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629U - 래싱 브리지 - Google Patents

래싱 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629U
KR20170003629U KR2020160001936U KR20160001936U KR20170003629U KR 20170003629 U KR20170003629 U KR 20170003629U KR 2020160001936 U KR2020160001936 U KR 2020160001936U KR 20160001936 U KR20160001936 U KR 20160001936U KR 20170003629 U KR20170003629 U KR 201700036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hing
holder
platform
container
ey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1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629U/ko
Publication of KR20170003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래싱 브리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는 수평으로 배치된 플랫폼; 플랫폼의 양측 주변부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수직부재; 및 수직부재의 플랫폼 위쪽 부분에 설치된 고박장치;를 포함하며, 고박장치는 수직부재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아이플레이트와 홀더, 및 평상 시 아이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홀더에 타측이 결속되고, 컨테이너 고박 작업을 위해 홀더로부터 타측이 결속 해제되어 컨테이너을 고박하는 래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
본 고안은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선의 경우,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 및 이에 마련된 래싱로드 등의 고박장치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고 있다. 컨테이너 고박 형태는 예컨대, 최대 4단 하부까지 래싱로드를 이용하여 크로스 형태로 고박하고, 5단과 6단은 스태킹 콘(Stacking Cone)에 의해 상하간에 고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최상층에는 주로 빈 컨테이너 또는 중량 15톤 미만의 경량화물이 들어있는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선체동요로 인한 시프팅 모멘트(Shifting Moment)를 줄임으로써 컨테이너의 추락을 방지하고 있다.
래싱 브리지에는 작업자가 통행하는 플랫폼(Platform)과, 플랫폼의 양측 주변부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직부재(기둥)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랫폼에는 작업자가 플랫폼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핸드레일(Handrail)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1510호(2009.11.26. 공개)와 한국등록특허 제20-0440755호(2008.06.25. 등록)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래싱 브리지의 플랫폼 하부 쪽에 설치된 래싱로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할 경우, 래싱로드와 핸드레일 간 간섭이 발생하여 고박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또, 플랫폼에 마련된 래싱로드의 설치 지점이 낮아 컨테이너를 고박함에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1510호(2009.11.26.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20-0440755호(2008.06.25. 등록)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핸드 레일 겸용으로 사용되는 고박장치를 이용하여 기존보다 높은 위치에서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고박할 수 있는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평으로 배치된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양측 주변부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상기 플랫폼 위쪽 부분에 설치된 고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박장치는 상기 수직부재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아이플레이트와 홀더, 및 평상 시 상기 아이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타측이 결속되고, 컨테이너 고박 작업을 위해 상기 홀더로부터 타측이 결속 해제되어 컨테이너을 고박하는 래싱부를 포함하는 래싱 브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래싱부는 상기 홀더에 결속되는 래싱로드와, 일측이 상기 아이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래싱로드와 결합된 턴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은 상기 아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조절바와, 상기 래싱로드와 상기 조절바 양쪽에 걸쳐서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래싱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는 핸드 레일 겸용으로 사용되는 고박장치를 이용하여 기존보다 높은 위치에서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고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박장치가 설치된 래싱 브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박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래싱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컨테이너를 고박하기 위해 도 2의 래싱부를 홀더로부터 결속 해제하여 교차되게 배치시킨 모습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의 래싱부를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하고 래싱부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길이 조절한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컨테이너 고박을 위해 도 5의 래싱부가 홀더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고 래싱부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길이 조절을 수행한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100)는 수평으로 배치된 플랫폼(110), 플랫폼(110)의 양측 주변부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수직부재(120), 및 수직부재(120)의 플랫폼(110) 위쪽 부분에 설치된 고박장치(130)를 포함한다.
고박장치(130)는 제1수직부재(120a) 및 제2수직부재(120b)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아이플레이트(150)와 홀더(160), 및 평상 시 아이플레이트(150)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홀더(160)에 타측이 결속되어 제1수직부재(120a) 및 제2수직부재(120b)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컨테이너(11) 고박 작업을 위해 홀더(160)로부터 타측이 결속 해제되어 컨테이너(11)를 고박하는 래싱부(140)를 포함한다.
래싱부(140)는 홀더(160)에 결속되는 래싱로드(142)와 일측이 아이플레이트(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래싱로드(142)와 결합된 턴버클(144)을 포함한다.
래싱로드(142)의 일측 끝단은 예컨대 갈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타측은 후술할 조절프레임(149)과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래싱로드(142)는 홀더(160)로부터 결속 해제된 상태에서, 컨테이너(11)의 코너캐스팅(15)과 같은 결합부재에 연결된다.
고박장치(130)의 턴버클(144)은 아이플레이트(150)에 결합되는 조절바(147)와, 래싱로드(142)와 조절바(147) 양쪽에 걸쳐서 나사 결합되며, 회전방식으로 래싱부(14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프레임(149)을 포함한다.
조절바(147) 일측의 결합부(147a)에는 아이플레이트(15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핀(P)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47a)는 예컨대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아이플레이트(150)에 끼워질 수 있다.
조절바(147)의 타측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프레임(149)과 나사 결합된다.
아이플레이트(150)는 예컨대 반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직부재(120)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홀더(160)는 예컨대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측에 래싱로드(142)의 끝단이 걸리도록 걸림홈(160a, 도 5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래싱부(140)가 제1수직부재(120a)와 제2수직부재(120b)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아이플레이트(150)와 홀더(160)는 제1수직부재(120a)와 제2수직부재(120b)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래싱부(140)는 예컨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상반되는 방향에서 맞은 편 홀더(160)와 결속되도록 제1수직부재(120a)와 제2수직부재(120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수직부재(120a)와 제2수직부재(120b)에는 래싱부(14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아이플레이트(150) 및 홀더(160)가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싱부(140)가 홀더(160)로부터 결속 해제된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게 컨테이너를 고박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와 도 4에서는 래싱부(140) 하측에 지지부재(12)가 마련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지지부재(12)를 생략하고, 해당 위치에 추가적으로 고박장치(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박장치(130)의 래싱부(140)는 일측(턴버클(144))이 아이플레이트(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래싱로드(142))이 홀더(160)에 결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박장치(130)가 수직부재(120)의 플랫폼(110) 위쪽 부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기존의 핸드 레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플랫폼(110) 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폼(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고박 작업을 수행할 경우, 홀더(160)로부터 래싱부(140)의 래싱로드(142)를 결속 해제시킨 상태에서 래싱부(140)를 이용하여 서로 교차되게 컨테이너를 고박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래싱 브리지의 플랫폼 하부에 설치된 래싱로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했기 때문에, 래싱로드의 설치 지점이 낮아 컨테이너를 고박함에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졌다.
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래싱부(140)가 수직부재(120)의 플랫폼(110) 위쪽 부분에 설치되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고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래싱로드(142)를 홀더(160)에 결속시킨 후, 턴버클(144)의 조절프레임(149)을 일 방향으로 돌려가며 래싱부(14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싱로드(142)가 홀더(160)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속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래싱로드(142)를 홀더(160)로부터 결속 해제시킨 후, 턴버클(144)의 조절프레임(149)을 타 방향으로 돌려가며 래싱부(14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조절함으로써, 컨테이너 고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플랫폼 120: 수직부재
130: 고박장치 140: 래싱부
142: 래싱로드 144: 턴버클
147: 조절바 149: 조절프레임
150: 아이플레이트 160: 홀더

Claims (3)

  1. 수평으로 배치된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양측 주변부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상기 플랫폼 위쪽 부분에 설치된 고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박장치는
    상기 수직부재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아이플레이트와 홀더, 및
    평상 시 상기 아이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타측이 결속되고, 컨테이너 고박 작업을 위해 상기 홀더로부터 타측이 결속 해제되어 컨테이너을 고박하는 래싱부를 포함하는 래싱 브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부는
    상기 홀더에 결속되는 래싱로드와,
    일측이 상기 아이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래싱로드와 결합된 턴버클을 포함하는 래싱 브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은 상기 아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조절바와,
    상기 래싱로드와 상기 조절바 양쪽에 걸쳐서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래싱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프레임을 포함하는 래싱 브리지.
KR2020160001936U 2016-04-11 2016-04-11 래싱 브리지 KR201700036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36U KR20170003629U (ko) 2016-04-11 2016-04-11 래싱 브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36U KR20170003629U (ko) 2016-04-11 2016-04-11 래싱 브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29U true KR20170003629U (ko) 2017-10-20

Family

ID=6040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36U KR20170003629U (ko) 2016-04-11 2016-04-11 래싱 브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62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00A (ko) * 2020-08-28 2022-03-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가변형 클램프봉
CN115649386A (zh) * 2022-11-09 2023-01-3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集装箱绑扎试验的半宽型箱脚可调式绑扎模架
KR20230170209A (ko) 2022-06-10 2023-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755A (ko) 2002-11-08 2004-05-13 (주)케이.씨.텍 이소프로필 알콜 공급 방법 및 장치
KR20090121510A (ko) 2008-05-22 2009-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755A (ko) 2002-11-08 2004-05-13 (주)케이.씨.텍 이소프로필 알콜 공급 방법 및 장치
KR20090121510A (ko) 2008-05-22 2009-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00A (ko) * 2020-08-28 2022-03-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가변형 클램프봉
KR20230170209A (ko) 2022-06-10 2023-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CN115649386A (zh) * 2022-11-09 2023-01-3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集装箱绑扎试验的半宽型箱脚可调式绑扎模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6580B2 (ja) 貨物専用ラッシングブリッジ
KR20170003629U (ko) 래싱 브리지
KR101813350B1 (ko) 운송수단, 특히 선박 상의 컨테이너를 위한 래싱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래싱 플레이트, 및 이로 이루어진 래싱 시스템
JP6685405B2 (ja) 風力タービン翼の輸送枠体
KR20150022229A (ko) 분리형 라싱브릿지
RU2531887C1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ая рама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JP7015250B2 (ja) 昇降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昇降システムのためのキャリア要素
KR101444307B1 (ko) 선박용 컨테이너 래싱장치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KR20110005430U (ko) 파이프 모듈 유닛 운반용 지그
EP3323768B1 (en) Connecting device for attachments
KR20140069465A (ko) 컨테이너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68671B1 (ko) 선박
KR100985654B1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데몬스트레이션을 위한해치커버상단용 지그
JP7398784B2 (ja) 荷揚げ装置
JP2000335480A (ja) 船上コンテナ固縛装置
JP2005161941A (ja) コンテナ船
JP6278821B2 (ja) ラック制振装置の支持構造
JP4886054B2 (ja) 段積みラック
KR20160045276A (ko) 컨테이너 고박장치
CN205837131U (zh) 用于防坠人孔盖的扣件及防坠人孔盖
JP6313690B2 (ja) 固定治具及び建物ユニットの輸送方法
KR20130098540A (ko) 지지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턴버클 지지판이 마련된 래싱 브리지
KR101533771B1 (ko)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JP2007196839A (ja) 船上コンテナ固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