템 및 그 해양플랜트 시스템의 콘크리트 케이슨
KR102144424B1 (ko) 인장계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Peiffer et al. Floating wind turbines: The new wave in offshore wind power
KR102067255B1 (ko) 해상 공사용 부력식 앵커 블럭
NL2024159B1 (en) A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off-shore devices for generating electricity to the shore, and a floater
Takata et al. Combining Floating and Grounded LNG Plant, LNG Storage and Power Units Offshore for Gas Field Develo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