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97Y1 -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4497Y1 KR200484497Y1 KR2020130008027U KR20130008027U KR200484497Y1 KR 200484497 Y1 KR200484497 Y1 KR 200484497Y1 KR 2020130008027 U KR2020130008027 U KR 2020130008027U KR 20130008027 U KR20130008027 U KR 20130008027U KR 200484497 Y1 KR200484497 Y1 KR 2004844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rail
- access hole
- support
- present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액세스 홀을 통과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홀의 외벽의 상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도록 액세스 홀의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에 의하면, 액세스 홀 상면에 가이드 레일의 홈부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별도의 지지수단을 레일과 결합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며, 작업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에 의하면, 액세스 홀 상면에 가이드 레일의 홈부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별도의 지지수단을 레일과 결합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며, 작업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박 건조시 내부 작업을 위한 액세스 홀(ACCESS HOLE)을 통과하기 위한 가이드레일(GUIDE RAIL)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벽에 결합 및 고정하도록 홈을 구비하는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블록간의 이동과 점검을 목적으로 하는 액세스 홀이 구비된다. 액세스 홀은 작업자는 물론 작업에 필요한 장비, 공구, 부품 등을 통과시키는 크기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비되는 액세스 홀은 작업자 한 명이 간신히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이기 때문에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하기 문헌 1을 검토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이송하는 대차의 이송방향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 이송경로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이송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고, 작업현장의 바닥에 직접 설치되지 않아 공간의 점유도가 낮고, 작동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이송속도가 빠른 동시에 소음이 적은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 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라 제작된 경우 설치 및 해체가 어렵고, 지지부가 지면을 향해 설치되기 때문에 액세스 홀을 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세스 홀 상면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별도의 지지장치를 결합시켜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며, 상하방향을 제외한 3차원의 모든 공간이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세스 홀을 통과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홀의 외벽의 상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도록 액세스 홀의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레일은 액세스 홀에 결합하기 위해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레일은 양측으로 지지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홈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에 의하면, 액세스 홀 상면에 가이드 레일의 홈부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별도의 지지수단을 레일과 결합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며, 작업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지지부재로 인해 안정성을 더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설치 구조가 간단하여 중량물을 옮기기 어려운 구간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액세스 홀(10)을 통과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제안한다. 통상적으로 건조중인 선박에 사용되는 액세스 홀(10)은 크기가 작은 반면 최근에 자동화가 요구되면서 내부에서 무거운 자동화장비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불편이 초래된다. 중량물은 부품, 장비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자동화 장비로서 용접용 로봇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봇은 윈치(12)와 와이어로프(14)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액세스 홀(10)의 외벽의 상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20)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20)은 액세스 홀(10)을 통과하는 로봇의 와이어로프(14)와 연결하고 윈치(12)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20)은 상측의 곡선 부재와 하측의 직선 부재를 다수의 수직 부재로 연결한 형태이다.
본 고안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액세스 홀(10)에 결합하기 위해 홈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부(22)는 액세스 홀(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곡선 부재의 중앙에 형성된다. 홈부(22)는 대략 액세스 홀(10)의 상면의 폭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지만 액세스 홀(10)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라이너(도시 생략)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지지하도록 액세스 홀(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를 구비한다. 지지부재(30)는 상측으로 가이드 레일(20)의 적어도 2부분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동시에 하측으로 액세스 홀(10)의 하단이나 측단에 결합된다. 지지부재(30)는 볼트를 사용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한 구조를 택한다.
본 고안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양측으로 지지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 레일(20)의 양측에는 지지부재(30)의 지지봉(32)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24)를 구비한다. 결합구(24)를 다수의 지점에 형성하면 액세스 홀(10)의 크기에 따라 지지봉(32)의 간격을 다르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30)는 가이드 레일(20)을 지지하는 지지홈(34)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체(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재(30)는 액세스 홀(10)이 맞닿는 하단 또는 측단 부분에 긴밀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지닌다. 고정체(36)는 2개의 물림 부재를 이중나사로 결합한 구조를 택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이중나사를 회전시키면 양측의 고정체(36)가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액세스 홀(10)에 대한 가압력을 변동하는 것은 물론 액세스 홀(10)의 크기에 따른 폭 조절도 용이하다.
작동에 있어서, 작업자는 액세스 홀(10)의 상단과 가이드 레일(20)의 홈부(22)를 결합하여 임시 고정한다. 이어서, 고정된 가이드 레일(20)에 지지부재(30)을 결합한다. 이때, 지지부재(30)는 지지봉(32)을 결합 후 순차적으로 나머지 부품을 결합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고정체(36)를 조절하여 가이드 레일(20)을 단단히 고정한다.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윈치(12)를 구비하는 로봇에 의해서 중량물을 레일로 이동시킨다.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역순으로 고정체(36)의 볼트를 풀어 액세스 홀(10)의 외벽과 분리시키고 지지부재(30)를 해체한다. 이후 가이드 레일(20)의 홈부(22)와 액세스 홀(10)의 외벽을 분리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액세스 홀 12: 윈치
14 :와이어로프 20: 가이드 레일
22: 홈부 24: 결합구
30: 지지부재 32: 지지봉
34: 지지홈 36: 고정체
14 :와이어로프 20: 가이드 레일
22: 홈부 24: 결합구
30: 지지부재 32: 지지봉
34: 지지홈 36: 고정체
Claims (4)
- 액세스 홀(10)을 통과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세스 홀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홀(10)의 외벽의 상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20); 및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지지하도록 액세스 홀(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액세스 홀(10)에 결합하기 위해 홈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양측으로 지지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가이드 레일(20)을 지지하는 지지홈(34)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체(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027U KR200484497Y1 (ko) | 2013-09-27 | 2013-09-27 |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027U KR200484497Y1 (ko) | 2013-09-27 | 2013-09-27 |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347U KR20150001347U (ko) | 2015-04-06 |
KR200484497Y1 true KR200484497Y1 (ko) | 2017-09-13 |
Family
ID=5303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027U KR200484497Y1 (ko) | 2013-09-27 | 2013-09-27 |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497Y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3909B1 (ko) * | 1993-07-02 | 1995-11-18 | 노규상 | 쇼파겸용 매트리스 |
KR20130005433U (ko) * | 2012-03-07 | 2013-09-1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램 고정용 지그 구조 |
KR101292210B1 (ko) | 2013-02-22 | 2013-08-01 | 하헌석 |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
-
2013
- 2013-09-27 KR KR2020130008027U patent/KR200484497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347U (ko) | 2015-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61142A1 (en) | Adjustable Lift Tray | |
US10480200B2 (en) | Double floor member | |
ATE511897T1 (de) | Vorrichtung zum tragen einer last | |
WO2017129214A8 (de) | Instandhaltungsfahrzeug | |
KR101675770B1 (ko) | 소음과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대 | |
KR200484497Y1 (ko) |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 |
JP6917948B2 (ja) |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 |
CN204838744U (zh) | 电动床床架 | |
KR20120114106A (ko) | 대차 레일 이동용 지그 | |
KR200439342Y1 (ko) |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 |
MA35397B1 (fr) | Système, procédé et wagon pour le transport sur rails d'objets | |
KR20160135475A (ko) | 케이블 체인 받침바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체인 가이드 시스템 | |
WO2009147448A3 (en) |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 |
JP2016508929A (ja) | 連結手段 | |
KR20170075387A (ko) | 슬링 어셈블리 | |
JP6102549B2 (ja) |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門型揚重装置 | |
US20200231414A1 (en) | Crane trolley | |
KR101348166B1 (ko) | 지그를 이용하는 작업라인 시스템 | |
CN206203817U (zh) | 一种提升机立柱结构 | |
KR20170092325A (ko) | 파이프 리프팅장치 | |
CN103662718B (zh) | 一种长短可调型输送装置 | |
KR20140006209U (ko) | 펌프 설치용 더미 장치 | |
KR20160001775U (ko) | 리프팅 스프레더 빔 | |
JP5925952B1 (ja) | 連続炉の製造方法 | |
KR101767219B1 (ko) | 오일 받침플레이트용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