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775U - 리프팅 스프레더 빔 - Google Patents
리프팅 스프레더 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1775U KR20160001775U KR2020140008417U KR20140008417U KR20160001775U KR 20160001775 U KR20160001775 U KR 20160001775U KR 2020140008417 U KR2020140008417 U KR 2020140008417U KR 20140008417 U KR20140008417 U KR 20140008417U KR 20160001775 U KR20160001775 U KR 2016000177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verse member
- lower transverse
- longitudinal
- spreader beam
- cra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5—Lifting beam permitting to depose a load through an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크레인으로 스키드 상면에 놓인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이 개시된다.
상기 리프팅 스프레더 빔은,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가로부재;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세로부재; 상기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되는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상기 하부가로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의 크기에 맞추어 다수개의 상기 세로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팅 스프레더 빔은,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가로부재;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세로부재; 상기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되는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상기 하부가로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의 크기에 맞추어 다수개의 상기 세로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리프팅 스프레더 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장비를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팅 스프레더 빔에 관한 것이다.
리프팅 스프레더 빔은, 크레인으로 중량의 장비를 들어올릴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재이고, 스키드는, 스키드 상면에 장비를 놓은 후 스키드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러그와 연결된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장비를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부재이다.
고중량의 장비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장비의 크기, 무게, 내부 부품의 배치, 와이어의 각도, 와이어와 장비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사용될 크레인의 개수, 스키드 상면에 형성되는 러그의 개수 및 위치, 리프팅 스프레더 빔의 형태, 리프팅 스프레더 빔에 형성되는 러그의 위치 및 개수 등이 세심하게 결정된다.
그 중 리프팅 스프레더 빔은, 장비 운반 작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재이며, 제3자 증명(Third Party Certification)이 요구되는 고가의 부재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장비를 제작하는 업체로부터 그 장비에 적합한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비 제작 업체가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여러 장비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이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이라 함.)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은, 가로로 긴 막대 형상의 몸체(10); 몸체(10)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러그(Lug, 20); 및 몸체(10)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러그(20);를 포함한다.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의 몸체(10)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러그(20)는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고, 몸체(10)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러그(20)에는 각각 와이어(30)가 연결된다. 몸체(10) 상면에 형성된 러그(20)에 연결된 와이어(30)는 크레인(1)과 연결되며, 몸체(10) 하면에 형성된 러그(20)에 연결된 와이어(30)는 스키드(Skid, 2) 상면에 형성된 러그(20)와 연결된다.
스키드(2) 상면의 네 지점에 와이어(30)를 연결하여(4 Lifting Point), 스키드(2)와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30)가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장비(40)를 들어올리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네 지점에 각각 러그(20)가 형성된 스키드(2) 및 두 개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을 사용하게 된다.
두 개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은 각각 스키드(2)의 일측 모서리 및 반대쪽 모서리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 하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러그(20) 중 스키드(2)에 형성된 러그(2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는 러그(20)와 스키드(2)에 형성된 러그(20)와의 사이에 와이어(30)가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연결된다.
두 개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은 두 개의 크레인(1)으로 각각 들어 올려지게 된다. 장비(40)가 한 개의 크레인(1)으로 들 수 있는 무게라고 하더라도, 한 개의 크레인(1)으로 두 개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을 함께 들어올리면 스키드(2)와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30)가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으므로, 두 개의 크레인(1)을 사용하여야 한다.
스키드(2)의 네 지점에 각각 와이어(30)를 연결하여 스키드(2)와 리프팅 스프레더 빔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30)가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하는 조건은, 크레인(1)을 사용하여 장비(40)를 들어올릴 때에 흔하게 요구되는 조건인데, 종래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을 이용하여 장비(4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두 대의 크레인(1)이 서로 호흡을 맞추어 장비(40)를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효율성이 떨어졌다. 또한,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3)의 길이 및 형상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장비의 적합한 리프팅(Lifting)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고,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로 고중량의 장비를 들어 올리다보니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 우려가 높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포함하고 스키드의 크기에 맞추어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리프팅 스트레더 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으로 스키드 상면에 놓인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에 있어서,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가로부재;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세로부재; 상기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되는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상기 하부가로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의 크기에 맞추어 다수개의 상기 세로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이 제공된다.
상기 하부가로부재의 다수개의 돌출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각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로부재의 폭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부재는,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러그; 및 하면에 상기 세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러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러그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크레인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러그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스키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로부재의 길이는 상기 하부가로부재의 길이와 같을 수 있고,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러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가로부재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러그와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크레인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하부가로부재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상부가로부재 상부 및 상기 하부가로부재 하부에서 상기 볼트를 따라 조여지는 다수개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으로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 1 하부가로부재 및 제 2 하부가로부재;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 및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이 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세로부재;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 및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이 되고 상기 제 1 세로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일단부는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세로부재;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하는 제 1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하는 제 2 상부가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가로부재, 상기 제 2 상부가로부재, 상기 제 1 세로부재 및 상기 제 2 세로부재 상면에 형성된 러그와 연결되는 와이어는 하나의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리프팅 스트레더 빔에 의하면, 하나의 크레인으로도 스키드의 네 지점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스키드와 리프팅 스프레더 빔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성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장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스키드의 크기가 결정되는데, 스키드의 크기에 맞추어 리프팅 스프레더 빔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 안정적으로 장비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스프레더 빔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스프레더 빔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스프레더 빔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을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올리는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500)은, 다수개의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하부가로부재(100, 101); 하부가로부재(100, 101)의 돌출부(120) 사이에 양 단부가 위치하여 하부가로부재(100, 10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세로부재(200, 201); 하부가로부재(100, 101) 위에 포개지도록 설치되는 상부가로부재(300, 301); 및 상부가로부재(300, 301)와 하부가로부재(100, 101)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로부재(100, 101, 300, 301)의 "가로" 및 세로부재(200, 201)의 "세로"는, 가로부재(100, 101, 300, 301)와 세로부재(200, 201)가 서로 수직으로 결합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임의로 가로 및 세로를 정한 것이며, 크레인(1) 또는 장비(40)에 대하여 가로부재(100, 101, 300, 301) 및 세로부재(200, 201)의 방향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하부가로부재(100, 101)는, 막대 형상의 몸체(110); 및 몸체(110) 상면에 몸체(110)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각 돌출부(12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각 돌출부(120) 사이의 간격은 세로부재(200, 201)의 폭과 대략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가로부재(100, 101) 상면의 돌출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세로부재(200, 201)를 끼워 넣으면 되므로, 스키드(2)의 폭에 맞추어 세로부재(200, 201) 사이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로부재(200, 201)는, 하부가로부재(100, 101)의 돌출부(120) 사이의 간격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지는 막대 형상의 몸체(210); 몸체(210)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러그(20); 및 몸체(210) 하면에 몸체(210)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러그(20);를 포함한다.
두 개의 세로부재(200, 201)는 각각 두 개의 하부가로부재(100, 101) 사이에 수직이 되도록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세로부재(200)의 일단부는 제 1 하부가로부재(100)의 돌출부(120)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세로부재(200)의 타단부는 제 2 하부가로부재(101)의 돌출부(120)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세로부재(201)는 제 1 세로부재(200)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제 2 세로부재(201)의 일단부는 제 1 하부가로부재(100)의 돌출부(120)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세로부재(201의)의 타단부는 제 2 하부가로부재(101)의 돌출부(120)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세로부재(200)와 제 2 세로부재(201)는 서로 평행하고, 제 1 하부가로부재(100)와 제 2 하부가로부재(101)는 서로 평행하다.
세로부재(200, 201)의 상면에 형성되는 러그(20)에 연결되는 와이어(30)는 크레인(1)과 연결되고, 세로부재(200, 201)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러그(20)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연결되는 와이어(30)는 스키드(2)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상부가로부재(300, 301)는, 하부가로부재(100, 101)의 몸체(110)와 같은 길이를 갖는 몸체(310); 및 몸체(310)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러그(20);를 포함한다.
상부가로부재(300, 301)의 몸체(310) 하면은 하부가로부재(100)의 다수개의 돌출부(120) 상면과 접하고, 상부가로부재(300, 301)의 몸체(310) 상면에 형성된 러그(20)에 연결되는 와이어(30)는 크레인(1)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결합부재(400)는 상부가로부재(300, 301)와 하부가로부재(100, 101)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일례로 볼트(410)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결합부재(400)가 볼트(410) 및 너트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볼트(410)는 상부가로부재(300, 301)의 몸체(310), 하부가로부재(100, 101)의 돌출부(120) 및 하부가로부재의 몸체(110)를 상하로 관통하고, 두 개의 너트는 각각 상부가로부재(300, 301)의 몸체(310) 상부 및 하부가로부재의 몸체(110) 하부에서 볼트(410)에 결합한다. 즉, 볼트(410)를 따라 두 개의 너트를 위아래에서 조여 상부가로부재(300, 301)와 하부가로부재(100, 101)를 결합시킨다. 결합부재(400)에 의해 상부가로부재(300, 301)와 하부가로부재(100, 101)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세로부재(200, 201)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하부가로부재(100, 101)의 돌출부(12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프팅 스프레더 빔(500)에 의하면, 장비(40)의 크기에 따라 리프팅 스프레더 빔(500)의 세로부재(200, 201) 간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장비(40)를 들어올릴 수 있고, 하나의 크레인(1)을 사용하여서도 리프팅 스프레더 빔(500)과 스키드(2)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30)가 바닥과 수직이 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크레인(1)만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리프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크레인 2 : 스키드
3 :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 10, 110, 210, 310 : 몸체
20 : 러그 30 : 와이어
40 : 장비 100, 101 : 하부가로부재
120 : 돌출부 200, 201 : 세로부재
300, 301 : 상부가로부재 400 : 결합부재
410 : 볼트 420 : 너트
500 : 리프팅 스프레더 빔
3 : 공통 리프팅 스프레더 빔 10, 110, 210, 310 : 몸체
20 : 러그 30 : 와이어
40 : 장비 100, 101 : 하부가로부재
120 : 돌출부 200, 201 : 세로부재
300, 301 : 상부가로부재 400 : 결합부재
410 : 볼트 420 : 너트
500 : 리프팅 스프레더 빔
Claims (6)
- 크레인으로 스키드 상면에 놓인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에 있어서,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가로부재;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세로부재;
상기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되는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상기 하부가로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의 크기에 맞추어 다수개의 상기 세로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로부재의 다수개의 돌출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각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로부재의 폭과 같게 형성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는,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러그; 및
하면에 상기 세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러그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러그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스키드와 연결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로부재의 길이는 상기 하부가로부재의 길이와 같고,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로부재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러그와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하부가로부재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상부가로부재 상부 및 상기 하부가로부재 하부에서 상기 볼트를 따라 조여지는 다수개의 너트;
를 포함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 - 크레인으로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 1 하부가로부재 및 제 2 하부가로부재;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 및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이 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세로부재;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 및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와 수직이 되고 상기 제 1 세로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일단부는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세로부재;
상기 제 1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하는 제 1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제 2 하부가로부재 위에 결합하는 제 2 상부가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가로부재, 상기 제 2 상부가로부재, 상기 제 1 세로부재 및 상기 제 2 세로부재 상면에 형성된 러그와 연결되는 와이어는 하나의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팅 스프레더 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8417U KR20160001775U (ko) | 2014-11-17 | 2014-11-17 | 리프팅 스프레더 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8417U KR20160001775U (ko) | 2014-11-17 | 2014-11-17 | 리프팅 스프레더 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775U true KR20160001775U (ko) | 2016-05-25 |
Family
ID=5609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8417U KR20160001775U (ko) | 2014-11-17 | 2014-11-17 | 리프팅 스프레더 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1775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2444U (ko) | 2017-02-03 | 2018-08-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인양 장치 |
KR20180129256A (ko) | 2017-05-26 | 2018-12-05 | (주)지비텍이엔씨 | 유압 추진잭의 지압응력 조정식 스프레더 빔 어셈블리를 구비한 압출가설 장치 및 그 방법 |
-
2014
- 2014-11-17 KR KR2020140008417U patent/KR20160001775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2444U (ko) | 2017-02-03 | 2018-08-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인양 장치 |
KR20180129256A (ko) | 2017-05-26 | 2018-12-05 | (주)지비텍이엔씨 | 유압 추진잭의 지압응력 조정식 스프레더 빔 어셈블리를 구비한 압출가설 장치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06935B1 (en) | Electrically-grounded work platform | |
KR101218225B1 (ko) | 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대형유리 적재장치 | |
WO2019152779A3 (en) | Pipe coil skid with side rails and method of use | |
KR20160001775U (ko) | 리프팅 스프레더 빔 | |
US9227824B2 (en) | Adjustable forklift load backrest | |
US20190085516A1 (en) | Lifter assembly and system for removing highway or railway bridges | |
WO2018150153A8 (en) | Lifting shipping containers | |
KR20130136136A (ko) | 강판 운반용 크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운반방법 | |
CN203767845U (zh) | 一种用于运输钢板的吊具 | |
KR20140003819U (ko) | 반목용 높이조정장치 | |
CN102869581B (zh) | 组合储存架 | |
JP5735735B2 (ja) | 運搬用スキッド | |
KR20140003936U (ko) | H빔 운반용 지그 | |
CN104044995A (zh) | 板材吊具 | |
US10743464B2 (en) | System for aligning skid-mounted equipment on an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 |
KR20140006129U (ko) | 족장판 운반장치 | |
WO2021215321A1 (ja) | 固定補助具及び被輸送物の固定構造 | |
CN103359412A (zh) | 一种可调式转向架运输装置 | |
KR20150001961U (ko) | 지그 구조체 | |
KR200484497Y1 (ko) |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
KR101634992B1 (ko) | 중량물 운반용 캐리어 | |
CN204056579U (zh) | 一种支撑脚可调的货运托盘 | |
CN205151515U (zh) | 一种建筑钢构驳运和翻身的防滑防护包角 | |
KR20140005517U (ko) | 크레인 연결용 지그 | |
KR200479069Y1 (ko) | 트랜스포터용 하중분산 지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