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40Y1 -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40Y1
KR200477040Y1 KR2020130006179U KR20130006179U KR200477040Y1 KR 200477040 Y1 KR200477040 Y1 KR 200477040Y1 KR 2020130006179 U KR2020130006179 U KR 2020130006179U KR 20130006179 U KR20130006179 U KR 20130006179U KR 200477040 Y1 KR200477040 Y1 KR 200477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hook
coupling
hook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518U (ko
Inventor
박병각
우원규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4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는 크레인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1 홀을 가지는 복수 개의 후크, 상기 복수 개의 후크 사이의 거리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제1 바디부,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복수 개의 후크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제2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2 홀을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1 후크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후크의 두께 또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만큼 상기 제1 바디부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Hook Combiner for Crane}
본 출원은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시, 크레인에 연결되는 화물이 한쪽으로 치우침에 따라 크레인 인양능력 저하를 방지하고자 고안된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화물 등 대상물을 운반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크레인을 이용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대상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대상물에 연결되는 특정 개수의 와이어(Wire) 또는 후크(hook)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대형의 규격화된 크기의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하여, 크레인은 한쌍의 4개로 이루어진 총 8개의 와이어를 구비한다.
한편, 선박에서는 필요에 따라 대형의 대상물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대상물에 와이어 또는 후크를 연결하는 경우도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종래의 크레인은 대형의 대상물보다 작은 대상물에 와이어가 연결된 경우,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90도보다 큰 둔각(α) 또는 90도 보다 작은 예각을 가지면서 대상물에 연결된다. 이러한 둔각(α) 또는 예각을 가지는 와이어가 크레인과 대상물에 연결되는 경우,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경우에 비하여 와이어에 더 큰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크레인과 와이어의 연결부분 또는 와이어와 대상물에 연결부분에 예상치 못한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되어 연결부분에 파손이 일어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대상물을 와이어에 연결한 후, 대상물을 바닥에서 들어올릴 경우, 대상물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크레인의 인양능력을 저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후크(Hook) 중량이 기준치 이상 걸리게 되면 안정성을 이유로 전체 크레인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의 중지는 운영시간 및 운영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대상물에 다수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와 와이어 간에 간섭이 일어나 이 또한 작업 시간 지연과 크레인 운영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44106호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크레인의 설계 변경 없이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1 홀을 가지는 복수 개의 후크, 상기 복수 개의 후크 사이의 거리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제1 바디부,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복수 개의 후크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제2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2 홀을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연결부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두께 또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만큼 상기 제1 바디부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부를 관통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바디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바디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는 복수 개의 후크를 하나의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써, 크레인과 대상물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또는 최소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물과 연결되는 와이어(Wire)와 후크(Hook) 개수를 줄여서 크레인의 운영시간을 단축 할 수 있으며 또한 크레인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형의 규격화된 대상물을 운반하는 기존의 크레인의 설계 변경을 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에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바디부 사이에 스프레더가 연결됨으로써, 대상물을 인양시 와이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이 대형의 대상물보다 작은 대상물에 와이어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에 연결되는 다양한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경보알람장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100)는 복수 개의 후크(200), 제1 바디부(110), 제1 결합부(310), 연결부(230), 제2 결합부(320) 및 제2 바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후크(200)는 크레인(10)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와이어(11)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1 홀(23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10)은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일 수 있고, 지브 붐 크레인(Jib-boom Crane) 또는 플로팅 크레인(Floating Crane Crane)등 모든 크레인을 지칭한다. 상기 크레인(10)은 화물 등 대상물(20)을 지지할 수 있는 수평빔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10)은 제1 와이어(11)를 권취하거나 권양할 수 있는 윈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는 상기 복수 개의 후크(200) 사이의 거리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후크(200)는 제1 후크(210) 및 제2 후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바디부(110)는 상기 제1 후크(210)와 상기 제2 후크(220)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큰 너비를 가지게 된다.
제1 결합부(310)은 상기 제1 바디부(110)에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제1 홀(230)에 대응되며, 상기 제1 홀(23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복수 개의 후크(20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31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310)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N)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후크(20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에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연결부(240)는 제2 와이어(12)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2 홀(24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와이어(12)의 일단은 상기 크레인(10)을 이용하여 운반시키려는 화물 등 대상물(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와이어(12)의 일단은 상기 대상물(20)에 형성된 고리(2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4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2 와이어(12)가 상기 연결부(240)의 둘레를 감싸면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와이어(12)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대상물(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홀(241)은 상기 연결부(24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2 결합부(32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의 제2 홀(241)에 대응되며, 상기 제2 홀(24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연결부(24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32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320)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N)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에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320)로부터 회전(Rotation)할 수 있으며 쉬브(Sheave)형태로 2개 이상 설치되어 마찰을 최소화하며 독립적으로 회전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240)는 제2 와이어(12)와 상기 대상물(20)간에 로딩 밸런스(Loading Balance)를 잡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제1 결합부(310)에 결합되는 상기 제1 후크(210)와 상기 제2 후크(220) 사이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20)에 상기 제2 와이어(12)가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20)을 인양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부(11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바디부(12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후크(200)의 두께 또는 상기 연결부(240)의 두께만큼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12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에 배치된 제1 결합부(310) 및 상기 제2 결합부(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홀(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바디부(120)를 상기 제1 바디부(11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310) 및 상기 제2 결합부(320)는 상기 제2 바디부(120)의 제3 홀(121, 122) 각각을 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된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320)의 일단에 너트(N)를 이용하여 나사결합하여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제2 바디부(120)는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결합 자체는 너트(N)뿐만 아니라 리벳(Rivet), 용접(Weld) 등이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후크(200)와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제2 바디부(12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100)는 복수 개의 후크(11)를 수용하면서 하나의 제2 와이어(12)를 통하여 대상물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12)는 상기 대상물(20)의 상면을 기준으로 대략 90도인 기울기(β)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크레인(1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20)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 와이어(12)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크레인(1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20)을 인용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2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100)는 특정의 크기를 가지는 대상물을 인양하는 크레인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대상물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100)는 스프레더(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1 바디부(110)는 한쌍의 후크(200)를 수용하고 있다.
스프레더(400)는 상기 복수 개의 바디부(110)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바디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더(400)는 제1 관통홀(402)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부(110)에서 돌출된 제3 결합부(330)는 상기 관통홀(4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스프레더(40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결합부(330)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120)는 상기 제3 결합부의 제1 관통홀(40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110)에 상기 스프레더(400)를 삽입한 후,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제2 바디부(120)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3 결합부(330)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제2 관통홀(123)을 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3 결합부(330)의 일단과 너트(B)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프레더(40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제2 바디부(120)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100)는 상기 복수 개의 바디부(110) 사이에 스프레더(4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대상물(20)을 인양하는 경우 제2 와이어(1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흔들림의 방지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20)이 일시적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대상물(20)을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100)는 제4 결합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결합부(340)는 상기 제1 결합부(310) 내지 제2 결합부(3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바디부(110)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110)는 상기 제4 결합부(3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홀(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 결합부(34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제2 바디부(120)의 결합시 상기 제2 바디부(120)의 제 4홀(124)을 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4 결합부(34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제2 바디부(1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311), 제2 결합부(321) 및 제3 결합부(331)은 제1 바디부(110)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바디부(110)를 관통하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311), 상기 제2 결합부(321) 및 상기 제3 결합부(331)는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후크(210), 제2 후크(220), 연결부(240) 및 스프레더(400)는 상기 제1 결합부(311), 상기 제2 결합부(321) 및 상기 제3 결합부(331) 각각이 삽입되어 나사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101)는 크레인의 설계 변경 없이 기존에 설치된 복수 개의 후크(210, 200)를 상기 제1 결합부(311), 제2 결합부(321) 및 제3 결합부(33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결합부(311), 제2 결합부(321) 및 제3 결합부(331)와 결합된 너트(B)를 간편하게 풀어줄 수 있게 됨에 따라 규격화된 대상물을 인양하기 위한 기존의 크레인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에 연결되는 다양한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32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상기 제2 바디부(1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는 싱글 쉬브 타입(Single Sheave Type, 240)일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후크 타입(Rotation Hook Type, 245) 또는 더블 쉬브 타입(Double Sheave Type, 246)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는 내부에 관통된 제2 홀을 가지는 경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대상물(20)의 크기, 무게 및 대상물에 설치된 고리(21)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제1 바디부 120: 제2 바디부
121, 122: 제3 홀 123: 제2 관통홀
124: 제4 홀 200: 후크
210: 제1 후크 220: 제2 후크
230: 제1 홀 240: 연결부
241: 제2 홀 310: 제1 결합부
320: 제2 결합부 330: 제3 결합부
340: 제4 결합부 400: 스프레더
402: 제1 관통홀

Claims (4)

  1. 크레인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1 홀을 가지는 복수 개의 후크;
    상기 복수 개의 후크 사이의 거리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제1 바디부;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복수 개의 후크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제2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2 홀을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연결부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두께 또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만큼 상기 제1 바디부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결합부로부터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가 둘레를 감싸는 쉬브형태로 설치되는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부를 관통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핀으로 형성되는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바디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바디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KR2020130006179U 2013-07-24 2013-07-24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KR200477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79U KR200477040Y1 (ko) 2013-07-24 2013-07-24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79U KR200477040Y1 (ko) 2013-07-24 2013-07-24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18U KR20150000518U (ko) 2015-02-03
KR200477040Y1 true KR200477040Y1 (ko) 2015-05-04

Family

ID=5248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179U KR200477040Y1 (ko) 2013-07-24 2013-07-24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4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362Y2 (ja) * 1993-02-05 1998-11-18 鹿島建設株式会社 クレーンフック傾斜警報装置
CN202296837U (zh) * 2011-09-14 2012-07-04 王俊贤 组合吊具装置
CN202321977U (zh) * 2011-11-02 2012-07-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塔式起重机及其吊钩组件
CN202322100U (zh) * 2011-11-16 2012-07-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小车水平变幅式塔机及起重小车吊具组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362Y2 (ja) * 1993-02-05 1998-11-18 鹿島建設株式会社 クレーンフック傾斜警報装置
CN202296837U (zh) * 2011-09-14 2012-07-04 王俊贤 组合吊具装置
CN202321977U (zh) * 2011-11-02 2012-07-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塔式起重机及其吊钩组件
CN202322100U (zh) * 2011-11-16 2012-07-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小车水平变幅式塔机及起重小车吊具组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18U (ko)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9536A1 (en) Load suppor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coupling for lifting
KR20060035704A (ko) 길이 가변형 와이어슬링
JP2016132566A (ja) 吊り荷台の構造
KR200477040Y1 (ko)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JP2009269708A (ja) パレットハンガー
WO2011125953A1 (ja) コンテナの連結用金具
JP5292035B2 (ja) 揚重用吊り天秤
US10822204B2 (en) Hook 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opes
JP7015250B2 (ja) 昇降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昇降システムのためのキャリア要素
KR20170003629U (ko) 래싱 브리지
KR101368671B1 (ko) 선박
KR200440323Y1 (ko) 차량 운반용 슬링
US6565136B1 (en) Lifting device for palletized loads
KR200407842Y1 (ko) 크레인용 보조걸이구
JP2020026317A (ja) 吊り荷装置、緩衝部材および吊り荷保護方法
EP2853512B1 (en) Device to connect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to an object that shall be lifted
JP2018184227A (ja) 荷役用パレットの支持装置
CN109914819A (zh) 用于建筑模块的运输支腿和建筑模块装置
US20150189987A1 (en) Rigging tree
JP2010052757A (ja) コンテナ連結具
KR20140000352U (ko) 셀가이드 운반용 후크
KR20140003784U (ko) 대상물 운반용 지지장치
KR102438837B1 (ko)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
JP7358298B2 (ja) ボイラ用バックステーの付設方法
JP2013237525A (ja) クレ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