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515U - 파렛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파렛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515U
KR20140005515U KR2020130002951U KR20130002951U KR20140005515U KR 20140005515 U KR20140005515 U KR 20140005515U KR 2020130002951 U KR2020130002951 U KR 2020130002951U KR 20130002951 U KR20130002951 U KR 20130002951U KR 20140005515 U KR20140005515 U KR 201400055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pallet structure
present
lu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청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2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515U/ko
Publication of KR20140005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4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moulded or otherwise fabricated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은,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되는 파렛트 구조물에 있어서, 부재가 적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향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바와, 지지바의 상단에 구비되며, 와이어와 체결되는 러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렛트 구조물{PALLET STRUCTURE}
본 고안은 파렛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되는 파렛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등에서 무게가 무거운 다량의 부재들은, 크레인에 의해 인양된다.
이때,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다량의 부재들은 파렛트 구조물에 적치되고, 파렛트 구조물은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의 파렛트 구조물의 경우, 부재들과 와이어가 간섭되어 부재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7869호(공고일자 2010년 10월 1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될 경우, 적치되는 부재와 와이어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파렛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은,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되는 파렛트 구조물에 있어서, 부재가 적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향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와 체결되는 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러그는, 상기 지지바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단부 상에 체결공이 구비된다.
상기 러그는, 상기 지지바의 상단으로부터 설정된 길이방향까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바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구조물.
본 고안인 파렛트 구조물에 의하면,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될 경우, 적치되는 부재와 와이어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파렛트 구조물에 의하면, 러그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을 간략히 나타낸 정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에 있어서, 러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변형예시도.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은, 와이어(W)를 연결하여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인양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 지지바(120) 및 러그(13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다량의 부재(10)가 적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지지바(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단부로부터 상향 고정되며,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단부 모서리부위 또는 단부 양단에 상향 고정될 수 있다.
러그(130)는, 상기 지지바(120)의 상단에 구비되며 와이어(W)와 체결된다.
이러한 러그(130)는, 상기 지지바(120)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러그(130)는, 상기 돌출된 단부 상에 체결공(13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132)은 와이어(W)와 체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은 다량의 부재(10)를 적치한 상태에서, 러그(130)의 체결공(132)에 와이어(W)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W)는 크레인과 연결되는 매개물로써, 상기 와이어(W)의 길이는, 크레인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 간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과 크레인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와이어(W)는 내측으로 기울어진다.
여기서, 와이어(W)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적치된 다량의 부재(10)와 간섭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본 고안인 파렛트 구조물(100)과 크레인 간 거리는 작업환경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과 크레인 사이가 멀어질수록, 와이어(W)는 수직에 가깝게 평행해진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과 크레인 간 거리에 따라서, 와이어(W)와 적치된 부재(10)와의 간섭 여부가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은 러그(130)의 위치를 지지바(120)의 상단에 구비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을 간략히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 복수의 지지바(120) 및 러그(13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도 1에서 상술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된 내용이라도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30)는 복수의 지지바(120)의 상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러그(130)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부위로써, 본 고안이 크레인에 의해 인양될 시 다량의 부재(10)와 와이어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바(1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러그(130)가 상기 지지바(120)의 상단에 위치하면,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는 파렛트 구조물(100)의 무게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므로, 전복, 부재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지지바(120) 사이에는 보강리브(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리브(14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지지바(120)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에 있어서, 러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변형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러그(130)는 지지바(120)의 상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러그(130)는, 지지바(120)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단부 상에 체결공(132)이 구비된다.
이때, 러그(130)는 지지바(120)의 상단으로부터 설정된 길이방향까지 높이(H)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길이는, 작업환경에 따라서 와이어와 연결되는 러그(130)가 부재로부터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지지바(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22)은 상기 설정된 길이방향까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러그(130)는 상기 홀(122)에 관통되는 고정핀(미도시) 또는 나사(미도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러그(130)를 지지바(1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제1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러그(130)가 지지바(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러그(1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상기 지지바(120)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바(120)로부터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30)는 와이어와 체결되는 체결공(132)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지지바(120)로부터 회전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러그(130)를 상기 지지바(120)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러그(130)의 회전된 밑모양과 대응하는 제2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러그(130)가 회전되면 V자 단면을 갖는다면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V자 단면과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러그(130)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상태로 상기 지지바(120)의 길이방향 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 또한, 상기 지지바(120)로부터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파렛트 구조물은,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될 경우, 적치되는 부재와 와이어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파렛트 구조물은, 러그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구조물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 및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다는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W : 와이어 10 : 부재
100 : 파렛트 구조물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지지바 122 : 홀
130 : 러그 132 : 체결공
140 : 보강리브

Claims (4)

  1.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되는 파렛트 구조물에 있어서,
    부재가 적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향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와 체결되는 러그;를 포함하는 파렛트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지지바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단부 상에 체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지지바의 상단으로부터 설정된 길이방향까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바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구조물.
KR2020130002951U 2013-04-16 2013-04-16 파렛트 구조물 KR201400055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951U KR20140005515U (ko) 2013-04-16 2013-04-16 파렛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951U KR20140005515U (ko) 2013-04-16 2013-04-16 파렛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15U true KR20140005515U (ko) 2014-10-27

Family

ID=5245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951U KR20140005515U (ko) 2013-04-16 2013-04-16 파렛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51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80U (ko) * 2016-02-24 2017-09-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턴 오버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80U (ko) * 2016-02-24 2017-09-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턴 오버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1330A (ko) 드릴쉽의 헬리데크 서포트
WO2015098421A1 (ja) パレット
KR20180001175U (ko) 턴오버 지그
KR20140005515U (ko) 파렛트 구조물
JP6080553B2 (ja) グレーチング
JP5658105B2 (ja) 台車
KR20140003819U (ko) 반목용 높이조정장치
KR102043052B1 (ko)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KR20150001390U (ko) 리프팅 러그
KR20150026410A (ko) 최적형상의 레이더 마스트 및 그 레이더 마스트의 보강구조
EP2669207B1 (en) A system for creating a container and corresponding container
KR200479175Y1 (ko)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120132044A (ko) 크레인의 후크 파킹 장치
US20170117080A1 (en) Support device of an active part of a current transformer
KR20048666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서포트 어셈블리
KR101548268B1 (ko) 격자형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구
EP3067642B1 (en) Support and fastening assembly for solar systems
JP3206554U (ja) グレーチングの固定金具および固定構造
KR20140005555U (ko)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JP2018172026A (ja) 車両搭載品の支持構造
KR200489761Y1 (ko) 스파이더 앤드 짐벌용 시트 장치
JP5794956B2 (ja) しのび返し取付具
KR101496002B1 (ko) 볼트 고정장치
KR101261215B1 (ko) 친환경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