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210B1 -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 Google Patents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210B1
KR101292210B1 KR1020130019335A KR20130019335A KR101292210B1 KR 101292210 B1 KR101292210 B1 KR 101292210B1 KR 1020130019335 A KR1020130019335 A KR 1020130019335A KR 20130019335 A KR20130019335 A KR 20130019335A KR 101292210 B1 KR101292210 B1 KR 10129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roller
rotation
trolle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헌석
Original Assignee
하헌석
주식회사 브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헌석, 주식회사 브이텍 filed Critical 하헌석
Priority to KR102013001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210B1/ko
Priority to CN201410028330.1A priority patent/CN104003125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Abstract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는 물품을 이송하는 대차의 이송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 이송경로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이송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고, 작업현장의 바닥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공간의 점유도가 낮으므로 작업현장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작동 시에 가동되는 부품의 수가 적으므로 이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BOGIE FOR TRANSPARTING}
본 발명은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부 및 직선부를 함께 포함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대차를 갖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자재 및 부품 등 물품의 이송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컨베이어나 트롤리와 같은 다양한 이송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컨베이어는 작업현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작업현장의 각종 장비 등의 배치를 고려할 때 처음부터 컨베이어가 설치될 공간을 함께 고려하여야 하며, 컨베이어는 많은 공간을 점유하므로 작업현장이 협소해지거나 작업자의 이동에 불편을 초라해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컨베이어 및 트롤리 등은 작동 시에 많은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물품이 이송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곡률반경을 최소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많은 공간이 할애되어야 하며, 특히 작업장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물품이 이송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6435호(2011.6.28. 등록, 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에는 수직방향으로도 물품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는 조립식 컨베이어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물품이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은 가능한 반면, 한 쌍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한 쌍의 롤러를 동시에 견인하므로 수평면상의 곡선궤적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물품의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간의 점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송용 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폭 방향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대차를 포함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로서, 상기 대차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한 쌍씩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 방향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두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름 접촉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체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 방향의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롤러의 축방향의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홈부의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직선으로 연장되는 구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평행한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 구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을 제공한다.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1 구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구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차는, 일측은 상기 롤러 중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롤러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구름체가 결합되는 제2 구름체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3 구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3 구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차는, 일측은 상기 롤러 중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롤러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4 구름체가 결합되는 제4 구름체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장자리 단부에는 롤러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 외주면 중 직경이 최소인 부분에는 상기 롤러접촉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레일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접촉부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접촉부에는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은, 대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풀리;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비되고, 일측은 상기 풀리에 감기며 타측은 상기 대차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대차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품을 이송하는 대차의 이송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 이송경로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이송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현장의 바닥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공간의 점유도가 낮으므로 작업현장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시에 가동되는 부품의 수가 적으므로 이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구름체가 구비되므로, 대차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해 롤러가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의 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대차가 가이드레일의 직선 구간을 따라 주행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의 대차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대차가 도 1의 A 부분의 가이드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대차가 도 1의 B 부분의 가이드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롤러의 회전중심축 및 레일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 사이를 각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대차가 도 8의 가이드레일과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가이드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대차의 롤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대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의 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대차가 가이드레일의 직선 구간을 따라 주행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의 대차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대차가 도 1의 A 부분의 가이드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대차가 도 1의 B 부분의 가이드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롤러의 회전중심축 및 레일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 사이를 각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대차가 도 8의 가이드레일과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가이드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대차의 롤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1)은 가이드레일(10), 대차(30) 및 대차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은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구간(10a, 이하에서는 '직선 구간'이라 함) 및 곡선으로 연장되는 구간(10b, 10c, 이하에서는 '곡선 구간'이라 함)을 포함한다.
직선 구간(10a)은 지면에 대해 수직이거나, 수평이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직선 구간(10a)은 길이, 위치하는 높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 연장되는 방향 등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곡선 구간(10b, 10c)은 어느 하나의 직선 구간(10a)과 다른 직선 구간(10a) 사이에 배치되어 직선 구간(10a)이 연장되는 방향을 전환시킨다. 곡선 구간(10b, 10c)은, 후술하는 대차(30)의 메인프레임(31)에 대해 평행한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 구간(10b) 및 메인프레임(31)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 구간(10c)을 포함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31)과 평행한 평면은 지면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 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31)과 교차하는 평면은 지면에 대해 수평인 평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곡선 구간(10b)은 지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구간이고, 제2 곡선 구간(10c)은 지면에 대해 수평인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구간이다. 가이드레일(10)이 직선 구간(10a), 제1 곡선 구간(10b) 및 제2 곡선 구간(10c)이 혼합되어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레일(10)은 3차원 내에서 다양한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폭 방향을 기준으로, 레일 본체(11) 및 한 쌍의 돌출부(13, 14)를 포함한다. 레일 본체(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과정에서 레일 본체(11)에 가해지는 힘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대차(30)의 구성요소와 레일 본체(11) 사이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분이 함입된 형상을 가지는 등으로 레일 본체(1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3, 14)는 각각 레일 본체(11)의 폭 방향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며 레일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 쌍의 돌출부(13, 14) 중 일측의 돌출부(13)에는 한 쌍의 경사면(131, 132) 및 롤러접촉부(133)가 형성되고, 타측의 돌출부(14)에도 한 쌍의 경사면(141, 142) 및 롤러접촉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의 돌출부(13, 14)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대차(30)는 가이드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된다. 대차(30)는 메인프레임(31), 한 쌍의 회전프레임(33, 34), 두 쌍의 롤러(37, 37a, 38, 38a), 제1 구름체(41, 42) 및 제2 구름체(43, 44)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31)은 평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프레임(31)의 일면에는 한 쌍의 프레임축(32, 32a)이 서로 이격하여 구비되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33, 34)이 각각 프레임축(32, 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회전프레임(33, 34)은 장방형일 수 있으며, 그 중간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축(32, 32a)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곡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회전프레임(33)은 프레임축(32)의 중심축(CS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고, 타측의 회전프레임(34)은 프레임축(32a)의 중심축(CS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프레임(33, 34)에는 각각 롤러(37, 37a, 38, 38a)가 한 쌍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각 회전프레임(33, 34)에 결합되는 롤러(37, 37a, 38, 38a)는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 중심(CS1, CS2)을 사이에 두고 양 측에 배치된다. 롤러(37, 37a, 38, 38a)는 회전프레임(33, 34)에 구비되는 롤러축(35, 35a, 한 쌍은 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된다. 두 쌍의 롤러(37, 37a, 38, 38a)는 두 쌍의 롤러축(35, 35a, 한 쌍은 도시되지 않음)의 중심축(CR1, CR2, CR3, CR4)을 각각 회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두 쌍의 롤러축(35, 35a, 한 쌍은 도시되지 않음)은 상술한 한 쌍의 프레임축(32, 32a)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의 프레임축(32) 및 회전프레임(33) 사이에는 베어링(40)이 개재되어 회전프레임(33)이 프레임축(32)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고, 타측의 프레임축(32a)과 회전프레임(34)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의 외주면에는 중간부분이 함입되어 홈부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도 4의 C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롤러(37)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39)는 한 쌍의 경사면(391, 392) 및 레일접촉부(393)로 이루어지는데, 홈부(39)는 롤러(37)의 축방향의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경사면(391, 392)은 롤러(37) 외주면의 양단으로부터 중간부분을 향하여 롤러(37)의 회전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면(391, 392) 사이에는 롤러(37) 외주면 중 직경이 최소인 부분인 레일접촉부(393)가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39)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을 가진다. 그러나, 레일접촉부(393)의 폭이 매우 작을 경우에는 V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설명하지 않은 롤러들(37a, 38, 38a)에도 홈부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 홈부들은 상술한 홈부(39)와 같은 형상을 각각 가지므로 나머지 롤러들(37a, 38, 38a)에 형성된 홈부들에 관한 설명은 앞의 홈부(39)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레일 본체(11)에 형성된 돌출부(13)에는 한 쌍의 경사면(131, 132) 및 롤러접촉부(133)가 형성된다. 한 쌍의 경사면(131, 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본체(11)의 폭 방향의 단부로 갈수록 돌출부(13)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경사면(131, 132) 사이에는 롤러접촉부(133)가 형성된다. 롤러접촉부(133)는 레일접촉부(393)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13)의 단면 형상은 한 쌍의 경사면(131, 132) 및 롤러접촉부(133)를 외곽선으로 하는 사다리꼴을 가질 수 있으며, 롤러접촉부(133)의 폭이 좁을 경우에는 V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레일 본체(11)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14)에도 한 쌍의 경사면(141, 142) 및 롤러접촉부(143)가 형성되는데, 이들은 상술한 돌출부(13)의 한 쌍의 경사면(131, 132) 및 롤러접촉부(13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돌출부(14)에 대한 설명은 돌출부(13)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상술한 롤러(37)의 홈부(39)에는 레일 본체(11)의 돌출부(13)가 삽입된다. 이때 롤러(37)의 레일접촉부(393) 및 돌출부(13)의 롤러접촉부(133)는 서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대차(30)에 가해지는 하중은 레일접촉부(393) 및 롤러접촉부(133)의 접촉을 통하여 가이드레일(10)로 전달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레일접촉부(393) 및 롤러접촉부(133)의 폭은 대차(3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고려하여 증감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전프레임(33)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37, 3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의 폭 방향의 양 측에 배치된다. 즉,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된 한 쌍의 롤러(37, 37a) 중 하나(37)는 레일 본체(11)의 폭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37a)는 레일 본체(11)의 폭 방향의 타측에 배치된다. 다른 회전프레임(34)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38, 38a)도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 중 두 개(37, 38)는 레일 본체(11)의 폭 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13)에 접촉되고, 나머지 두 개(37a, 38a)는 폭 방향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14)에 접촉된다. 그러므로 대차(30)는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에 의해 레일 본체(11)에 결합되며,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의 회전에 의해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한편, 회전프레임(33, 34)이 메인프레임(31)에 대해 회전 가능함으로써,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의 위치는 도 3에 곡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차(30)는 가이드레일(10)이 메인프레임(31)에 대해 평행한 평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경우에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가이드레일(10) 및 대차(3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인데,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은 메인프레임(31)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레일 본체(11a)는, 일측 돌출부(13)의 곡률반경(RV2), 타측 돌출부(14)의 곡률반경(RV1) 및 레일 본체(11a)의 길이방향 중심선(CLR1)의 곡률반경(RV0)이 모두 동일한 곡률중심점(C1)을 갖도록 만곡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대차(30)가 메인프레임(31)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만곡되는 가이드레일(10)을 주행할 경우, 일측의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된 한 쌍의 롤러(37, 37a)의 회전중심점들(CR1, CR2)이 레일 본체(11a)의 중심선(CLR1)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상에 놓이도록 회전프레임(33)이 회전하며, 다측의 회전프레임(34)에 결합된 한 쌍의 롤러(38, 38a)의 회전중심점들(CR3, CR4)이 레일 본체(11a)의 중심선(CLR1)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상에 놓이도록 회전프레임(34)이 회전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롤러(37, 37a)의 회전중심점(CR1, CR2)을 잇는 직선(CRL1)과 다른 한 쌍의 롤러(38, 38a)의 회전중심점(CR3, CR4)을 잇는 직선(CRL2)은 레일 본체(11a)의 곡률반경의 중심점(C1)을 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1)은, 한 쌍의 회전프레임(33, 34)이 메인프레임(31)에 대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이 메인프레임(31)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때에도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되거나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주행이 가능하다.
이때, 대차(30)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레일 본체(11a)의 곡률반경은 한 쌍의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 사이의 거리(DS)와, 롤러(37, 37a)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DR)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쌍의 프레임축(32, 32a) 사이의 거리(DS) 배치 및 롤러축(35, 35a) 사이의 거리(DR) 배치는 레일 본체(11a)의 메인프레임(31)과 나란한 평면상에서의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13)의 경사면(131, 132)이 형성하는 각도(AR)는 홈부(39)의 경사면(391, 392)이 형성하는 각도(AG)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설명하지 않은 돌출부(14) 및 나머지 롤러(37a, 38, 38a)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132)가 홈부(39)에 삽입되면 롤러접촉부(133) 및 레일접촉부(393)가 안정적으로 접하여 대차(30)에 가해지는 하중이 가이드레일(10)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돌출부(13)의 경사면(131, 132)이 형성하는 각도(AR)가 홈부(39)의 경사면(391, 392)이 형성하는 각도(AG)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이 메인프레임(31)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도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B 부분의 가이드레일(10c)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3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과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된 가이드레일(10)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3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인데,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은 메인프레임(31)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소정의 곡률반경(RH1)으로 곡선으로 연장되며, 곡률중심점(C2)을 가진다. 도 1 및 도 8에서는 가이드레일(10)이 지면과
앞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돌출부(13)의 경사면(131, 132) 사이의 각도(AR, 이하 '돌출각'이라고 함)가 홈부(39)의 경사면(391, 392) 사이의 각도(AG, 이하 '홈각'이라고 함)보다 작으므로, 돌출부(13)의 경사면(131, 132) 및 홈부(39)의 경사면(391, 392) 사이에 유격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격에 의한 롤러(37)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롤러(37)의 회전중심축(CRL1) 및 레일 본체(11)의 길이방향 중심축(CLR0)은 서로 직교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AB) 내에서 각도가 변경되면서도 돌출부(13)가 홈부(39)에 삽입되어 롤러접촉부(133)와 레일접촉부(393)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돌출각(AR) 및 홈각(AG)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돌출부(13)의 경사면(131, 132) 및 홈부(39)의 경사면(391, 392)이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롤러접촉부(133)와 레일접촉부(393)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롤러(37)의 회전중심축과 가이드레일(10)의 회전중심축은 서로 수직을 이룬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돌출각(AR) 및 홈각(AG)이 동일할 경우에는 롤러(37)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가이드레일(10)일 경우에만 돌출부(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1)의 경우, 돌출각(AR) 및 홈각(AG)의 차이에 의한 유격에 의해 돌출부(13)가 홈부(39)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롤러(37)의 회전중심축 및 레일 본체(11)의 길이방향 중심축(CLR0) 사이에 소정 범위의 각도 변경(AB)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 및 한 쌍의 돌출부(13, 14)에 모두 적용된다. 참고로, 돌출각(AR) 및 홈각(AG)의 차이가 증가될수록 상술한 유격의 크기 또한 증가되며, 유격이 증가될수록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의 회전중심축 및 레일 본체(11)의 길이방향 중심축 사이의 변경 가능한 각도범위(AB)가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이 메인프레임(31)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가 레일 본체(11b)에 결합된 위치에서 롤러(37, 37a, 38, 38a)의 회전중심축(CR1, CR2, CR3, CR4)들 및 레일 본체(11b)의 길이방향 중심선(CLR2)이 형성하는 각도가 수직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나, 상술한 구조에 의해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가 모두 레일 본체(11b)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대차(30)는 레일 본체(11b)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일측의 회전프레임(33) 및 타측의 회전프레임(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일측의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된 롤러(37, 37a)의 회전중심축(CR1, CR2)을 연결한 직선(CRL1) 및 타측의 회전프레임(34)에 결합된 롤러(38, 38a)의 회전중심측(CR3, CR4)를 연결한 직선(CRL2)이 평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의 가이드레일(10)은 메인프레임(31)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서 도 8의 가이드레일(10)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데, 이 또한 한 쌍의 프레임축(32, 32a)의 중심축(도 3의 CS1, CS2)과 나란한 가상의 평면상에 곡률중심점(C3)이 형성되고, 이 가상의 평면과 곡률반경(RH2)이 나란하도록 만곡된 형상이므로,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대차(30)가 레일 본체(11c)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을 갖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대차(3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곡률반경(RH1, RH2)의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각(AR) 및 홈각(AG)의 차이 외에, 프레임축(32, 32a)의 길이(DSP), 롤러축(35, 35a, 한 쌍은 도시되지 않음)의 길이(DSR) 및 한 쌍의 프레임축(32, 32a)의 사이의 거리(DS)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1)를 설계할 때에는 레일 본체(11b, 11c)의 곡률반경(RH1, RH2), 돌출각(AR) 및 홈각(AG)의 크기, 프레임축(32, 32a)의 길이(DSP), 롤러축(35, 35a, 한 쌍은 도시되지 않음)의 길이(DSR) 및 한 쌍의 프레임축(32, 32a)의 사이의 거리(DS)를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1)은 필요에 따라 가이드레일(10)이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 구간(10a)뿐만 아니라, 메인프레임(31)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 구간(10b) 및 메인프레임(31)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서 곡선되어 연장되는 제2 곡선 구간(10c)을 모두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레일(10)이 3차원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용 대차(1)가 설치될 공간의 여건에 따라 가이드레일(10)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대차(30)가 가장 효과적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이송속도 및 이송효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절약 및 공간점유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0)은 작업현장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천장 및 벽면 등에 지지대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차(30)는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되므로, 가동되는 부품의 수가 적다. 따라서 대차(30)의 이송속도를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보다 빠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소음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참고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를 금속소재로 제조한 후 표면에 합성수지나 고무를 코팅하여 소음발생이 감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대차 구동수단은 모터(50), 풀리(52) 및 와이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0)는 가이드레일(10)의 일측에 구비되고, 풀리(52)는 모터(5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모터(50)에 의해 회전된다. 와이어(54)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구비되며, 와이어(54)의 일측은 풀리(52)에 감기며 타측은 대차(30)에 결합된다. 모터(50)는 대차(30)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고, 주행 동력은 풀리(52)에 감긴 와이어(54)를 통해 대차(30)에 전달되어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 상에서 주행된다.
한편, 대차 구동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54) 및 풀리(52) 대신 체인 및 스프로킷 휠이 각각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대차(30)에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직접 설치하고, 구동장치의 회전력이 네 개의 롤러(37, 37a, 38, 38a)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치에 의한 롤러(37, 37a, 38, 38a)의 회전력이 가이드레일(10)로 전달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롤러(37, 37a, 38, 38a)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47)에는 홈부(49)가 형성될 수 있고, 홈부(49)는 한 쌍의 경사면(491, 492) 및 레일접촉부(49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47)의 전반적인 형상은 앞에서 설명한 롤러(37)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롤러(47)의 레일접촉부(493)에는 복수의 돌기(494)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레일접촉부(493)와 접하게 되는 가이드레일(도 4의 10 참조)의 롤러접촉부(도 2의 133)에는 복수의 돌기(494)에 상응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494) 및 복수의 홈(미도시)에 의해 롤러축(45)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장치의 회전력이 롤러(47)로 전달될 경우, 롤러(47)는 미끄러짐 없이 가이드레일(10 참조)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돌기(494)가 형성되는 롤러(47)을 활용하면 대차(30)의 작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대차(30)의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
파지수단(70)은 메인프레임(31)에 있어서, 롤러(37, 37a, 38, 38a)가 구비되는 쪽의 반대쪽에 구비되며, 피이송품(미도시)은 파지수단(70)에 파지되어 대차(30)에 고정된다. 피이송품이 파지수단(70)에 의해 대차(30)에 고정됨으로서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주행하면 피이송품이 대차(30)와 일체로 이동된다. 파지수단(70)은 후크, 집게, 로봇팔 등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피이송품을 대차(3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이송품이 대차(30)에 고정되면 대차(30)에는 피이송품의 무게에 의해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도 4를 기준으로 하면, 피이송품은 메인프레임(31)에 있어서 롤러(37, 37a)가 구비되는 측의 반대쪽 면에 고정되므로 대차(30)에는 피이송품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롤러(37, 37a)가 가이드레일(10)가 어긋나 간섭되어 대차(30)가 원활하게 주행하지 못하며, 한계치 이상의 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롤러(37, 37a)가 가이드레일(10)로 이탈하여 대차(30)의 주행이 불가능하게 되기도 한다. 대차(30)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모멘트는 피이송품에 의해서 발생될 뿐만 아니라 대차(30)의 비대칭적인 구조에 의해서도 유발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대차(30)는 롤러(37, 37a, 38, 38a)에 의해 가이드레일(1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메인프레임(31) 및 회전프레임(33, 34)이 롤러(37, 37a, 38, 38a)의 일 측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대차(30)의 무게 중심은 롤러(37, 37a, 38, 38a)와 가이드레일(10)이 접촉되는 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외측에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롤러(37, 37a, 38, 38a)에는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모멘트가 항상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멘트에 의해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차(30)에는 제1 구름체(41, 42) 및 제2 구름체(43, 44)가 구비된다.
제1 구름체(41, 42)는 회전프레임(33, 34)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0)과 대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고, 제2 구름체(43, 44)는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롤러(37, 38)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대차(30)가 가이드레일(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구름체(41, 42)는 가이드레일(10)에 있어서 회전프레임(33, 34)과 대향하는 면(이하에서는 '가이드 레일(10)의 내측면'이라고 함)과 접촉하며, 제2 구름체(43, 44)는 가이드레일(10)에 있어서 회전프레임(33, 34)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이하에서는 '가이드 레일(10)의 외측면'이라고 함)과 접촉한다. 제1 구름체(41, 42) 및 제2 구름체(43, 44)의 회전축은 롤러(37, 37a, 38, 38a)의 롤러축(35, 35a)과 직교한다. 제1 구름체(41, 42) 및 제2 구름체(43, 44)는 회전프레임(33, 34)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두 개의 회전프레임(33, 34)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거나, 각 회전프레임(33, 34)당 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름체(41, 42)가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낮은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1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제2 구름체(43, 44)가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높은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10)의 외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대차(30)에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회전축이 서로 직교하는 롤러(37, 38)와 제2 구름체(43, 44)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롤러(37, 38)에는 제2 구름체 브래킷(45, 46)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름체 브래킷(45, 46)의 일측은 롤러(37, 38)의 롤러축(35) 상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2 구름체(43, 4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구름체(43, 44)는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롤러(37, 38)의 롤러축(35)에 제2 구름체 브래킷(45, 46)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구름체(43, 44)가 구비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높은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10)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구조인 한 회전프레임(33, 34)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구름체(41, 42) 및 제2 구름체(43, 44)는 가이드레일(10)과 접촉한 상태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차(30)에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대차(30)의 주행 시 가이드레일(10)과 간섭되지 않아 대차(30)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의 대차에 구비되는 구름체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2에는 도 4의 대차와는 구름체의 개수 및 설치 위치가 다른 대차가 도시된다.
도 4의 대차(30)에서는, 제1 구름체(41)가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낮은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1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제2 구름체(43)가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높은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데 비해, 도 12의 대차(30)에서는 이에 더하여, 제3 구름체(61) 및 제4 구름체(62)가 추가로 더 구비된다. 이때, 제3 구름체(61)는 가이드 레일(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제4 구름체(62)는 가이드 레일(1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프레임(33, 34)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이때, 제4 구름체(62)는 제2 구름체 브래킷(45, 4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4 구름체 브래킷(63)에 의해 대차(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구름체 브래킷(63)의 일측은 롤러(37, 37a, 38, 38a) 중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롤러(37a, 38a)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4 구름체(6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구름체(41) 및 제4 구름체(62)가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낮은 위치에서 가이드레일(10)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접하여 구름운동하고, 제2 구름체(43) 및 제3 구름체(61)가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보다 높은 위치에서 가이드레일(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접하여 구름운동 함으로써, 대차(3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로 이탈되는 것이 더욱 확실히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0)은 직선 구간(10a) 및 곡선 구간(10b, 10c)이 조합됨으로써 3차원 상에서 다양한 경로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0) 상을 주행하는 대차(30)는 다양한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대차(30)는 롤러(37, 37a, 38, 38a)가 수직 방향으로 놓이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이드레일(10)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180도, 270도 회전된 상태, 또는 그 밖의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0) 상을 주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대차(3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대차(30)가 제1 구름체(41) 및 제3 구름체(6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대차(30)가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대차(30)가 제2 구름체(43) 및 제4 구름체(6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제1, 2, 3, 4, 구름체(41, 43, 61, 62)가 회전프레임(33, 34)의 회전중심축(CS1, CS2)의 상하에서 가이드 레일(10)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계속 접해 있기 때문에 대차(30)가 어떤 방향으로 놓이더라도 롤러(37, 37a, 38, 38a)가 가이드레일(10) 상의 올바른 위치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이송용 대차 10: 가이드레일
11, 11a, 11b, 11c: 레일 본체 13, 14: 돌출부
30: 대차 31: 메인프레임
32, 32a: 프레임축 33, 34: 회전프레임
35, 35a: 롤러축 37, 37a, 38, 38a: 롤러
41, 42: 제1 구름체 43, 44: 제2 구름체

Claims (9)

  1. 폭 방향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대차
    를 포함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로서,
    상기 대차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한 쌍씩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 방향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두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름 접촉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체
    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 방향의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롤러의 축방향의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홈부의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직선으로 연장되는 구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평행한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 구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 상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1 구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구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일측은 상기 롤러 중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롤러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구름체가 결합되는
    제2 구름체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3 구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접촉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4 구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일측은 상기 롤러 중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롤러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4 구름체가 결합되는
    제4 구름체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장자리 단부에는 롤러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 외주면 중 직경이 최소인 부분에는 상기 롤러접촉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레일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접촉부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접촉부에는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은,
    대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풀리;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비되고, 일측은 상기 풀리에 감기며 타측은 상기 대차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대차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KR1020130019335A 2013-02-22 2013-02-22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KR10129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35A KR101292210B1 (ko) 2013-02-22 2013-02-22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CN201410028330.1A CN104003125B (zh) 2013-02-22 2014-01-21 输送用台车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35A KR101292210B1 (ko) 2013-02-22 2013-02-22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210B1 true KR101292210B1 (ko) 2013-08-01

Family

ID=4921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335A KR101292210B1 (ko) 2013-02-22 2013-02-22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2210B1 (ko)
CN (1) CN10400312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347U (ko) 2013-09-27 2015-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KR101592259B1 (ko) 2014-08-18 2016-02-05 하헌석 와이어로프 슬립 방지 기능을 갖는 풀리가 구비된 이송 대차
WO2016129797A1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브이텍 이송용 대차 시스템
CN116788988A (zh) * 2023-08-29 2023-09-22 博兴县金得源涂料有限公司 一种涂料生产中的转运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5097A (zh) * 2015-06-30 2015-11-11 王庆忠 一种壁体运输车
CN109941656B (zh) * 2019-05-08 2020-12-04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物流调度系统运输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7423A (ja) * 1986-08-22 1988-03-12 Keiei Syst Akad:Kk 搬送装置
JP2000355275A (ja) * 1999-06-11 2000-12-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859A (ja) * 1998-01-26 1999-08-03 Nobuyuki Tsuboi 搬送システム
SE526863C2 (sv) * 2003-09-22 2005-11-15 Eton Systems Ab Produktbärare och transportanordning i vilken produktbärare ingår
CN201296520Y (zh) * 2008-09-28 2009-08-26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存储区出口斜坡段的双摩擦驱动输送装置
CN202557532U (zh) * 2012-04-05 2012-11-28 何胜 一种悬挂式车辆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7423A (ja) * 1986-08-22 1988-03-12 Keiei Syst Akad:Kk 搬送装置
JP2000355275A (ja) * 1999-06-11 2000-12-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347U (ko) 2013-09-27 2015-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세스홀용 가이드 레일
KR101592259B1 (ko) 2014-08-18 2016-02-05 하헌석 와이어로프 슬립 방지 기능을 갖는 풀리가 구비된 이송 대차
WO2016129797A1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브이텍 이송용 대차 시스템
CN116788988A (zh) * 2023-08-29 2023-09-22 博兴县金得源涂料有限公司 一种涂料生产中的转运机构
CN116788988B (zh) * 2023-08-29 2023-11-17 博兴县金得源涂料有限公司 一种涂料生产中的转运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03125B (zh) 2016-05-18
CN104003125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210B1 (ko) 이송용 대차 및 가이드레일
KR20160097644A (ko) 이송용 대차 시스템
KR101464211B1 (ko) 유궤도 대차 시스템
TWI419829B (zh) 物品搬送設備
US9481529B2 (en) Tilt-tray conveying carriage and tilt-tray sorting installation
CN102923427A (zh) 物品运送设备
JP6821532B2 (ja) スライドレール式天井クレーン装置
KR101276769B1 (ko) 이송용 대차
TWI622539B (zh) 貨物輸送設備和天花板輸送車
KR101220119B1 (ko)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JP2013511449A5 (ko)
JP2012035945A (ja)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装置
KR20140087293A (ko)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KR101419358B1 (ko) 반송시스템
JP6164818B2 (ja) パレットの搬送装置
KR101592259B1 (ko) 와이어로프 슬립 방지 기능을 갖는 풀리가 구비된 이송 대차
JP4298683B2 (ja) 搬送装置
KR20160124617A (ko) 바닥용 트롤리
IT201800003714A1 (it) Sistema di trasporto
JP2003160047A (ja) 搬送装置
JP2012144856A (ja) 移動壁収納構造
JP3822421B2 (ja) 3次元搬送軌道式リニア搬送装置
JP2017214189A (ja) コンベア装置
JP5859226B2 (ja) 昇降装置
JP6848431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