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002B1 - 볼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볼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002B1
KR101496002B1 KR20130051022A KR20130051022A KR101496002B1 KR 101496002 B1 KR101496002 B1 KR 101496002B1 KR 20130051022 A KR20130051022 A KR 20130051022A KR 20130051022 A KR20130051022 A KR 20130051022A KR 101496002 B1 KR101496002 B1 KR 10149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bolt
engaging
fix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049A (ko
Inventor
진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5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00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36Metal sole-plates for rails which rails are directly fastened to slee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를 기초부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에 고정되되 제1 볼트홀이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를 위치시키되, 제2 볼트홀이 형성된 제2 결합부, 상기 기초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 정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제1 볼트홀의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볼트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제1 볼트홀, 상기 제2 볼트홀, 및 상기 제3 볼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부에 응력이 집중되더라도 고정부를 기초부에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볼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볼트 고정장치{Apparatus for bolt fixing}
본 발명은 볼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를 기초부에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크레인은 지브크레인, 케이블크레인, 젠트리크레인, 천장크레인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기본적인 기능은 중량물을 들어올려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크레인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공장, 창고 등 건물 내의 천장부분에 설치되는 천장크레인인데, 천장크레인의 경우 기계 본체에 고정되는 레일부, 레일부 상으로 이동되는 주행부, 주행부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운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일부는 기계 본체에 고정되는데 중량물의 무게가 상당하고 크레인 자체의 무게도 상당하여 진동 등이 발생되는 경우 레일부에 큰 응력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응력 집중으로 인하여 레일부는 기계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부와 기계 본체를 볼트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트 고정장치의 경우 고정력이 충분치 못하여 고정볼트에 강한 힘과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고정볼트가 흔들리게 되며, 미끄러져 이탈되거나 절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계 본체와 같은 기초부에 레일부와 같은 고정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볼트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는, 고정부를 기초부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에 고정되되 제1 볼트홀이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를 위치시키되, 제2 볼트홀이 형성된 제2 결합부, 상기 기초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 정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제1 볼트홀의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볼트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제1 볼트홀, 상기 제2 볼트홀, 및 상기 제3 볼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부가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기초부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기초부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보다 폭이 좁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가 관통되는 상기 제3 볼트홀 주위에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도록 단차진 안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3 볼트홀 주위에는 요철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볼트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볼트홀로부터 연장되는 너트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핀은 절곡되어 상기 너트부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볼트 고정장치는 제1 결합부에 정합되도록 지지부가 기초부에 지지되는바, 기존보다 기초부에 지지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고정부를 기초부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볼트 고정장치가 고정부와 기초부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볼트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볼트 고정장치의 지지부의 변형예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볼트 고정장치(100)가 고정부(210)와 기초부(220)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볼트 고정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100)는 제1 볼트홀(111)이 형성된 제1 결합부(110), 제2 볼트홀(121)이 형성된 제2 결합부(120), 제1 결합부(110)에 정합되되 제3 볼트홀(131)이 형성된 지지부(130), 및 제1 볼트홀(111), 제2 볼트홀, 및 제3 볼트홀(131)을 관통하여 지지부(130), 제1 결합부(110), 제2 결합부(120)를 결합시키는 볼트부(140)를 포함하되, 고정부(210)가 기초부(220) 및 제2 결합부(120) 사이에서 기초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기초부(220)는 예를 들어 지면이나 기계장치 등의 일부가 되는 부재이고, 고정부(210)는 기초부(220)에 고정을 하기 위한 부재이다.
여기서, 기초부(220)는 예를 들어 기계장치의 본체 부분이 될 수 있고 고정부(210)는 기초부(220) 상에 위치한 레일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레일과 같은 고정부(210)는 기계장치의 본체와 같은 기초부(22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는데, 크레인과 같은 기계장치는 레일에 상대적으로 큰 응력을 주게 되어 레일이 크레인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10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210)를 기초부와 제2 결합부(120)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고정부(210)를 기초부(2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0)는 기초부(220)에 고정된 부재로서 제1 볼트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110)는 예를 들어 기초부(22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10)에는 제1 볼트홀(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볼트홀(111)은 도 3과 같이 상부와 하부뿐만 아니라 일측이 개구된 형상일 수 있고, 또는 상부와 하부만 개구될 뿐 측면은 막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10)에는 제1 볼트홀(111)의 형성으로 인하여 기초부(220)와 맞닿지 않은 영역(112)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맞닿지 않은 영역(112)에 지지부(130)가 정합됨으로써, 지지부(130)가 제1 결합부(110)를 기초부(220)에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10)와 기초부(220)가 맞닿지 않은 영역에는 지지부(130)가 채워짐으로써, 제1 결합부(110)를 기초부(2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기초부(220)에 지지되되 제1 결합부(110)가 기초부(220)에 맞닿지 않은 영역(112)에 정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30)에는 제3 볼트홀(13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3 볼트홀(131)은 제1 볼트홀(111)의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부(140)는 제3 볼트홀(131)과 제1 볼트홀(111)을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제3 볼트홀(131)이 제1 볼트홀(11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3 볼트홀(131)이 제1 볼트홀(111)과 기초부(220) 사이, 즉 제1 볼트홀(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지지부(130)는 제1 결합부(110)가 기초부(220)에 맞닿지 않은 영역(112)에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30)의 형상은 제1 결합부(1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으며, 기초부(220)와 맞닿는 볼트 고정장치(100)의 면적을 넓혀줌으로써 볼트 고정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에는 안착영역(13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영역(132)은 지지부(130)의 하면에 대하여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단차진 부분에 볼트부(140)의 헤드부(141)를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에는 제3 볼트홀(131) 주위에 요철영역(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영역(133)은 지지부(130)와 제1 결합부(110)가 맞닿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30)와 제1 결합부(110) 간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요철영역(133)은 지지부(130)와 제1 결합부(110)가 맞닿는 면뿐만 아니라 그 반대면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볼트부(1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20)는 제1 결합부(110) 상에 위치하여 기초부(220)와의 사이에 고정부(210)를 위치시키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2 결합부(120)의 크기는 제1 결합부(110)보다 클 수 있으며, 고정부(210)를 향한 연장영역(12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영역(122)은 고정부(2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부(210)는 기초부(220)와 제2 결합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120)에는 제2 볼트홀(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볼트홀(121)은 제1 볼트홀(111) 및 제3 볼트홀(13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트홀(121)의 크기는 제3 볼트홀(131)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140)는 제1 볼트홀(111), 제2 볼트홀(121), 제3 볼트홀(131)을 관통하여 제1 결합부(110), 제2 결합부(120), 및 지지부(130)를 고정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볼트부(140)는 헤드부(141)와 헤드부(141)보다 폭이 좁도록 헤드부(14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부(141)는 지지부(130)의 제3 볼트홀(131) 주위에 형성된 안착영역(132)에 안착되고 연장부(142)는 제3 볼트홀(131)을 통과하여 제1 볼트홀(111) 및 제2 볼트홀(121)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제2 볼트홀(121) 내에는 예를 들어 암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암나사선에 연장부(142)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 결합부(120)의 제2 볼트홀(121) 상에 별도의 너트부(150)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너트부(150)의 결합에 의해 볼트부(140)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연장부(142)가 제3 볼트홀(131), 제1 볼트홀(111), 및 제2 볼트홀(121)을 관통하여 제1 결합부(110), 제2 결합부(120), 및 지지부(130)를 고정시키면 제2 결합부(120)의 연장영역(122)이 하방으로 누르는 압력에 의해, 고정부(210)가 지지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볼트 고정장치(100)의 지지부(130)의 변형예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지지부(13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100)의 지지부(130)에는 추가적으로 너트핀(134)이 구비될 수 있다. 너트핀(134)은 제3 볼트홀(131)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볼트부(140)에 의해 제1 결합부(110), 제2 결합부(120), 및 지지부(130)가 결합되면 절곡되어 너트부(15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너트부(150)가 풀리거나 볼트부(1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볼트 고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제1 결합부 111 : 제1 볼트홀
120 : 제2 결합부 121 : 제2 볼트홀
122 : 연장영역 130 : 지지부
131 : 제3 볼트홀 140 : 볼트부
150 : 너트부 210 : 고정부
220 : 기초부

Claims (9)

  1. 고정부를 기초부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에 고정되되 제1 볼트홀이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를 위치시키되, 제2 볼트홀이 형성된 제2 결합부;
    상기 기초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기초부 사이의 공간에 정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제1 볼트홀의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볼트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제1 볼트홀, 상기 제2 볼트홀, 및 상기 제3 볼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볼트부;
    를 포함하는 볼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가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기초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기초부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보다 폭이 좁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가 관통되는 상기 제3 볼트홀 주위에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도록 단차진 안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3 볼트홀 주위에는 요철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볼트홀로부터 연장되는 너트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핀은 절곡되어 상기 너트부의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홀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볼트홀의 개구부에도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장치.
KR20130051022A 2013-05-07 2013-05-07 볼트 고정장치 KR10149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022A KR101496002B1 (ko) 2013-05-07 2013-05-07 볼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022A KR101496002B1 (ko) 2013-05-07 2013-05-07 볼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49A KR20140132049A (ko) 2014-11-17
KR101496002B1 true KR101496002B1 (ko) 2015-02-25

Family

ID=5245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022A KR101496002B1 (ko) 2013-05-07 2013-05-07 볼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0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57A (ko) * 1995-08-31 1997-03-27 한승준 잠김 너트와 핀
JP2011525948A (ja) * 2008-06-26 2011-09-29 レイルテック アンテルナショナル 線路のまくら木へのレール固定装置
KR101110830B1 (ko) 2010-01-13 2012-02-24 한신공영 주식회사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의 고정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118703B1 (ko) * 2009-08-14 2012-03-15 (주)우일궤도 레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57A (ko) * 1995-08-31 1997-03-27 한승준 잠김 너트와 핀
JP2011525948A (ja) * 2008-06-26 2011-09-29 レイルテック アンテルナショナル 線路のまくら木へのレール固定装置
KR101118703B1 (ko) * 2009-08-14 2012-03-15 (주)우일궤도 레일 고정장치
KR101110830B1 (ko) 2010-01-13 2012-02-24 한신공영 주식회사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의 고정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49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175U (ko) 턴오버 지그
KR101496002B1 (ko) 볼트 고정장치
US10549699B2 (en) Container
US11338830B2 (en) Underfloor duct
KR101503689B1 (ko)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KR20140002573U (ko)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의 클램프
KR200470615Y1 (ko) 철판부재 용접용 홀더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JP2017124103A (ja) 什器
KR200477880Y1 (ko) 선박용 러그 구조체
JP676914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60001775U (ko) 리프팅 스프레더 빔
JP5943873B2 (ja) 揺れ止め具
KR20140005515U (ko) 파렛트 구조물
KR20180043927A (ko) 리프팅 러그
KR20130000984A (ko) 갑판에 설치되는 데크 크레인용 서포트 구조물
JP5539255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支持構造
KR20160001164U (ko) 선박의 천장용 행거
KR20170024462A (ko) 인양용 체결구
KR102299108B1 (ko) 기판 반송 로봇의 핸드프레임 조립체
KR200481717Y1 (ko) 섀클 핀 분리 및 체결용 지그
JP2015161121A (ja) キャップ体、キャップセット及び柵設備
KR20140005517U (ko) 크레인 연결용 지그
KR20150022418A (ko) 리프팅 보조 장치
KR20120001418U (ko) 케이블 트레이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