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052B1 -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 Google Patents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052B1
KR102043052B1 KR1020170074821A KR20170074821A KR102043052B1 KR 102043052 B1 KR102043052 B1 KR 102043052B1 KR 1020170074821 A KR1020170074821 A KR 1020170074821A KR 20170074821 A KR20170074821 A KR 20170074821A KR 102043052 B1 KR102043052 B1 KR 10204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lade
panel
support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196A (ko
Inventor
진한조
Original Assignee
한림기업(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기업(유) filed Critical 한림기업(유)
Priority to KR102017007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05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부; 상기 삽입부 위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위에 배치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1각편과 제2각편을 포함하는 보 브라켓과 상기 보 브라켓을 포함하는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BEAM BRACKET AND PANEL STRUCTURE}
본 발명은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패널 본체(예를 들면, 컨테이너 박스) 및 패널 보 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 등을 패널 구조체라고 한다. 패널 구조체는 주로 가설, 간이, 보조 건축물 등으로 사용된다. 패널 구조체는 상술한 용도에 부합하기 위해, 간단하게 조립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패널 구조체는 다소 불안정한 구조를 가졌다. 최근에는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강화된 패널 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패널 구조체와 상기 패널 구조체에 사용되는 보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보 브라켓은 삽입부; 상기 삽입부 위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위에 배치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1각편과 제2각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제1각편과 상기 제2각편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내부에 삽입부를 수용하고, 중공의 원뿔대 형태인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의 원형 단면적은 위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는 직육면체 형태의 패널 본체; 상기 패널 본체에 배치되는 패널 보; 상기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보를 체결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중공의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본체는 하측 모서리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블레이드와, 하측 모서리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와 수직으로 배치된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보는 상기 제1블레이드를 따라 배치된 수평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를 따라 배치된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기둥 내부에 배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위에 배치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1각편과 제2각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제1각편과 상기 제2각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 브라켓의 가이드부에 의해, 패널 본체(컨테이너 박스)의 제2블레이드와 패널 보의 수직부가 일체로 가이드되고 일체로 체결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되는 동시에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패널 구조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을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은 삽입부(110), 제1지지부(120) 및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 브라켓(100)은 금속 재질로 삽입부(110), 제1지지부(120) 및 가이드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0)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제1지지부(120)의 아래에 배치되어, 제1지지부(12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부(110)는 패널 구조체(1000)의 기둥(3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지지부(120)는 원판 플레이트 형태로, 삽입부(12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20)는 패널 구조체(100)의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지지부(120)를 통해, 보 브라켓(100)은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20)는 패널 구조체(1000)의 기둥(300)의 상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지지부(120)는 기둥(300)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다. 제1지지부(120)를 통해, 보 브라켓(100)은 기둥(300)에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제1지지부(120)의 위에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은 제1지지부(120)의 윗면에서 위로 연장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부(130)의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의 간극에 의해, 패널 구조체(1000)의 패널 본체(210)와 패널 보(220)가 가이드될 수 있다. 또,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의 간극에서 패널 본체(210)와 패널 보(220)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 각각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을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은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과 비교하여, 제2지지부(140), 제1리브(150) 및 제2리브(160)가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제외하고는,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은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에는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가지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지지부(140)는 제1지지부(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140)는 위로 갈수록 원형 단면적이 작아지는 중공의 원뿔대(테이퍼, 깔대기)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110)의 상부는 제2지지부(14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지지부(140)는 제1지지부(120) 대신 패널 구조체(1000)의 기둥(300)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보 브라켓이 기둥(30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지지부(140)의 경사 구조(테이퍼)에 의해, 패널 구조체(1000)의 기둥(300)과 제2지지부(140) 사이에는, 기둥(300)이 제1지지부(120)를 지지할 때보다 더 큰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은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보다 기둥(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리브(150)는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150)는 제1지지부(120)의 아랫면과 제2지지부(140)의 윗면을 연결할 수 있다. 제1리브(150)는 제1지지부(120)의 아랫면에서 수직하게 제2지지부(140)의 윗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리브(150)는 중공의 원통 또는 원기둥(미도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리브(150)의 하단부에는 제2지지부(140)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브(150)는 주로 제2지지부(140)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리브(160)는 제1지지부(120)의 아랫면과 삽입부(110)의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리브(160)는 아래를 향하여 삽입부(110)의 원통 좌표계를 기준으로, 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리브(160)는 로드 형태로 마치 브레이스(brace)와 같이 제1지지부(120)와 삽입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리브(160)는 2개일 수 있다. 2개의 제2리브(160)의 상단부는 각각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리브(160)는 주로 제1지지부(120)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에서는 제1지지부(120)를 통해, 1)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를 지지하고, 2) 기둥(30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120)는 2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이에 반해,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에서는 제1지지부(120)를 통해 1)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를 지지하고, 제2지지부(140)를 통해 2) 기둥(300)에 지지된다. 즉,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140)가 서로 분담하여 각각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를 지지하고, 기둥(300)에 지지되므로 제1실시형태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10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패널 구조체(10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이 적용되는 경우만을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제1실시형태의 보 브라켓(100)과 마찬가지로 제2실시형태의 보 브라켓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1000)는 보 브라켓(100), 패널 본체(210), 패널 보(220) 및 기둥(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보 브라켓(100)은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널 본체(210)는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패널 본체(210)는 컨테이너 박스일 수 있다. 패널 본체(210)는 하측 모서리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블레이드(211)와 하측 모서리에서 수직(아래)으로 연장된 제2블레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11) 및 제2블레이드(212)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1블레이드(211) 및 제2블레이드(212)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 보(220)는 패널 본체(210)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220)는 제1블레이드(211)를 따라 배치된 수평부(221)와, 제2블레이드(212)를 따라 배치된 수직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221) 및 수직부(222)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수평부(221) 및 수직부(222)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 보(220)는 패널 본체(210)의 자중 및 외력을 기둥(30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패널 보(220)는 제1블레이드(211) 및 제2블레이드(212)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둥(300)은 중공의 강관 형태일 수 있다. 기둥(300)의 상단부에는 보 브라켓(1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 브라켓(100)의 삽입부(110)는 기둥(300)의 내부에 삽입되고, 보 브라켓(100)의 제1지지부(120)는 기둥(300)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와 기둥(300)은 보 브라켓(1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의 자중과 외력은 보 브라켓(100)을 통해 기둥(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는 조립시, 보 브라켓(10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블레이드(212) 및 수직부(222)는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는 보 브라켓(100)과 함께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각편(131), 제2각편(132), 제2블레이드(212) 및 수직부(22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는 보 브라켓(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블레이드(211) 및 수평부(221)의 아랫면은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 제2블레이드(212) 및 수직부(222)의 측면은 제1각편(131) 및 제2각편(132)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제2블레이드(212) 및 수직부(222)의 아랫면은 제1지지부(120)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패널 본체(210) 및 패널 보(220)는 보 브라켓(100)에 의해 가이드되어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보 브라켓(10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직육면체 형태의 패널 본체;
    상기 패널 본체에 배치되는 패널 보;
    상기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보를 체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중공의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본체는 하측 모서리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블레이드와, 하측 모서리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와 수직으로 배치된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보는 상기 제1블레이드를 따라 배치된 수평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를 따라 배치된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의 상면은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수직부의 내면은 상기 제2블레이드의 외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면이 상기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면이 상기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 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각편;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각편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제2각편;
    상기 제1지지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삽입부가 배치되도록 중공의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부;
    상단이 상기 제1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2지지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리브; 및
    상단이 상기 제1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수직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원형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는 상기 제1각편 및 상기 제2각편과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패널 구조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는 하방으로 갈수록 원형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패널 구조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편, 상기 제2각편,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패널 구조체.
KR1020170074821A 2017-06-14 2017-06-14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KR10204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21A KR102043052B1 (ko) 2017-06-14 2017-06-14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21A KR102043052B1 (ko) 2017-06-14 2017-06-14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196A KR20180136196A (ko) 2018-12-24
KR102043052B1 true KR102043052B1 (ko) 2019-11-11

Family

ID=6501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821A KR102043052B1 (ko) 2017-06-14 2017-06-14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99B1 (ko) * 2019-07-25 2020-01-08 성진이앤티 주식회사 오일샌드 채취용 모듈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
CN111691717B (zh) * 2020-07-09 2021-10-1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组装式变压站机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05B1 (ko) 2013-02-15 2013-04-03 정갑희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인서트 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378B1 (ko) * 2015-03-20 2017-01-11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05B1 (ko) 2013-02-15 2013-04-03 정갑희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인서트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196A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052B1 (ko)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JP4648203B2 (ja) 耐力フレーム
KR101518446B1 (ko) 모멘트 발생크기를 고려한 특수구조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구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골구조물
KR102060811B1 (ko) 슬래브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CN105649322A (zh) 一种整体顶升平台挂架滑梁体系
KR101763033B1 (ko) 합성보용 거푸집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EP388761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first beam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support structure in a building frame structure
JPH05331964A (ja) 鋼梁の開口部補剛構造
KR101654699B1 (ko) 전단연결재 및 그를 구비한 거더
KR102151311B1 (ko) 조립식 스태킹 랙
JP6742741B2 (ja) 曲げ降伏型ダンパー
JP2020090812A (ja) 制振構造
KR20190129714A (ko) 바닥구조
KR102473334B1 (ko) 층간소음방지용 완충부재
JP6349070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パネルの支持脚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EP3034448B1 (en) Elevator car arrangement
KR940008309B1 (ko) 지붕의 뼈대구조
JP2009084871A (ja) 粘性壁の接合構造
JP6367572B2 (ja) 建物設備設置構造
JP6478475B2 (ja) 壁状部材支持構造
KR101828358B1 (ko) 슬라브와 pc벽체부의 일체형 구조체
JP2019157577A (ja) 油圧ダンパの接合構造
JP5058328B2 (ja) 門型フレーム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